국어 어원
어휘 이야기
한글 맞춤법의 이해
외래어 표기
국어 순화
발음 이야기
학교문법과 국어 생활
현대시 감상
현장에서
표준 화법
국어 생활 새 소식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알려드립니다
 학교문법과 국어 생활
  새빨간 거짓말(1)
이병규(李炳圭) / 국립국어원
  가히 폭발적이라고 할 만큼 새로운 개념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만큼 이전에 없던 말들을 많이 만들어 내어야 한다. 새로운 말들을 만드는 방법에는 이전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말을 만드는 것(예: 아햏햏, 벩 등), 다른 나라에서 들어온 물건이나 개념인 경우에는 원어를 음차하여 사용하는 것(예: 홈런, 웰빙 등), 이전에 있던 말들을 적당히 조합하거나 변형하는 것(예: 참살이, 손전화, 왕부자 등), 이미 있는 말에 새로운 뜻을 더하는 것(예: 번개팅(미팅), 골리앗 등) 등이 있다.
  이미 있는 말로 새로운 개념을 나타낼 때는 아무거나 쓰기만 하면 말이 되는 것이 아니다. 그 말의 뜻을 중심의미라고 하면, 적어도 중심의미를 나타내는 사물의 모습이나 속성 등과 일정한 관련성을 맺으며 새로운 뜻이 더해져 사람들이 상황에 맞게 쓸 수 있어야 비로소 말이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한 단어가 관련성이 있는 여러 의미를 나타내게 되는데 이러한 말을 다의어라고 한다.
  예컨대, ‘무겁다’는 모든 국어사전에 다의어로 취급되어 여러 의미를 가진 것으로 풀이된다.
(1) 무게가 많이 나가다. 예) 가방이 무거워서 들 수가 없었다.
(2) 힘이 들거나 움직이기가 어렵다. 예) 그는 몸이 무거워 움직일 수 없었다.
(3) 병이나 죄가 심하거나 크다. 예) 병이 너무 무거워 완쾌하시기 어려울 것 같다.
(4) 비중이나 책임 따위가 크거나 중대하다. 예) 맡은 책임이 무겁다.
(5) 움직임이 느리고 둔하다. 예) 기차 바퀴가 무겁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6) 기분, 분위기 따위가 유쾌하지 못하고 침울하다. 예) 분위기가 너무 무거워 아무도 입을 열지 않았다.
(7) 세금이 부담이 될 정도로 많다. 예) 세금을 무겁게 매기다.
  ‘무겁다’의 여러 가지 의미 중 ‘무게가 많이 나가다’가 중심의미이고 (2)~(8)은 여기서 번져나간 의미임은 아무도 부인하지 않을 것이다. ‘무게가 많이 나가다’는 구체적인 물건의 속성을 말하는 것으로, 물건이 무거우면 그것을 다루는 사람이 힘이 들어 움직임이 빠를 수 없으며 부담도 많이 된다. 부담이 많이 되면 자연히 기분이 유쾌할 수 없고 침울한 것이 보통이다. 또 같은 성질을 가진 물건은 무거울수록 크기나 부피가 크게 마련이다. 무거운 물건의 이러한 속성이 ‘무거움’의 의미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처럼 중심의미에서 일정한 관련성을 맺으며 번져나간 의미를 전이의미라고 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조금 특이한 경우인데,
(8) ㄱ. 조심스레 소주 따르는 소리가 들려올 정도로 천막 안은 무거운 침묵에 덮여 갔다.
ㄴ. 그는 살을 파고드는 듯한 무거운 고통을 견딜 수가 없었다.
  (8)의 ‘무거운 침묵’은 ‘아무 말 없이 고요한 상태가 매우 오래도록 지속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무거운 고통’은 ‘몸이나 마음이 괴롭고 아픈 정도가 매우 심한 상태’를 나타낸다. ‘침묵’과 ‘고통’을 ‘무거운’이 꾸며 줌으로써 그 시간이 더 길고 정도가 더한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침묵’과 ‘고통’의 이런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무거운 ~’의 꼴로만 나타난다. 이 표현을 ‘침묵이 무겁다’, ‘고통이 무겁다’의 꼴로 나타내면 틀린 문장이 된다.
  보통 우리말은 다음과 같은 문장의 변환 관계가 규칙적으로 이루어진다.
(9) . 어제 친구를 만났다. ↔ 어제 만난 친구
ㄴ. 해솔이와 현교가 과자를 먹는다. ↔ 해솔이와 현교가 먹는 과자
  이 규칙에 따르면 ‘무거운 침묵’, ‘무거운 고통’도 ‘침묵이 무겁다’, ‘고통이 무겁다’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할 텐데 뒤의 두 문장은 성립하지 않는다. 이 경우도 중심의미에서 의미가 점점 번져나가 규칙이 지켜지지 않는 예외적인 현상이다.
  ‘새까만 후배/쫄병’, ‘새빨간 거짓말’의 경우도 여기에 해당한다. 이 표현들을 ‘후배가/쫄병이 새까맣다’, ‘거짓말이 새빨갛다’로 환원하면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거나 틀린 문장이 된다. ‘새까만 후배’, ‘새빨간 거짓말’의 ‘새까만’, ‘새빨간’은 ‘색깔’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 역시도 중심의미에서 의미가 점점 번져 나가 (9)에서와 같은 규칙이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다음 호에 계속)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