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겨레는 반만 년의 오랜 역사를 이어 오면서 타고난 창의성과 뛰어난 기량, 피땀 어린 끈기로 독자적인 민족 문화를 창조, 이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습니다. 그 가운데에서도 한글 창제는 우리 문화사상 으뜸 가는 자랑거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오늘날 세계의 여러 언어학자들은 한글이 독창성과 과학성을 지닌 뛰어난 문자라는 사실을 한결같이 인정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문자가 만들어진 날을 기념하는 겨레는 지구상에서 우리밖에 없다는 사실도 크나큰 민족적 긍지가 되어 왔습니다.

  올해는 세종 임금께서 한글을 만들어 널리 펴신 지 550돌이 되는 뜻 깊은 해입니다. 세종께서 한글을 창제하신 목적은 훈민정음 어제 서문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국어의 구조와 음운 체계에 알맞은 문자를 마련해야겠다는 주체사상과 만백성 누구에게나 문자 이용의 혜택을 골고루 누리게 해야겠다는 민본, 민주사상과 실용주의 사상이 그것입니다. 또한 한글 창제에는 한문을 비롯한 외국어 학습을 쉽게하여 인접국과의 교류를 원활히 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으니, 그 당시에도 이미 민족 문화의 세계화에 큰 관심을 기울였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한글 창제 정신을 이제는 전세계인이 함께 기리고 있습니다. 유엔 산하 기관인 유네스코가 문맹 퇴치에 공이 큰 각국의 기관과 단체에게 ’90년도부터 매년 세종 임금의 이름을 딴 ‘세종 대왕상’(King Sejong Prize)을 수여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문맹률이 세계 여러 나라와 비교하였을 때 극히 낮은 것은 누구나 쉽게 익혀, 쓰기 편하게 하려는 세종 임금의 한글 창제 정신에서 비롯되었다 할 것입니다.

  훈민정음 반포 550돌을 맞은 올해에 한글 창제에 담긴 참뜻을 다시 한 번 되새겨 보고자 여기에 몇 편의 글을 모아 ‘21세기의 한글’이라는 책자를 펴냅니다. 훌륭한 글을 보내 주신 필자 여러분과, 영문 번역을 맡아 주신 김정우 교수와 로버트 리치(Robert Leitch) 교수께 깊이 감사 드립니다. 아무쪼록 이 작은 책자가 국내외에서 우리말을 연구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우리말 우리 문자의 세계화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1996. 12. 문화체육부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