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콘텐츠 바로가기
본문
        •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 외래어는 표 1~19에 따라 표기한다.
        •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국제 음성 기호와 한글 대조표
          자음반모음모음
          국제 음성
          기호
          한글국제 음성
          기호
          한글국제 음성
          기호
          한글
          모음 앞자음 앞
          또는 어말
          p ㅂ, 프 j 이* i
          b ɥ y
          t ㅅ, 트 w 오, 우* e
          d     ø
          k ㄱ, 크     ɛ
          g     ɛ̃
          f     œ
          v    
          θ     æ
          ð     a
          s     ɑ
          z     ɑ̃
          ʃ 슈, 시     ʌ
          ʒ     ɔ
          ʦ     ɔ̃

          ʣ

              o
          ʧ     u
          ʤ     ə**
          m     ɚ
          n        
          ɲ 니*        
          ŋ        
          l ㄹ, ㄹㄹ        
          r        
          h        
          ç        
          x        

          * [j], [w]의 '이'와 '오, 우', 그리고 [ɲ]의 '니'는 모음과 결합할 때 제3장 표기 세칙에 따른다.

          ** 독일어의 경우에는 '에', 프랑스어의 경우에는 '으'로 적는다.

        • 에스파냐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에스파냐어 자모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

          자음 앞ㆍ어말

          자음 b biz 비스, blandon 블란돈, braceo 브라세오
          c ㅋ, ㅅ ㄱ, 크

          colcren 콜크렌, Cecilia 세실리아, coccion 콕시온,

          bistec 비스텍, dictado 딕타도

          ch chicharra 치차라
          d felicidad 펠리시다드
          f fuga 푸가, fran 프란
          g ㄱ, ㅎ ganga 강가, geologia 헤올로히아, yungla 융글라
          h hipo 이포, quehacer 케아세르
          j jueves 후에베스, reloj 렐로
          k kapok 카포크
          l ㄹ, ㄹㄹ lacrar 라크라르, Lulio 룰리오, ocal 오칼
          ll 이* llama 야마, lluvia 유비아
          m membrete 멤브레테
          n noche 노체, flan 플란
          ñ 니* ñoñez 뇨녜스, mañana 마냐나
          p ㅂ, 프 pepsina 펩시나, plantón 플란톤
          q quisquilla 키스키야
          r rascador 라스카도르
          s sastreria 사스트레리아
          t tetraetro 테트라에트로
          v viudedad 비우데다드
          x

          ㅅ, 

          ㄱㅅ

          ㄱ스 xenón 세논, laxante 락산테, yuxta 육스타
          z zagal 사갈, liquidez 리키데스
          반모음 w 오ㆍ우* walkirias 왈키리아스
          y 이* yungla 융글라
          모음 a braceo 브라세오
          e reloj 렐로
          i Lulio 룰리오
          o ocal 오칼
          u viudedad 비우데다드

          * ll, y, ñ, w의 '이, 니, 오, 우'는 다른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이탈리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 b Bologna 볼로냐, bravo 브라보
          c ㅋ, ㅊ

          Como 코모, Sicilia 시칠리아, Boccaccio 보카치오,

          credo 크레도

          ch Pinocchio 피노키오, cherubino 케루비노
          d Dante 단테, drizza 드리차
          f Firenze 피렌체, freddo 프레도
          g ㄱ, ㅈ Galileo 갈릴레오, Genova 제노바, gloria 글로리아
          h hanno 안노, oh 오
          l ㄹ, ㄹㄹ Milano 밀라노, largo 라르고, palco 팔코
          m Macchiavelli 마키아벨리, mamma 맘마, Campanella 캄파넬라
          n Nero 네로, Anna 안나, divertimento 디베르티멘토
          p Pisa 피사, prima 프리마
          q quando 콴도, queto 퀘토
          r Roma 로마, Marconi 마르코니
          s Sorrento 소렌토, asma 아스마, sasso 사소
          t Torino 토리노, tranne 트란네
          v Vivace 비바체, manovra 마노브라
          z nozze 노체, mancanza 만칸차
          모음 a abituro 아비투로, capra 카프라
          e erta 에르타, padrone 파드로네
          i infamia 인파미아, manica 마니카
          o oblio 오블리오, poetica 포에티카
          u uva 우바, spuma 스푸마
        •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가나한글
          어두어중ㆍ어말
          ア イ ウ エ オ 아 이 우 에 오 아 이 우 에 오
          カ キ ク ケ コ 가 기 구 게 고 카 키 쿠 케 코
          サ シ ス セ ソ 사 시 스 세 소 사 시 스 세 소
          タ チ ツ テ ト 다 지 쓰 데 도 타 치 쓰 테 토
          ナ ニ ヌ ネ ノ 나 니 누 네 노 나 니 누 네 노
          ハ ヒ フ ヘ ホ 하 히 후 헤 호 하 히 후 헤 호
          マ ミ ム メ モ 마 미 무 메 모 마 미 무 메 모
          ヤ イ ユ エ ヨ 야 이 유 에 요 야 이 유 에 요
          ラ リ ル レ ロ 라 리 루 레 로 라 리 루 레 로
          ワ (ヰ) ウ (ヱ) ヲ 와 (이) 우 (에) 오 와 (이) 우 (에) 오
           
          ガ ギ グ ゲ ゴ 가 기 구 게 고 가 기 구 게 고
          ザ ジ ズ ゼ ゾ 자 지 즈 제 조 자 지 즈 제 조
          ダ ヂ ヅ デ ド 다 지 즈 데 도 다 지 즈 데 도
          バ ビ ブ ベ ボ 바 비 부 베 보 바 비 부 베 보
          パ ピ プ ペ ポ 파 피 푸 페 포 파 피 푸 페 포
          キャ キュ キョ 갸 규 교 캬 큐 쿄
          ギャ ギュ ギョ 갸 규 교 갸 규 교
          シャ シュ ショ 샤 슈 쇼 샤 슈 쇼
          ジャ ジュ ジョ 자 주 조 자 주 조
          チャ チュ チョ 자 주 조 차 추 초
          ニャ ニュ ニョ 냐 뉴 뇨 냐 뉴 뇨
          ヒャ ヒュ ヒョ 햐 휴 효 햐 휴 효
          ビャ ビュ ビョ 뱌 뷰 뵤 뱌 뷰 뵤
          ピャ ピュ ピョ 퍄 퓨 표 퍄 퓨 표
          ミャ ミュ ミョ 먀 뮤 묘 먀 뮤 묘
          リャ リュ リョ 랴 류 료 랴 류 료
        • 중국어의 발음 부호와 한글 대조표
          성 모 (聲母)
          음의
          분류
          한어
          병음
          자모
          주음
          부호
          한글음의
          분류
          한어
          병음
          자모
          주음
          부호
          한글
          중순성
          重脣聲
          b설면성
          舌面聲
          j
          pq
          mx
          순치성*f교설첨성
          翹舌尖聲
          zh
          [zhi]
          ㅈ [즈]
          설첨성
          舌尖聲
          dch
          [chi]
          ㅊ [츠]
          tsh
          [shi]
          ㅅ [스]
          nr [ri]

          ㄹ [르]
          l설치성
          舌齒聲
          z [zi]ㅉ [쯔]
          설근성
          舌根聲
          gc [ci]ㅊ [츠]
          ks [si]ㅆ [쓰]
          h    
          운 모 (韻母)
          음의
          분류
          한어
          병음
          자모
          주음
          부호
          한글음의
          분류
          한어
          병음
          자모
          주음
          부호
          한글
          단운
          單韻
          a











          yai야이
          o

          yao

          (iao)

          야오
          e

          you

          (iou, 

          iu)

          ê

          yan

          (ian)

          yi
          (i)
          yin(in)
          wu
          (u)

          yang

          (iang)

          yu
          (u)

          ying

          (ing)

          복운
          複韻
          ai아이




          wa

          (ua)

          ei에이

          wo

          (uo)

          ao아오

          wai

          (uai)

          와이
          ou어우

          wei

          (ui)

          웨이

          (우이)

          부성운
          附聲韻
          an

          wan

          (uan)

          en

          wen

          (un)


          (운)
          ang

          wang

          (uang)

          eng

          weng

          (ong)


          (웅)
          권설운*er
          (r)





          yue

          (ue)

           

           

          ya
          (ia)

          yuan

          (uan)

          위안
          yo

          yun

          (un)

          ye
          (ie)

          yong

          (iong)

          [ ]는 단독 발음될 경우의 표기임. ( )는 자음이 선행할 경우의 표기임.
          * 순치성(脣齒聲), 권설운(捲舌韻).

        • 폴란드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bㅂ, 브, 프burak 부라크, szybko 십코, dobrze 도브제, chleb 흘레프
          ccel 첼, Balicki 발리츠키, noc 노츠
          ćdać 다치
          d드, 트dach 다흐, zdrowy 즈드로비, słodki 스워트키, pod 포트
          ffasola 파솔라, befsztyk 베프슈티크
          gㄱ, 그, 크góra 구라, grad 그라트, targ 타르크
          hherbata 헤르바타, Hrubieszów 흐루비에슈프
          kㄱ, 크kino 키노, daktyl 닥틸, król 크룰, bank 반크
          l

          ㄹ,

          ㄹㄹ

          lis 리스, kolano 콜라노, motyl 모틸
          mㅁ, 므most 모스트, zimno 짐노, sam 삼
          nnerka 네르카, dokument 도쿠멘트, dywan 디반
          ńGdańsk 그단스크, Poznań 포즈난
          pㅂ, 프para 파라, Słupsk 스웁스크, chłop 흐워프
          rrower 로베르, garnek 가르네크, sznur 슈누르
          sserce 세르체, srebro 스레브로, pas 파스
          śślepy 실레피, dziś 지시
          ttam 탐, matka 마트카, but 부트
          w브, 프Warszawa 바르샤바, piwnica 피브니차, krew 크레프
          z즈, 스zamek 자메크, zbrodnia 즈브로드니아, wywóz 비부스
          ź지, 시gwoździk 그보지지크, więź 비엥시
          żㅈ, 시*주, 슈, 시żyto 지토, różny 루주니, łyżka 위슈카, straż 스트라시
          chchory 호리, kuchnia 쿠흐니아, dach 다흐
          dz즈, 츠dziura 지우라, dzwon 즈본, mosiądz 모시옹츠
          niedźwiedź 니에치비에치

          dż,

          drz

          drzewo 제보, łodż 워치
          czczysty 치스티, beczka 베치카, klucz 클루치
          sz시*슈, 시szary 샤리, musztarda 무슈타르다, kapelusz 카펠루시
          rzㅈ, 시*주, 슈, 시rzeka 제카, Przemyśl 프셰미실, kołnierz 코우니에시
          반모음j이*jasny 야스니, kraj 크라이
          łłono 워노, głowa 그워바, bułka 부우카, kanał 카나우
          모음atrawa 트라바
          ą̨trąba 트롱바, mąka 몽카, kąt 콩트, tą 통
          ezero 제로
          ę엥, 에kępa 켕파, węgorz 벵고시, Częstochowa 쳉스토호바, proszę 프로셰
          izima 지마
          oudo 우도
          ópróba 프루바
          ukula 쿨라
          ydaktyl 닥틸

          * ż, sz, rz의 '시'와 j의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체코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bㅂ, 브, 프barva 바르바, obchod 옵호트, dobrý 도브리, jeřab 예르자프
          ccigareta 치가레타, nemocnice 네모츠니체, nemoc 네모츠
          ččapek 차페크, kulečnik 쿨레치니크, míč 미치
          d드, 트dech 데흐, divadlo 디바들로, led 레트
          d'디*디, 티d'ábel 댜벨, lod'ka 로티카, hrud' 흐루티
          ffík 피크, knoflík 크노플리크
          gㄱ, 그, 크gramofon 그라모폰
          hhadr 하드르, hmyz 흐미스, bůh 부흐
          chchoditi 호디티, chlapec 흘라페츠, prach 프라흐
          kㄱ, 크kachna 카흐나, nikdy 니크디, padák 파다크
          l

          ㄹ,

          ㄹㄹ

          lev 레프, šplhati 슈플하티, postel 포스텔
          mㅁ, 므most 모스트, mrak 므라크, podzim 포드짐
          nnoha 노하, podmínka 포드민카
          ň니*němý 네미, sáňky 산키, Plzeň 플젠
          pㅂ, 프Praha 프라하, koroptev 코롭테프, strop 스트로프
          qu크ㅂquasi 크바시
          rruka 루카, harmonika 하르모니카, mír 미르
          ř르ㅈ

          르주, 르슈,

          르시

          řeka 르제카, námořník 나모르주니크, hořký 호르슈키,

           kouř 코우르시

          ssedlo 세들로, máslo 마슬로, nos 노스
          š시*슈, 시šaty 샤티, Šternberk 슈테른베르크, koš 코시
          ttam 탐, matka 마트카, bolest 볼레스트
          t'티*tělo 텔로, štěstí 슈테스티, obět' 오베티
          v브, 프vysoký 비소키, knihovna 크니호브나, kov 코프
          w브, 프 
          x**ㄱㅅ, ㅈㄱ스xerox 제록스, saxofón 삭소폰
          z즈, 스zámek 자메크, pozdní 포즈드니, bez 베스
          ž주, 슈, 시

          Žižka 지슈카, Žvěřina 주베르지나, Brož 브로시

          반모음j이*jaro 야로, pokoj 포코이
          모음a, ábalík 발리크, komár 코마르
          e, édech 데흐, léto 레토
          ě

          sěst 셰스트, věk 베크

          i, íkino 키노, míra 미라
          o,óobec 오베츠, nervózni 네르보즈니
          u, ú, ůbuben 부벤, úrok 우로크, dům 둠
          y, ýjazyk 야지크, líný 리니

          * d', ň, š, t', j의 '디, 니, 시, 티,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x는 개별 용례에 따라 한글 표기를 정한다.

        • 세르보크로아트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bbog 보그, drobnjak 드로브냐크, pogreb 포그레브
          ccigara 치가라, novac 노바츠
          ččelik 첼리크, točka 토치카, kolač 콜라치
          ć, tjnaći 나치, sestrić 세스트리치
          ddesno 데스노, drvo 드르보, medved 메드베드
          džep 제프, narudžba 나루지바
          đ,djÐurađ 주라지
          ffasada 파사다, kifla 키플라, šaraf 샤라프
          ggost 고스트, dugme 두그메, krug 크루그
          hhitan 히탄, šah 샤흐
          kㄱ, 크korist 코리스트, krug 크루그, jastuk 야스투크
          l

          ㄹ,

          ㄹㄹ

          levo 레보, balkon 발콘, šal 샬
          lj

          리*,

          ㄹ리*

          ljeto 레토, pasulj 파술
          mㅁ, 므malo 말로, mnogo 므노고, osam 오삼
          nnos 노스, banka 반카, loman 로만
          nj니*Njegoš 녜고시, svibanj 스비반
          pㅂ, 프peta 페타, opština 옵슈티나, lep 레프
          rriba 리바, torba 토르바, mir 미르
          ssedam 세담, posle 포슬레, glas 글라스
          š시*슈, 시šal 샬, vlasništvo 블라스니슈트보, broš 브로시
          ttelo 텔로, ostrvo 오스트르보, put 푸트
          vvatra 바트라, olovka 올로브카, proliv 프롤리브
          zzavoj 자보이, pozno 포즈노, obraz 오브라즈
          žžena 제나, izložba 이즐로주바, muž 무주
          반모음j이*pojas 포야스, zavoj 자보이, odjelo 오델로
          모음abakar 바카르
          ecev 체브
          idim 딤
          omolim 몰림
          uzubar 주바르

          * lj, nj, š, j의 '리, 니, 시,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루마니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bbibliotecǎ 비블리오테커, alb 알브
          cㅋ, ㅊㄱ, 크Cîntec 큰테크, Cine 치네, facturǎ 팍투러
          dMoldova 몰도바, Brad 브라드
          fFocşani 폭샤니, Cartof 카르토프
          gㄱ, ㅈGalaţi 갈라치, Gigel 지젤, hering 헤린그
          hhaţeg 하체그, duh 두흐
          jJiu 지우, Cluj 클루지
          kkilogram 킬로그람
          lㄹ, ㄹㄹbibliotecǎ 비블리오테커, hotel 호텔
          mMaramureş 마라무레슈, Avram 아브람
          nㄴ, 느Nucet 누체트, Bran 브란, pumn 품느
          pㅂ, 프pianist 피아니스트, septembrie 셉템브리에, cap 카프
          rradio 라디오, dor 도르
          sSibiu 시비우, pas 파스
          ş시*şag 샤그, Mureş 무레슈
          ttelefonist 텔레포니스트, bilet 빌레트
          ţţigarǎ 치가러, braţ 브라츠
          vVictoria 빅토리아, Braşov 브라쇼브
          x**ㄱㅅ, 그ㅈ크스, ㄱ스taxi 탁시, examen 에그자멘
          zziar 지아르, autobuz 아우토부즈
          chCheia 케이아
          ghGheorghe 게오르게
          모음aArad 아라드
          ǎBacǎu 바커우
          eElena 엘레나
          ipianist 피아니스트
          î, âCîmpina 큼피나, România 로므니아
          oOradea 오라데아
          uNucet 누체트

          * ş의 '시'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x는 개별 용례에 따라 한글 표기를 정한다.

        • 헝가리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bbab 버브, ablak 어블러크
          ccitrom 치트롬, nyolcvan 뇰츠번, arc 어르츠
          cscsavar 처버르, kulcs 쿨치
          ddaru 더루, medve 메드베, gond 곤드
          dzsdzsem 젬
          felfog 엘포그
          ggumi 구미, nyugta 뉴그터, csomag 초머그
          gygyár 자르, hagyma 허지머, nagy 너지
          hhal 헐, juh 유흐
          kㄱ, 크béka 베커, keksz 켁스, szék 세크
          lㄹ, ㄹㄹlen 렌, meleg 멜레그, dél 델
          mmálna 말너, bomba 봄버, álom 알롬
          nnéma 네머, bunda 분더, pihen 피헨
          ny니*nyak 녀크, hányszor 하니소르, irány 이라니
          pㅂ, 프árpa 아르퍼, csipke 칩케, hónap 호너프
          rróka 로커, barna 버르너, ár 아르
          s시*슈, 시sál 샬, puska 푸슈카, aratás 어러타시
          szalszik 얼시크, asztal 어스털, húsz 후스
          tajto 어이토, borotva 보로트버, csont 촌트
          tyatya 어처
          vvesz 베스, évszázad 에브사저드, enyv 에니브
          zzab 저브, kezd 케즈드, blúz 블루즈
          zszsák 자크, tőzsde 퇴주데, rozs 로주
          반모음j이*ajak 어여크, fej 페이, január 여누아르
          ly이*lyuk 유크, mélység 메이셰그, király 키라이
          모음alakat 러커트
          ámáj 마이
          emert 메르트
          émész 메스
          iisten 이슈텐
          ísí 시
          otorna 토르너
          óróka 로커
          ösör 쇠르
          őnő 뇌
          ubunda 분더
          úhús 후시
          üfüst 퓌슈트
          űfű 퓌

          * ny, s, j, ly의 ‘니, 시, 이,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스웨덴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스웨덴어 자모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 b ㅂ, 브 bal 발, snabbt 스납트, Jacob 야코브
          c ㅋ, ㅅ Carlsson 칼손, Celsius 셀시우스, Ericson 에릭손
          ch 시* charm 샤름, och 오크
          d dag 다그, dricka 드리카, Halmstad 할름스타드
          dj 이* Djurgården 유르고르덴, adjö 아예
          ds Sundsvall 순스발
          f Falun 팔룬, luft 루프트
          g   Gustav 구스타브, helgon 헬곤
            이*  

          Göteborg 예테보리, Geijer 예이예르, Gislaved 이슬라베드

              이(lg, rg) älg 엘리, Strindberg 스트린드베리, Borg 보리
              ㅇ(n 앞) Magnus 망누스, Ragnar 랑나르, Agnes 앙네스
              ㄱ(무성음 앞) högst 획스트
              Grönberg 그뢴베리, Ludvig 루드비그
          gj 이* Gjerstad 예르스타드, Gjörwell 예르벨
          h 적지 않음 Hälsingborg 헬싱보리, hyra 휘라, Dahl 달
          hj 이* Hjälmaren 옐마렌, Hjalmar 얄마르, Hjort 요르트
          j 이* Jansson 얀손, Jönköping 옌셰핑, Johansson 요한손,

          börja 뵈리아, fjäril 피에릴, mjuk 미우크, mjöl 미엘

          k ㅋ, 시* ㄱ, 크

          Karl 칼, Kock 코크, Kungsholm 쿵스홀름, 

          Kerstin 셰르스틴, Norrköping 노르셰핑, Lysekil 뤼세실, oktober 옥토베르, Fredrik 프레드리크, kniv 크니브

          ck ㄱ, 크 vacker 바케르, Stockholm 스톡홀름, bock 보크
          kj 시* Kjell 셸, Kjula 슐라
          l ㄹ, ㄹㄹ Linköping 린셰핑, tala 탈라, tal 탈
          lj 이*, ㄹ리 ㄹ리 Ljusnan 유스난, Södertälje 쇠데르텔리에, detalj 데탈리
          m Malmö 말뫼, samtal 삼탈, hummer 훔메르
          n Norrköping 노르셰핑, Vänern 베네른, land 란드
          적지 않음
          (m 다음)
          Karlshamn 칼스함
          ng Borlänge 볼렝에, kung 쿵, lång 롱
          nk ㅇㅋ ㅇ, ㅇ크 anka 앙카, Sankt 상트, bank 방크
          p ㅂ, 프

          Piteå 피테오, knappt 크납트, Uppsala 웁살라,

          kamp 캄프

          qv 크ㅂ Malmqvist 말름크비스트, Lindqvist 린드크비스트
          r röd 뢰드, Wilander 빌란데르, Björk 비에르크
          rl ㄹㄹ Erlander 엘란데르, Karlgren 칼그렌, Jarl 얄
          s sommar 솜마르, Storvik 스토르비크, dans 단스
          sch 시* Schack 샤크, Schein 셰인, revansch 레반슈
          sj 시* Nässjö 네셰, sjukhem 슈크헴, Sjöberg 셰베리
          sk 스ㅋ, 시* Skoglund 스코글룬드, Skellefteå 셸레프테오, Skövde 셰브데, Skeppsholmen 솁스홀멘
          skj 시* Hammarskjöld 함마르셸드, Skjöldebrand 셸데브란드
          stj 시* Stjärneborg 셰르네보리, Oxenstjerna 옥센셰르나
          t ㅅ, 트 Göta 예타, Botkyrka 봇쉬르카, Trelleborg 트렐레보리,

           

          båt 보트

          th Luther 루테르, Thunberg 툰베리
          ti 시* lektion 렉숀, station 스타숀
          tj 시* tjeck 셰크, Tjåkkå 쇼코, tjäna 셰나, tjugo 슈고
          v, w Sverige 스베리예, Wasa 바사, Swedenborg 스베덴보리, Eslöv 에슬뢰브
          x ㄱㅅ ㄱ스 Axel 악셀, Alexander 알렉산데르, sex 섹스
          z Zachris 사크리스, zon 손, Lorenzo 로렌소
          모음 a Kalix 칼릭스, Falun 팔룬, Alvesta 알베스타
          e Enköping 엔셰핑, Svealand 스베알란드
          ä Mälaren 멜라렌, Vänern 베네른, Trollhättan 트롤헤탄
          i Idre 이드레, Kiruna 키루나
          å Åmål 오몰, Västerås 베스테로스, Småland 스몰란드
          o Boden 보덴, Stockholm 스톡홀름, Örebro 외레브로
          ö 외, 에

          Östersund 외스테르순드, Björn 비에른, Linköping

          린셰핑

          u Umeå 우메오, Luleå 룰레오, Lund 룬드
          y Ystad 위스타드, Nynäshamn 뉘네스함, Visby 비스뷔

          * dj, g, gj, hj, j, lj의 ‘이’와 ch, k, kj, sch, sj, sk, skj, stj, ti, tj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다만 j는 표기 세칙 제4항, 제11항을 따른다.

        • 노르웨이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노르웨이어 자모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 b ㅂ, 브 Bodø 보되, Ibsen 입센, dobb 도브
          c ㅋ, ㅅ Jacob 야코브, Vincent 빈센트
          ch Joachim 요아킴, Christian 크리스티안
          d   Bodø 보되, Norden 노르덴
            적지 않음
          (장모음 뒤)
            spade 스파에
              적지 않음
          (ld, nd의 d)

          Arnold 아르놀, Harald 하랄, Roald 로알, Aasmund

          오스문, Vigeland 비겔란, Svendsen 스벤센

              적지 않음
          (장모음+rd)

          fjord 피오르, Sigurd 시구르, gård 고르, nord 노르,

          Halvard 할바르, Edvard 에드바르

             
          (단모음+rd)
          ferd 페르드, Rikard 리카르드
              적지 않음
          (장모음 뒤)
          glad 글라, Sjaastad 쇼스타
              dreng 드렝, bad 바드
          f Hammerfest 함메르페스트, biff 비프
          g   gå 고, gave 가베
            이*   gigla 이글라, gyllen 윌렌
              적지 않음
          (이중 모음 뒤와 ig, lig)
          haug 헤우, deig 데이, Solveig 솔베이, farlig 팔리
              ㅇ (n 앞) Agnes 앙네스, Magnus 망누스
              ㄱ(무성음 앞) sagtang 삭탕
              grov 그로브, berg 베르그, helg 헬그
          gj 이* Gjeld 옐, gjenta 옌타
          h   Johan 요한, Holm 홀름
              적지 않음 Hjalmar 얄마르, Hvalter 발테르, Krohg 크로그
          j 이*

          Jonas 요나스, Bjørn 비에른, fjord 피오르,

          Skodje 스코디에, Evje 에비에, Tjeldstø 티엘스퇴

          k ㅋ, 시* ㄱ, 크 Rikard 리카르드, Kirsten 시르스텐, Kyndig 쉰디, Køyra 셰위라, lukt 룩트, Erik 에리크
          kj 시* Kjerschow 셰르쇼브, Kjerulf 셰룰프, Mikkjel 미셸
          l ㄹ, ㄹㄹ Larvik 라르비크, Ålesund 올레순, sol 솔
          m Moss 모스, Trivandrum 트리반드룸
          n Namsos 남소스, konto 콘토
          ng Lange 랑에, Elling 엘링, tvang 트방
          nk ㅇㅋ

          ㅇ, ㅇ크

          ankel 앙켈, punkt 풍트, bank 방크
          p ㅂ, 프 pels 펠스, september 셉템베르, sopp 소프
          qu 크ㅂ Quisling 크비슬링
          r Ringvassøy 링바쇠위, Lillehammer 릴레함메르
          rl ㄹㄹ Øverland 외벨란
          s Namsos 남소스, Svalbard 스발바르
          sch 시* Schæferhund 셰페르훈, Frisch 프리슈
          sj 시* Sjaastad 쇼스타, Sjoa 쇼아
          sk 스ㅋ, 시* 스크

          skatt 스카트, Skienselv 시엔스엘브, skram 스크람,

          Ekofisk 에코피스크

          skj 시* Skjeggedalsfoss 셰게달스포스, Skjåk 쇼크
          t ㅅ, 트 metal 메탈, husets 후셋스, slet 슬레트, lukt 룩트
              적지 않음
          (어말 관사 et)
          huset 후세, møtet 뫼테, taket 타케
          th Dorthe 도르테, Matthias 마티아스, Hjorth 요르트
          tj 시* tjern 셰른, tjue 슈에
          v, w varm 바름, Kjerschow 셰르쇼브
          모음 a Hamar 하마르, Alta 알타
          aa, å

          Aall 올, Aasmund 오스문, Kåre 코레, Vesterålen

          베스테롤렌, Vestvågøy 베스트보괴위, Ålesund 올레순

          au 에우 haug 헤우, lauk 레우크, grauk 그레우크
          æ være 베레, Svolvær 스볼베르
          e esel 에셀, fare 파레
          eg 에이, 에그 regn 레인, tegn 테인, negl 네일, deg 데그, egg 에그
          ø 외, 에 Løken 뢰켄, Gjøvik 예비크, Bjørn 비에른
          i Larvik 라르비크, Narvik 나르비크
          ie Grieg 그리그, Nielsen 닐센, Lie 리
          o Lonin 로닌, bok 보크, bord 보르, fjorten 피오르텐
          øg 외위 døgn 되윈, løgn 뢰윈
          øy 외위 høy 회위, røyk 뢰위크, nøytral 뇌위트랄
          u Ålesund 올레순, Porsgrunn 포르스그룬
          y Stjernøy 스티에르뇌위, Vestvågøy 베스트보괴위

          * g, gj, j, lj의 ‘이’와 k, kj, sch, sj, sk, skj, tj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다만, j는 표기 세칙 제5항, 제12항을 따른다.

        • 덴마크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덴마크어 자모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 b ㅂ, 브

          Bornholm 보른홀름, Jacobsen 야콥센,

          Holstebro 홀스테브로

          c ㅋ, ㅅ

          cafeteria 카페테리아, centrum 센트룸, crosset 크로세트

          ch 시* Charlotte 샤를로테, Brochmand 브로크만, Grønbech 그뢴베크
          d   Odense 오덴세, dansk 단스크, vendisk 벤디스크
             

          적지 않음
          (ds, dt, ld,

          nd, rd)

          plads 플라스, Grundtvig 그룬트비, kridt 크리트, Lolland 롤란, Öresund 외레순, hård 호르
              드 (ndr) andre 안드레, vandre 반드레
              dreng 드렝
          f Falster 팔스테르, flod 플로드, ruf 루프
          g   give 기베, general 게네랄, gevær 게베르, hugge 후게
              적지 않음
          (어미 ig)
          herlig 헤를리, Grundtvig 그룬트비
              (u와 l 사이) fugl 풀, kugle 쿨레
              (borg, berg) Nyborg 뉘보르, Frederiksberg 프레데릭스베르
              magt 마그트, dug 두그
          h 적지 않음 Helsingør 헬싱외르, Dahl 달
          hj 이* hjem 옘, hjort 요르트, Hjøring 예링
          j 이* Jensen 옌센, Esbjerg 에스비에르, Skjern 스키에른
          k ㄱ, 크

          København 쾨벤하운, køre 쾨레, Skære 스케레,

          Frederikshavn 프레데릭스하운, Holbæk 홀베크

          l ㄹ, ㄹㄹ Lolland 롤란, Falster 팔스테르
          m Møn 묀, Bornholm 보른홀름
          n Rønne 뢰네, Fyn 퓐
          ng Helsingør 헬싱외르, Hjøring 예링
          nk ㅇㅋ ㅇ크 ankel 앙켈, Munk 뭉크
          p ㅂ, 프

          hoppe 호페, september 셉템베르, spring 스프링,

          hop 호프

          qu 크ㅂ Taanquist 톤크비스트
          r Rønne 뢰네, Helsingør 헬싱외르
          s, sc

          Sorø 소뢰, Roskilde 로스킬레, Århus 오르후스,

          scene 세네

          sch 시* Schæfer 셰페르
          sj 시* Sjælland 셸란, sjal 샬, sjus 슈스
          t ㅅ, 트 Tønder 퇴네르, stå 스토, vittig 비티, nattkappe 낫카페, træde 트레데, streng 스트렝, hat 하트, krudt 크루트
          th Thorshavn 토르스하운, Thisted 티스테드
          v  

          Vejle 바일레, dvale 드발레, pulver 풀베르, rive 리베,

          lyve 뤼베, løve 뢰베

           

          우 

          (단모음 뒤)

           

          doven 도우엔, hoven 호우엔, oven 오우엔,

          sove 소우에

              적지 않음 (lv) halv 할, gulv 굴
             

          (av, æv, øv, 

          ov, ev)

          gravsten 그라우스텐, København 쾨벤하운, Thorshavn 토르스하운, jævn 예운, Støvle 스퇴울레, lov 로우,

          rov 로우, Hjelmslev 옐름슬레우

              arv 아르브
          x ㄱㅅ ㄱ스 Blixen 블릭센, sex 섹스
          z zebra 세브라
          모음 a Falster 팔스테르, Randers 라네르스
          æ Næstved 네스트베드, træ 트레, fæ 페, mæt 메트
          aa, å Kierkegaard 키르케고르, Århus 오르후스, lås 로스
          e Horsens 호르센스, Brande 브라네
          eg 아이 negl 나일, segl 사일, regn 라인
          ej 아이 Vejle 바일레, Sejerø 사이에뢰
          ø Rønne 뢰네, Ringkøbing 링쾨빙, Sorø 소뢰
          øg 오이 nøgle 노일레, øgle 오일레, løgn 로인, døgn 도인
          øj 오이 Højer 호이에르, øje 오이에
          i Ribe 리베, Viborg 비보르
          ie Niels 닐스, Nielsen 닐센, Nielson 닐손
          o Odense 오덴세, Svendborg 스벤보르
          u Århus 오르후스, Toflund 토플룬
          y Fyn 퓐, Thy 튀

          * hj, j의 ‘이’와 sch, sj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다만, j는 표기 세칙 제5항을 따른다.

        • 말레이인도네시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말레이인도네시아어 자모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 b ㅂ, 브 Bali 발리, Abdul 압둘, Najib 나집, Bromo 브로모
          c Ceto 체토, Aceh 아체, Mac 마츠
          d ㅅ, 드 Denpasar 덴파사르, Ahmad 아맛, Idris 이드리스
          f Fuji 푸지, Arifin 아리핀, Jusuf 유숩
          g ㄱ, 그 gamelan 가믈란, gudeg 구득, Nugroho 누그로호
          h Halmahera 할마헤라, Johor 조호르, Ipoh 이포
          j Jambi 잠비, Majapahit 마자파힛, mikraj 미크라즈
          k ㄱ, 크 Kalimantan 칼리만탄, batik 바틱, Krakatau 크라카타우
          kh ㄱ, 크 khas 하스, akhbar 악바르, Fakhrudin 파크루딘
          l ㄹ, ㄹㄹ Lombok 롬복, Palembang 팔렘방, Bangsal 방살
          m Maluku 말루쿠, bemo 베모, Iram 이람
          n Nias 니아스, Sukarno 수카르노, Prambanan 프람바난
          ng Ngarai 응아라이, bonang 보낭, Bandung 반둥
          p

          ㅂ, 프

          Padang 파당, Yap 얍, Suprana 수프라나
          q furqan 푸르칸, Taufiq 타우픽
          r ringgit 링깃, Rendra 렌드라, asar 아사르
          s Sabah 사바, Brastagi 브라스타기, Gemas 게마스
          t ㅅ, 트 Timor 티모르, Jakarta 자카르타, Rahmat 라맛, Trisno 트리스노
          v Valina 발리나, Eva 에바, Lovina 로비나
          x xenon 세논
          z zakat 자캇, Azlan 아즐란, Haz 하즈
          반모음 w 오, 우 Wamena 와메나, Badawi 바다위
          y Yudhoyono 유도요노, Surabaya 수라바야
          모음 a Ambon 암본, sate 사테, Pancasila 판차실라
          e 에, 으 Ende 엔데, Ampenan 암페난, Pane 파네, empat 음팟, besar 브사르, gendang 근당
          i Ibrahim 이브라힘, Biak 비악, trimurti 트리무르티
          o Odalan 오달란, Barong 바롱, komodo 코모도
          u Ubud 우붓, kulit 쿨릿, Dampu 담푸
          이중 모음 ai 아이 ain 아인, Rais 라이스, Jelai 즐라이
          au 아우 aula 아울라, Maumere 마우메레, Riau 리아우
          oi 오이 Amboina 암보이나, boikot 보이콧
        • 타이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타이어 자모
           로마자타이어
          자모
          한글보기
          모음 앞

          자음 앞ㆍ어말

          자음 b baht 밧, Chonburi 촌부리, Kulab 꿀랍
          c Caolaw 짜올라우
          ch

          Chiang Mai 치앙마이, buach 부앗

          d

          Dindaeng 딘댕, Rad Burana 랏부라나,

          Samed 사멧

          f Maefaluang 매팔루앙
          h

          He 헤, Lahu 라후, 

          Mae Hong Son 매홍손

          k

          Kaew 깨우, malako 말라꼬,

          Rak Mueang 락므앙, phrik 프릭

          kh

          Khaosan 카오산, lakhon 라콘,

          Caroenrachphakh 짜른랏팍

          l ㄹ,
          ㄹㄹ

          lamyai 람야이, Thalang 탈랑, Sichonl 시촌 

          m

          Maikhao 마이카오, mamuang 마무앙, 

          khanom 카놈, Silom 실롬

          n

          Nan 난, Ranong 라농, Arun 아룬, 

          Huahin 후아힌

          ng nga 응아, Mongkut 몽꿋, Chang 창
          p

          Pimai 삐마이, Paknam 빡남,

          Nakhaprathip 나카쁘라팁

          ph

          Phuket 푸껫, Phicit 피찟, 

          Saithiph 사이팁

          r ranat 라낫, thurian 투리안
          s Siam 시암, Lisu 리수, Saket 사껫
          t

          Tak 딱, Satun 사뚠, natsin 낫신,

          Phuket 푸껫

          th

          Tham Boya 탐보야, Thon Buri 톤부리, 

          thurian 투리안,
          song thaew 송태우, 

          Pathumthani 빠툼타니,

          Chaiyawath 차이야왓

          반모음 y

          lamyai 람야이, Ayutthaya 아유타야

          w 오, 우

          Wan Songkran 완송끄란,
          Malaiwong 말라이웡, song thaew 송태우

          모음 a -ะ

          Akha 아카, kapi 까삐, lang sad 랑삿,

          Phanga 팡아

          -า
          e เ-ะ Erawan 에라완, Akhane 아카네, 
          Panare 빠나레
          เ-
          i

          Sire 시레, linci 린찌, Krabi 끄라비, 

          Lumphini 룸피니

          o โ-ะ

          khon 콘, Loi 로이, namdokmai

          남독마이, Huaito 후아이또

          โ-
          เ-าะ
          -อ
          u

          thurian 투리안,
          Chonburi 촌부리,

          Satun 사뚠

          ae แ-ะ

          kaeng daeng 깽댕, Maew 매우,

          Bangsaen 방샌,
          Kaibae 까이배

          แ-
          oe เ-อะ Mai Mueangdoem 마이 므앙듬
          เ-อ
          ue

          kaeng cued 깽쯧, Maeraphueng 매라픙, Buengkum 븡꿈

        • 베트남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베트남어 자모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 b Bao 바오, bo 보
          c, k, q cao 까오, khac 칵, kiêt 끼엣, lăk 락, quan 꽌
          ch cha 짜, bach 박
          d, gi duc 죽, Dng 즈엉, gia 자, giây 저이
          đ đan 단, Đinh 딘
          g, gh gai 가이, go 고, ghe 개, ghi 기
          h hai 하이, hoa 호아
          kh Khai 카이, khi 키
          l ㄹ, ㄹㄹ lâu 러우, long 롱, My Lai 밀라이
          m minh 민, măm 맘, tôm 똠
          n Nam 남, non 논, bun 분
          ng, ngh ngo 응오, ang 앙, đông 동, nghi 응이, nghê 응에
          nh nhât 녓, nhn 년, minh 민, anh 아인
          p put 뿟, chap 짭
          ph Pham 팜, ph
          r rang 랑, rôi 로이
          s sang 상, so 소
          t tam 땀, têt 뗏, hat 핫
          th thao 타오, thu 투
          tr Trân 쩐, tre 째
          v vai 바이, vu 부
          x xanh 싸인, xeo 쌔오
          모음 a an 안, nam 남
          ă ăn 안, Đăng 당, măc 막
          â ân 언, cân 껀, lâu 러우
          e em 앰, cheo 째오
          ê êm 엠, chê 쩨, Huê 후에
          i in 인, dai 자이
          y yên 옌, quy 꾸이
          o ong 옹, bo 보
          ô ôm 옴, đông 동
          n 언, sn 선, mi 머이
          u um 움, cung 꿍
          n 은, t
          이중 모음 ia 이어 kia 끼어, ria 리어
          이에 chiêng 찌엥, diêm 지엠
          ua 우어 lua 루어, mua 무어
          우오 buôn 부온, quôc 꾸옥
          a 으어 ca 끄어, ma 므어, sa 스어
          으어 ru 르어우, phng 프엉
        • 포르투갈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 b bossa nova 보사노바, Abreu 아브레우
          c ㅋ, ㅅ

          Cabral 카브랄, Francisco 프란시스쿠, aspecto 아스펙투

          ç saraça 사라사, Eça 에사
          ch 시* Chaves 샤베스, Espichel 이스피셸
          d ㄷ, ㅈ

          escudo 이스쿠두, Bernardim 베르나르딩,

          Dias 지아스(브)

          f fado 파두, Figo 피구
          g ㄱ, ㅈ

          Saramago 사라마구, Jorge 조르즈, Portalegre

          포르탈레그르, Guerra 게하

          h Henrique 엔히크, hostia 오스티아
          j Aljezur 알제주르, panja 판자
          l ㄹ, ㄹㄹ ㄹ, 우

          Lisboa 리스보아, Manuel 마누엘, Melo 멜루,

          Salvador 사우바도르(브)

          lh ㄹ리* Coelho 코엘류, Batalha 바탈랴
          m ㅁ, ㅇ Moniz 모니스, Humberto 움베르투, Camocim 카모싱
          n ㄴ, ㅇ

          Natal 나탈, António 안토니우, Angola 앙골라, 

          Rondon 혼동

          nh 니* Marinha 마리냐, Matosinhos 마토지뉴스
          p

          Pedroso 페드로주, Lopes 로페스, Prado 프라두

          q Aquilino 아킬리누, Junqueiro 중케이루
          r ㄹ, ㅎ

          Freire 프레이르, Rodrigues 호드리게스,

          Cardoso 카르도주

          s ㅅ, ㅈ 스, 즈

          Salazar 살라자르, Barroso 바호주, Egas 에가스, 

          mesmo 메즈무

          t ㅌ, ㅊ

          Tavira 타비라, Garrett 가헤트, Aracati 아라카치(브)

          v Vicente 비센트, Oliveira 올리베이라
          x 시*, ㅈ

          Xira 시라, exame 이자므, exportar 이스포르타르

          z fazenda 파젠다, Diaz 디아스
          모음 a Almeida 알메이다, Egas 에가스
          e 에, 이, 으 Elvas 엘바스, escudo 이스쿠두, Mangualde 망구알드, Belmonte 베우몬치(브)
          i Amalia 아말리아, Vitorino 비토리누
          o 오, 우

          Odemira 오데미라, Melo 멜루, Passos 파수스

          u Manuel 마누엘, Guterres 구테흐스
          이중 모음 ai 아이 Sampaio 삼파이우, Cascais 카스카이스
          au 아우 Bauru 바우루, São Paulo 상파울루
          ãe 앙이

          Guimarães 기마랑이스, Magalhães 마갈량이스

          ão

          Durão 두랑, Fundão 푼당
          ei 에이 Ribeiro 히베이루, Oliveira 올리베이라
          eu 에우 Abreu 아브레우, Eusebio 에우제비우
          iu 이우

          Aeminium 아에미니웅, Ituiutaba 이투이우타바

          oi 오이 Coimbra 코임브라, Goiás 고이아스
          ou Lousã 로장, Mogadouro 모가도루
          õe 옹이 Camões 카몽이스, Pilões 필롱이스
          ui 우이 Luis 루이스, Cuiabá 쿠이아바

          * ch의 ‘시’, lh의 ‘리’, nh의 ‘니’, x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k, w, y는 외래어나 외래어에서 파생된 포르투갈식 어휘 또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약자나 기호의 표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포르투갈어 알파벳에 속하지 않으므로 해당 외래어 발음에 가깝게 표기한다.
          (브)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적용되는 표기이다.

        • 네덜란드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네덜란드어 자모
           자모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ㆍ어말
          자음 b ㅂ, 브, 프 Borst 보르스트, Bram 브람, Jacob 야코프
          c ㄱ, 크 Campen 캄펀, Nicolaas 니콜라스, topic 토픽, scrupel 스크뤼펄
              cyaan 시안, Ceelen 세일런
          ch Volcher 폴허르, Utrecht 위트레흐트
          d ㅅ, 드, 트 Delft 델프트, Edgar 엣하르, Hendrik 헨드릭, Helmond 헬몬트
          f Flevoland 플레볼란트, Graaf 흐라프
          g Goes 후스, Limburg 림뷔르흐
          h Heineken 헤이네컨, Hendrik 헨드릭
          j 이* Jongkind 용킨트, Jan 얀, Jeroen 예룬
          k ㄱ, 크 Kok 콕, Alkmaar 알크마르, Zierikzee 지릭제이
          kw (qu) 크ㅂ

          kwaliteit 크발리테이트, kwellen 크벨런,

          kwitantie 크비탄시

          l ㄹ, ㄹㄹ Lasso 라소, Friesland 프리슬란트, sabel 사벌
          m Meerssen 메이르선, Zalm 잘름
          n Nijmegen 네이메헌, Jansen 얀선
          ng Inge 잉어, Groningen 흐로닝언
          p ㅂ, 프 Peper 페퍼르, Kapteyn 캅테인, Koopmans 코프만스
          r Rotterdam 로테르담, Asser 아서르
          s Spinoza 스피노자, Hals 할스
          sch 스ㅎ Schiphol 스히폴, Escher 에스허르, typisch 티피스
          sj 시* sjaal 샬, huisje 하위셔, ramsj 람시, fetisj 페티시
          t ㅅ, 트 Tinbergen 틴베르헌, Gerrit 헤릿, Petrus 페트뤼스
          ts Aartsen 아르천, Beets 베이츠
          v ㅂ, ㅍ

          Veltman 펠트만, Einthoven 에인트호번,

          Weltevree 벨테브레이

          w Wim 빔
          y cyaan 시안, Lyonnet 리오넷, typisch 티피스, Verwey 페르베이
          z Zeeman 제이만, Huizinga 하위징아
          모음 a Asser 아서르, Frans 프란스
          e 에, 어

          Egmont 에흐몬트, Frederik 프레데릭, Heineken

          헤이네컨, Lubbers 뤼버르스, Campen 캄펀

          i Nicolaas 니콜라스, Tobias 토비아스
          ie Pieter 피터르, Vries 프리스
          o Onnes 오너스, Vondel 폰덜
          oe Boer 부르, Boerhaave 부르하버
          u Utrecht 위트레흐트, Petrus 페트뤼스
          eu Europort 외로포르트, Deurne 되르너
          uw ruw 뤼, duwen 뒤언, Euwen 에위언
          이중 모음 ou(w),
          au(w)
          아우

          Bouts 바우츠, Bouwman 바우만, Paul 파울,

          Lauwersmeer 라우에르스메이르

          ei, ij 에이 Heike 헤이커, Bolkestein 볼케스테인, Ijssel 에이설
          ui(uy) 아위

          Huizinga 하위징아, Zuid-Holland 자위트홀란트,

          Buys 바위스

          aai 아이 draaien 드라이언, fraai 프라이, zaait 자이트, Maaikes 마이커스
          ooi 오이 Booisman 보이스만, Hooites 호이터스
          oei 우이 Boeijinga 부잉아, moeite 무이터
          eeuw 에이우 Leeuwenhoek 레이우엔훅, Meeuwes 메이우어스
          ieuw 이우 Lieuwma 리우마, Rieuwers 리우어르스

          * j의 ‘이’, sj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 러시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로마자러시아어
          자모
          한글보기
          모음 앞자음 앞어말
          자음bбㅂ, 브

          Bolotov(Болотов) 볼로토프, 

          Bobrov(Бобров) 보브로프, 

          Kurbskii(Курбский) 쿠릅스키, 

          Gleb(Глеб) 글레프

          chч

          Goncharov(Гончаров) 곤차로프, 

          Manechka(Манечка) 마네치카, 

          Yakubovich(Якубович) 야쿠보비치

          dдㅅ, 드

          Dmitrii(Дмитрий) 드미트리,

          Benediktov(Бенедиктов) 베네딕토프, 

          Nakhodka(Находка) 나홋카, 

          Voskhod(Восход) 보스호트

          fфㅂ, 프

          Fyodor(Фёдор) 표도르,

          Yefremov(Ефремов) 예프레모프, 

          Iosif(Иосиф) 이오시프

          gгㄱ, 그

          Gogol'(Гоголь) 고골,

          Musorgskii(Мусоргский) 무소륵스키, 

          Bogdan(Богдан) 보그단, 

          Andarbag(Андарбаг) 안다르바크

          khх

          Khabarovsk(Хабаровск) 하바롭스크, 

          Akhmatova(Ахматова) 아흐마토바, 

          Oistrakh(Ойстрах) 오이스트라흐

          kкㄱ, 크

          Kalmyk(Калмык) 칼미크,
          Aksakov(Аксаков) 악사코프,
          Kvas(Квас) 크바스,
          Vladivostok(Владивосток) 블라디보스토크

          lл

          ㄹ,

          ㄹㄹ

          Lenin(Ленин) 레닌, Nikolai(Николай)

          니콜라이, Krylov(Крылов) 크릴로프, 

          Pavel(Павел) 파벨

          mмㅁ, 므

          Mikhaiil(Михаийл) 미하일,

          Maksim(Максим) 막심, 

          Mtsensk(Мценск) 므첸스크

          nнNadya(Надя) 나댜, Stefan(Стефан) 스테판
          pпㅂ, 프

          Pyotr(Пётр) 표트르,

          Rostopchina(Ростопчинa) 로스톱치나, 

          Pskov(Псков) 프스코프, 

          Maikop(Майкоп) 마이코프

          rр

          Rybinsk(Рыбинск) 리빈스크,

          Lermontov(Лермонтов) 레르몬토프, 

          Artyom(Артём) 아르툠

          sсVasilii(Василий) 바실리, Stefan(Стефан) 스테판, Boris(Борис) 보리스
          shш시*Shelgunov(Шелгунов) 셸구노프, Shishkov(Шишков) 시시코프
          shchщ시*

          Shcherbakov(Щербаков) 셰르바코프,

          Shchirets (Щирец) 시레츠, 

          borshch(борщ) 보르시

          tтㅅ, 트

          Tat'yana(Татьяна) 타티야나,

          Khvatkov(Хватков) 흐밧코프, 

          Tver'(Тверь) 트베리, Buryat(Бурят) 부랴트

          tchтч

          Gatchina(Гатчина) 가치나,

          Tyutchev(Тютчев) 튜체프

          tsц, тс

          Kapitsa(Капица) 카피차,

          Tsvetaeva(Цветаева) 츠베타예바, 

          Bryatsk(Брятск) 브랴츠크, 

          Yakutsk(Якутск) 야쿠츠크

          vвㅂ, 브

          Verevkin(Веревкин) 베렙킨,
          Dostoevskii(Достоевский) 도스토옙스키,
          Vladivostok(Владивосток) 블라디보스토크,
          Markov(Марков) 마르코프

          zз즈, 스

          Zaichev(Зайчев) 자이체프,

          Kuznetsov(Кузнецов) 쿠즈네초프, 

          Agryz(Агрыз) 아그리스

          zhж즈, 시

          Zhadovskaya(Жадовская) 자돕스카야,

          Zhdanov(Жданов) 즈다노프, 

          Luzhkov(Лужков) 루시코프, 

          Kebezh(Кебеж) 케베시

          j/iй

          Yurii(Юрий) 유리, Andrei(Андрей)

          안드레이, Belyi(Белый) 벨리

          모음aа

          Aksakov(Аксаков) 악사코프,

          Abakan(Абакан) 아바칸

          eе에, 예

          Petrov(Петров) 페트로프,
          Evgenii(Евгений) 예브게니,
          Alekseev(Алексеев) 알렉세예프,
          Ertel'(Эртель) 예르텔

          э
          iи

          Ivanov(Иванов) 이바노프, Iosif(Иосиф)

          이오시프

          oоKhomyakov(Хомяков) 호먀코프, Oka(Ока) 오카
          uу

          Ushakov(Ушаков) 우샤코프,

          Sarapul(Сарапул) 사라풀

          yы

          Saltykov(Салтыков) 살티코프, 

          Kyra(Кыра) 키라, Belyi(Белый) 벨리

          yaя

          Yasinskii(Ясинский) 야신스키,

          Adygeya(Адыгея) 아디게야

          yoё

          Solov'yov(Соловьёв) 솔로비요프,

          Artyom(Артём) 아르툠

          yuю

          Yurii(Юрий) 유리, Yurga(Юрга) 유르가  

          * sh(ш), shch(щ)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 표 1에 따라 적되,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 무성 파열음 ([p], [t], [k])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 gap[gæp] 갭
            • cat[kæt] 캣
            • book[buk] 북

            2.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 apt[æpt] 앱트
            • setback[setbæk] 셋백
            • act[ækt] 액트

            3.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 stamp[stæmp] 스탬프
            • cape[keip] 케이프
            • nest[nest] 네스트
            • part[pαːt] 파트
            • desk[desk] 데스크
            • make[meik] 메이크
            • apple[æpl] 애플
            • mattress[mætris] 매트리스
            • chipmunk[ʧipmʌŋk] 치프멍크
            • sickness[siknis] 시크니스
          • 유성 파열음([b], [d], [g])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 bulb[bʌlb] 벌브
            • land[lænd] 랜드
            • zigzag[zigzæg] 지그재그
            • lobster[lɔbstə] 로브스터
            • kidnap[kidnæp] 키드냅
            • signal[signəl] 시그널
          • 마찰음([s], [z], [f], [v], [θ], [ð], [ʃ], [ʒ])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s], [z], [f], [v], [θ], [ð]는 '으'를 붙여 적는다.

            • mask[mαːsk] 마스크
            • jazz[dʒæz] 재즈
            • graph[græf] 그래프
            • olive[ɔliv] 올리브
            • thrill[θril] 스릴
            • bathe[beið] 베이드

            2. 어말의 [ʃ]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ʃ]는 '슈'로,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 flash[flæʃ] 플래시
            • shrub[ʃrʌb] 슈러브
            • shark[ʃαːk] 샤크
            • shank[ʃæŋk] 섕크
            • fashion[fæʃən] 패션
            • sheriff[ʃerif] 셰리프
            • shopping[ʃɔpiŋ] 쇼핑
            • shoe[ʃuː] 슈
            • shim[ʃim] 심

            3.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ʒ]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ʒ]는 'ㅈ'으로 적는다.

            • mirage[mirαːʒ] 미라지
            • vision[viʒən] 비전
          • 파찰음([ʦ], [ʣ], [ʧ], [ʤ])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ʦ], [ʣ]는 '츠', '즈'로 적고, [ʧ], [ʤ]는 '치', '지'로 적는다.

            • Keats[kiːʦ] 키츠
            • odds[ɔʣ] 오즈
            • switch[swiʧ] 스위치
            • bridge[briʤ] 브리지
            • Pittsburgh[piʦbəːg] 피츠버그
            • hitchhike[hiʧhaik] 히치하이크

            2. 모음 앞의 [ʧ], [ʤ]는 'ㅊ', 'ㅈ'으로 적는다.

            • chart[ʧαːt] 차트
            • virgin[vəːʤin] 버진
          • 비음([m], [n], [ŋ])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 steam[stiːm] 스팀
            • corn[kɔːn] 콘
            • ring[riŋ] 링
            • lamp[læmp] 램프
            • hint[hint] 힌트
            • ink[iŋk] 잉크

            2.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ㅇ'으로 적는다.

            • hanging[hæŋiŋ] 행잉
            • longing[lɔŋiŋ] 롱잉
          • 유음([l])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 hotel[houtel] 호텔
            • pulp[pʌlp] 펄프

            2.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 slide[slaid] 슬라이드
            • film[film] 필름
            • helm[helm] 헬름
            • swoln[swouln] 스월른
            • Hamlet[hæmlit] 햄릿
            • Henley[henli] 헨리
          • 장모음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 team[tiːm] 팀
            • route[ruːt] 루트
          • 중모음1) ([ai], [au], [ei], [ɔi], [ou], [auə])
            1) 이 ‘중모음’은 ‘중모음(重母音)’이므로, ‘중모음(中母音)’과 혼동하지 않도록 한다.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auə]는 '아워'로 적는다.

            • time[taim] 타임
            • house[haus] 하우스
            • skate[skeit] 스케이트
            • oil[ɔil] 오일
            • boat[bout] 보트
            • tower[tauə] 타워
          • 반모음([w], [j])

            1.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ə], [wɔ], [wou]는 '워', [wα]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위', [wu]는 '우'로 적는다.

            • word[wəːd] 워드
            • want[wɔnt] 원트
            • woe[wou] 워
            • wander[wαndə] 완더
            • wag[wæg] 왜그
            • west[west] 웨스트
            • witch[wiʧ] 위치
            • wool[wul] 울

            2.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g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 swing[swiŋ] 스윙
            • twist[twist] 트위스트
            • penguin[peŋgwin] 펭귄
            • whistle[hwisl] 휘슬
            • quarter[kwɔːtə] 쿼터

            3.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jə]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 yard[jαːd] 야드
            • yank[jæŋk] 얭크
            • yearn[jəːn] 연
            • yellow[jelou] 옐로
            • yawn[jɔːn] 욘
            • you[juː] 유
            • year[jiə] 이어
            • Indian[indjən] 인디언
            • battalion[bətæljən] 버탤리언
            • union[juːnjən] 유니언
          • 복합어2)
            2) 이 ‘복합어’는 학교 문법 용어에 따르면 ‘합성어’가 된다. 이하 같다.

            1.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 cuplike[kʌplaik] 컵라이크
            • bookend[bukend] 북엔드
            • headlight[hedlait] 헤드라이트
            • touchwood[tʌʧwud] 터치우드
            • sit-in[sitin] 싯인
            • bookmaker[bukmeikə] 북메이커
            • flashgun[flæʃgʌn] 플래시건
            • topknot[tɔpnɔt] 톱놋

            2.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 Los Alamos[lɔsæləmous] 로스 앨러모스/로스앨러모스
            • top class[tɔpklæs] 톱 클래스/톱클래스
          • 표 1을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독일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 [r]

            1. 자음 앞의 [r]는 '으'를 붙여 적는다.

            • Hormon[hɔrmoːn] 호르몬
            • Hermes[hɛrmɛs] 헤르메스

            2. 어말의 [r]와 '-er[ər]'는 '어'로 적는다.

            • Herr[hɛr] 헤어
            • Rasur[razuːr] 라주어
            • Tür[tyːr] 튀어
            • Ohr[oːr] 오어
            • Vater[faːtər] 파터
            • Schiller[ʃilər] 실러

            3. 복합어 및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는 2의 규정을 준용한다.

            • verarbeiten[fɛrarbaitən] 페어아르바이텐
            • zerknirschen[ʦɛrknirʃən] 체어크니르셴
            • Fürsorge[fyːrzorgə] 퓌어조르게
            • Vorbild[foːrbilt] 포어빌트
            • auβerhalb[ausərhalp] 아우서할프
            • Urkunde[uːrkundə] 우어쿤데
            • Vaterland[faːtərlant] 파터란트
          • 어말 파열음

            어말의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Rostock[rɔstɔk] 로스토크
            • Stadt[ʃtat] 슈타트
          • berg, burg

            철자 'berg', 'burg'는 '베르크', '부르크'로 통일해서 적는다.

            • Heidelberg[haidəlbɛrk, -bɛrç] 하이델베르크
            • Hamburg[hamburk, -burç] 함부르크
          • [ʃ]

            1.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는 '슈'로 적는다.

            • Mensch[menʃ] 멘슈
            • Mischling[miʃliŋ] 미슐링

            2. [y],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 Schüler[ʃyːlər] 쉴러
            • schön[ʃøːn] 쇤

            3.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쇼, 슈' 등으로 적는다.

            • Schatz[ʃaʦ] 샤츠
            • schon[ʃoːn] 숀
            • Schule[ʃuːlə] 슐레
            • Schelle[ʃɛlə] 셸레
          • [ɔy]

            [ɔy]로 발음되는 äu, eu는 '오이'로 적는다.

            • läuten[lɔytən] 로이텐
            • Fräulein[frɔylain] 프로일라인
            • Europa[ɔyroːpa] 오이로파
            • Freundin[frɔyndin] 프로인딘
          • 표 1에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프랑스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 파열음([p], [t], [k]; [b], [d], [g])

            1. 어말에서는 '으'를 붙여서 적는다.

            • soupe[sup] 수프
            • tête[tɛt] 테트
            • avec[avɛk] 아베크
            • baobab[baɔbab] 바오바브
            • ronde[rɔ̃ːd] 롱드
            • bague[bag] 바그

            2. 구강 모음과 무성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구강 모음+무성 파열음+무성 파열음 또는 무성 마찰음'의 경우)은 받침으로 적는다.

            • septembre[sɛptːbr] 셉탕브르
            • apte[apt] 압트
            • octobre[ɔktɔbr] 옥토브르
            • action[aksj] 악시옹
          • 마찰음([ʃ], [ʒ])

            1. 어말과 자음 앞의 [ʃ], [ʒ]는 '슈', '주'로 적는다.

            • manche[mːʃ] 망슈
            • piège[pjɛːʒ] 피에주
            • acheter[aʃte] 아슈테
            • dégeler[deʒle] 데줄레

            2. [ʃ]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슈'로 적는다.

            • chemise[ʃəmiːz] 슈미즈
            • chevalier[ʃəvalje] 슈발리에
            • choix[ʃwa] 슈아
            • chouette[ʃwɛt] 슈에트

            3. [ʃ]가 [y], [œ], [ø] 및 [j], [ɥ] 앞에 올 때에는 'ㅅ'으로 적는다.

            • chute[ʃyt] 쉬트
            • chuchoter[ʃyʃɔte] 쉬쇼테
            • pêcheur[pɛʃœːr] 페쇠르
            • shunt[ʃːt] 쇵트
            • fâcheux[fαʃø] 파쇠
            • chien[ʃj] 시앵
            • chuinter[ʃЧte] 쉬앵테
          • 비자음([ɲ])

            1. 어말과 자음 앞의 [ɲ]는 '뉴'로 적는다.

            • campagne[kpaɲ] 캉파뉴
            • dignement[diɲmɑ̃] 디뉴망

            2. [ɲ]가 '아, 에, 오, 우'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각각 '냐, 녜, 뇨, 뉴'로 적는다.

            • saignant[sɛɲ] 세냥
            • peigner[peɲe] 페녜
            • agneau[aɲo] 아뇨
            • mignon[miɲ] 미뇽

            3. [ɲ]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소리와 합쳐 '뉴'로 적는다.

            • lorgnement[lɔrɲəm] 로르뉴망
            • baignoire[bɛɲwaːr] 베뉴아르

            4. 그 밖의 [ɲ]는 'ㄴ'으로 적는다.

            • magnifique[maɲifik] 마니피크
            • guignier[giɲje] 기니에
            • gagneur[gaɲœːr] 가뇌르
            • montagneux[mɔ̃taɲø] 몽타뇌
            • peignures[pɛɲyːr] 페뉘르
          • 반모음([j])

            1. 어말에 올 때에는 '유'로 적는다.

            • Marseille[marsɛj] 마르세유
            • taille[tαːj] 타유

            2. 모음 사이의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예, 얭, 야, 양, 요, 용, 유, 이' 등으로 적는다. 다만, 뒤 모음이 [ø], [œ]일 때에는 '이'로 적는다.

            • payer[peje] 페예
            • billet[bijɛ] 비예
            • moyen[mwaj] 무아얭
            • pleiade[plejad] 플레야드
            • ayant[ɛj] 에양
            • noyau[nwajo] 누아요
            • crayon[krɛjɔ̃] 크레용
            • voyou[vwaju] 부아유
            • cueillir[kœjiːr] 쾨이르
            • aïeul[ajœl] 아이욀
            • aïeux[ajø] 아이외

            3. 그 밖의 [j]는 '이'로 적는다.

            • hier[jɛːr] 이에르
            • Montesquieu[mtɛskjø] 몽테스키외
            • champion[ʃpj] 샹피옹
            • diable[djαːbl] 디아블
          • 반모음([w])

            [w]는 '우'로 적는다.

            • alouette[alwɛt] 알루에트
            • douane[dwan] 두안
            • quoi[kwa] 쿠아
            • toi[twa] 투아
          • 표 2에 따라 적되,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gu, qu

            gu, qu는 i, e 앞에서는 각각 'ㄱ, ㅋ'으로 적고, o 앞에서는 '구, 쿠'로 적는다. 다만, a 앞에서는 그 a와 합쳐 '과, 콰'로 적는다.

            • guerra 게라
            • queso 케소
            • Guipuzcoa 기푸스코아
            • quisquilla 키스키야
            • antiguo 안티구오
            • Quórum 쿠오룸
            • Nicaragua 니카라과
            • Quarai 콰라이
          •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cc-는 'ㄱㅅ'으로 적는다.

            • carrera 카레라
            • carretera 카레테라
            • accion 악시온
          • c, g

            c와 g 다음에 모음 e와 i가 올 때에는 c는 'ㅅ'으로, g는 'ㅎ'으로 적고, 그 외는 'ㅋ'과 'ㄱ'으로 적는다.

            • Cecilia 세실리아
            • cifra 시프라
            • georgico 헤오르히코
            • giganta 히간타
            • coquito 코키토
            • gato 가토
          • x

            x가 모음 앞에 오되 어두일 때에는 'ㅅ'으로 적고, 어중일 때에는 'ㄱㅅ'으로 적는다.

            • xilofono 실로포노
            • laxante 락산테
          • l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ocal 오칼
            • colcren 콜크렌
            • blandon 블란돈
            • Cecilia 세실리아
          • nc, ng

            c와 g 앞에 오는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 blanco 블랑코
            • yungla 융글라
          • 표 3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은 살려서 적는다.
          • gl

            i 앞에서는 'ㄹㄹ'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글ㄹ'로 적는다.

            • paglia 팔리아
            • egli 엘리
            • gloria 글로리아
            • glossa 글로사
          • gn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냐', '녜', '뇨', '뉴', '니'로 적는다.

            • montagna 몬타냐
            • gneiss 녜이스
            • gnocco 뇨코
            • gnu 뉴
            • ogni 오니
          • sc

            sce는 '셰'로, sci는 '시'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스ㅋ'으로 적는다.

            • crescendo 크레셴도
            • scivolo 시볼로
            • Tosca 토스카
            • scudo 스쿠도
          •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자음이 겹쳤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 -nn-의 경우는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 Puccini 푸치니
            • buffa 부파
            • allegretto 알레그레토
            • carro 카로
            • rosso 로소
            • Abruzzo 아브루초
            • gomma 곰마
            • bisnonno 비스논노
          • c, g

            1. c와 g는 e, i 앞에서 각각 'ㅊ', 'ㅈ'으로 적는다.

            • cenere 체네레
            • genere 제네레
            • cima 치마
            • gita 지타

            2. c와 g 다음에 ia, io, iu가 올 때에는 각각 '차, 초, 추', '자, 조, 주'로 적는다.

            • caccia 카차
            • micio 미초
            • ciuffo 추포
            • giardino 자르디노
            • giorno조르노
            • giubba 주바
          • qu

            qu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콰, 퀘, 퀴' 등으로 적는다. 다만, o 앞에서는 '쿠'로 적는다.

            • soqquadro 소콰드로
            • quello 퀠로
            • quieto 퀴에토
            • quota 쿠오타
          • l, ll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 ll은 받침으로 적고, 어중의 l, l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sol 솔
            • polca 폴카
            • Carlo 카를로
            • quello 퀠로
          • 표 4에 따르고, 다음 상황에 유의하여 적는다.
          • 촉음 [ッ]

            촉음(促音) [ッ]는 'ㅅ'으로 통일해서 적는다.

            • サッポロ 삿포로
            • トットリ 돗토리
            • ヨッカイチ 욧카이치
          • 장모음

            장모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 キュウシュウ(九州) 규슈
            • ニイガタ(新潟) 니가타
            • トウキョウ(東京) 도쿄
            • オオサカ(大阪) 오사카
          • 표 5에 따르고,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적는다.
          • 성조

            성조는 구별하여 적지 아니한다. 

          • ㅑ, ㅖ, ㅛ, ㅠ

            'ㅈ, ㅉ, ㅊ'으로 표기되는 자음(ㄐ, ㄓ, ㄗ, ㄑ, ㄔ, ㄘ) 뒤의 'ㅑ, ㅖ, ㅛ, ㅠ' 음은 'ㅏ, ㅔ, ㅗ, ㅜ'로 적는다.

            • | 쟈→자
            • | 졔→제
          • 표 6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k,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 zamek 자메크
            • mokry 모크리
            • Słupsk 스웁스크
          • b, d, g

            1.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트', '크'로 적는다.

            • od 오트

            2. 유성 자음 앞에서는 '브', '드', '그'로 적는다.

            • zbrodnia 즈브로드니아

            3. 무성 자음 앞에서 b, g는 받침으로 적고, d는 '트'로 적는다.

            • Grabski 그랍스키
            • odpis 오트피스
          • w, z, ź, dz, ż, rz, sz

            1. w, z, ź, dz가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때에는 '프, 스, 시, 츠'로 적는다.

            • zabawka 자바프카
            • obraz 오브라스

            2. ż와 rz는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ㅈ'으로 적되, 앞의 자음이 무성 자음일 때에는 '시'로 적는다. 유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주',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슈', 어말에 올 때에는 '시'로 적는다.

            • Rzeszów 제슈프
            • Przemyśl 프셰미실
            • grzmot 그주모트
            • łóżko 우슈코
            • pęcherz 펭헤시

            3. sz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 koszt 코슈트
            • kosz 코시
          • ł

            1. ł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적는다. (ło는 '워'로 적는다.) 다만, 자음 뒤에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는다.

            • łono 워노
            • głowa 그워바

            2. ół는 '우'로 적는다.

            • przjyaciół 프시야치우
          •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olej 올레이
          • m

            어두의 m이 l,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 mleko 믈레코
            • mrówka 므루프카
          • ę

            ę은 '엥'으로 적는다. 다만, 어말의 ę는 '에'로 적는다.

            • ręka 렝카
            • proszę 프로셰
          • c, z

            'ㅈ', 'ㅊ'으로 표기되는 자음(c, z) 뒤의 이중 모음은 단모음으로 적는다.

            • stacja 스타차
            • fryzjer 프리제르
          • 표 7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k,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 mozek 모제크
            • koroptev 코롭테프
          • b, d, d', g

            1.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트', '티', '크'로 적는다.

            • led 레트

            2. 유성 자음 앞에서는 '브', '드', '디', '그'로 적는다.

            • ledvina 레드비나

            3. 무성 자음 앞에서 b, g는 받침으로 적고, d, d'는 '트', '티'로 적는다.

            • obchod 옵호트
            • odpadky 오트파트키
          • v, w, z, ř, ž, š

            1. v, w, z가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프, 스'로 적는다.

            • hmyz 흐미스

            2. ř, ž가 유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르주', '주',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르슈', '슈', 어말에 올 때에는 '르시', '시'로 적는다.

            • námořník 나모르주니크
            • hořký 호르슈키
            • kouř 코우르시

            3. š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 puška 푸슈카
            • myš 미시
          • l, lj

            어중의 l, lj가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 'ㄹ리'로 적는다.

            • kolo 콜로
          • m

            m이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 humr 후므르
          • ě

            자음에 'ě'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 věk 베크
            • sěst 셰스트
          • 표 8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k, p

            k, p는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 jastuk 야스투크
            • opština 옵슈티나
          • l, lj

            어중의 l, lj가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 ‘ㄹ리’로 적는다.

            • kula 쿨라
            • Ljubljana 류블랴나
          • m

            어두의 m이 l, r, n 앞에 오거나 어중의 m이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 mlad 믈라드
            • mnogo 므노고
            • smrt 스므르트
          • š

            š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 šljivovica 슐리보비차
            • Niš 니시
          • je

            자음에 je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 bjedro 베드로
            • sjedlo 셰들로
          • 표 9에 따르고, 다음과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c,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 cap 카프
            • Cîntec 큰테크
            • facturǎ 팍투러
            • septembrie 셉템브리에
          • c, g

            c, g는 e, i 앞에서는 각각 'ㅊ', 'ㅈ'으로,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ㅋ', 'ㄱ'으로 적는다.

            • cap 카프
            • centru 첸트루
            • Galaţi 갈라치
            • Gigel 지젤
          •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clei 클레이
          • n

            n이 어말에서 m 뒤에 올 때는 '으'를 붙여 적는다.

            • lemn 렘느
            • pumn 품느
          • e

            e는 '에'로 적되, 인칭 대명사 및 동사 este, era 등의 어두 모음 e는 '예'로 적는다.

            • Emil 에밀
            • eu 예우
            • el 옐
            • este 예스테
            • era 예라
          • 표 10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k, p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 ablak 어블러크
            • csipke 칩케
          •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

            bb, cc, dd, ff, gg, ggy, kk, ll, lly, nn, nny, pp, rr, ss, ssz, tt, tty는 b, c, d, f, g, gy, k, l, ly, n, ny, p, r, s, sz, t, ty와 같이 적는다. 다만, 어중의 nn, nny와 모음 앞의 ll은 'ㄴㄴ', 'ㄴ니', 'ㄹㄹ'로 적는다.

            • között 쾨죄트
            • dinnye 딘네
            • nulla 눌러
          •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olaj 올러이
          • s

            s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 Pest 페슈트
            • lapos 러포시
          • ye

            자음에 ye 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 nyer 네르
            • selyem 셰옘
          • 표 11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b, g, k, ck, p, t

            1. b, g가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받침 'ㅂ, ㄱ'으로 적는다.

            • snabbt 스납트
            • högst 획스트

            2. k, c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ㄱ, ㅂ, ㅅ'으로 적는다.

            • oktober 옥토베르
            • Stockholm 스톡홀름
            • Uppsala 웁살라
            • Botkyrka 봇쉬르카
          • c

            c는 'ㅋ'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 campa 캄파
            • Celsius 셀시우스
          • g

            1. 모음 앞의 g는 'ㄱ'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 Gustav 구스타브
            • Göteborg 예테보리

            2. lg, rg의 g는 '이'로 적는다.

            • älg 엘리
            • Borg 보리

            3. n 앞의 g는 'ㅇ'으로 적는다.

            • Magnus 망누스

            4. 무성 자음 앞의 g는 받침 'ㄱ'으로 적는다.

            • högst 획스트

            5.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 Ludvig 루드비그
            • Greta 그레타
          • j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 fjäril 피에릴
            • mjuk 미우크
            • kedja 셰디아
            • Björn 비에른
          • k

            k는 'ㅋ'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 Kungsholm 쿵스홀름
            • Norrköping 노르셰핑
          • l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folk 폴크
            • tal 탈
            • tala 탈라
          • lj

            어두의 lj는 '이'로 적되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고, 어중의 lj는 'ㄹ리'로 적는다.

            • Ljusnan 유스난
            • Södertälje 쇠데르텔리에
          • n

            n은 어말에서 m 다음에 올 때 적지 않는다.

            • Karlshamn 칼스함
            • namn 남
          • nk

            nk는 자음 t 앞에서는 'ㅇ'으로, 그 밖의 경우에는 'ㅇ크'로 적는다.

            • anka 앙카
            • Sankt 상트
            • punkt 풍트
            • bank 방크
          • sk

            sk는 '스ㅋ'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 Skoglund 스코글룬드
            • skuldra 스쿨드라
            • skål 스콜
            • skörd 셰르드
            • skydda 쉬다
          • ö

            ö는 '외'로 적되 g, j, k, kj, lj, skj 다음에서는 '에'로 적고, 앞의 '이' 또는 '시'와 합쳐서 적는다. 다만, jö 앞에 그 밖의 자음이 올 때에는 j는 앞의 자음과 합쳐 적고, ö는 '에'로 적는다.

            • Örebro 외레브로
            • Göta 예타
            • Jönköping 옌셰핑
            • Björn 비에른
            • Björling 비엘링
            • mjöl 미엘
          •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단, mm, nn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 Kattegatt 카테가트
            • Norrköping 노르셰핑
            • Uppsala 웁살라
            • Bromma 브롬마
            • Dannemora 단네모라
          • 표 12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b, g, k, p, t

            1. b, g가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받침 'ㅂ, ㄱ'으로 적는다.

            • Ibsen 입센
            • sagtang 삭탕

            2. 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ㅂ, ㅅ'으로 적는다.

            • lukt 룩트
            • september 셉템베르
            • husets 후셋스
          • c

            c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 Jacob 야코브
            • Vincent 빈센트
          • d

            1. 모음 앞의 d는 'ㄷ'으로 적되, 장모음 뒤에서는 적지 않는다.

            • Bodø 보되
            • Norden 노르덴
            • (장모음 뒤) spade 스파에

            2. ld, nd의 d는 적지 않는다.

            • Harald 하랄
            • Aasmund 오스문

            3. 장모음+rd의 d는 적지 않는다.

            • fjord 피오르
            • nord 노르
            • Halvard 할바르

            4. 단모음+rd의 d는 어말에서는 '드'로 적는다.

            • ferd 페르드
            • mord 모르드

            5. 장모음+d의 d는 적지 않는다.

            • glad 글라
            • Sjaastad 쇼스타

            6. 그 밖의 경우에는 '드'로 적는다.

            • dreng 드렝
            • bad 바드

            ※ 모음의 장단에 대해서는 노르웨이어의 발음을 보여 주는 사전을 참조하여야 한다.

             

             

          • g

            1. 모음 앞의 g는 'ㄱ'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 god 고드
            • gyllen 윌렌

            2. g는 이중 모음 뒤와 ig, lig에서는 적지 않는다.

            • haug 헤우
            • deig 데이
            • Solveig 솔베이
            • fattig 파티
            • farlig 팔리

            3. n 앞의 g는 'ㅇ'으로 적는다.

            • Agnes 앙네스
            • Magnus 망누스

            4. 무성 자음 앞의 g는 받침 'ㄱ'으로 적는다.

            • sagtang 삭탕

            5.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 berg 베르그
            • helg 헬그
            • Grieg 그리그
          • j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 Bjørn 비에른
            • fjord 피오르
            • Skodje 스코디에
            • Evje 에비에
            • Tjeldstø 티엘스퇴
          • k

            k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 Rikard 리카르드
            • Kirsten 시르스텐
          • l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sol 솔
            • Quisling 크비슬링
          • nk

            nk는 자음 t 앞에서는 'ㅇ'으로, 그 밖의 경우에는 'ㅇ크'로 적는다.

            • punkt 풍트
            • bank 방크
          • sk

            sk는 '스ㅋ'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 skatt 스카트
            • Skienselv 시엔스엘브
          • t

            1. 어말 관사 et의 t는 적지 않는다.

            • huset 후세
            • møtet 뫼테
            • taket 타케

            2. 다만, 어말 관사 et에 s가 첨가되면 받침 'ㅅ'으로 적는다.

            • husets 후셋스
          • eg

            1. eg는 n, l 앞에서 '에이'로 적는다.

            • regn 레인
            • tegn 테인
            • negl 네일

            2. 그 밖의 경우에는 '에그'로 적는다.

            • deg 데그
            • egg 에그
          • ø

            ø는 '외'로 적되, g, j, k, kj, lj, skj 다음에서는 '에'로 적고 앞의 '이' 또는 '시'와 합쳐서 적는다. 다만, jø 앞에 그 밖의 자음이 올 때에는 j는 앞의 자음과 합쳐 적고 ø는 '에'로 적는다.

            • Bodø 보되
            • Gjøvik 예비크
            • Bjørn 비에른
          •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단, mm, nn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 Moss 모스
            • Mikkjel 미셸
            • Matthias 마티아스
            • Hammerfest 함메르페스트
          • 표 13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은 살려서 적는다.
          • b, k, p, t

            1. b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ㅂ'으로 적는다.

            • Jacobsen 야콥센
            • Jakobsen 야콥센

            2. 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ㅂ, ㅅ'으로 적는다.

            • insekt 인섹트
            • september 셉템베르
            • nattkappe 낫카페
          • c

            c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 campere 캄페레
            • centrum 센트룸
          • d

            1. ds, dt, ld, nd, rd의 d는 적지 않는다.

            • plads 플라스
            • kridt 크리트
            • fødte 푀테
            • vold 볼
            • Kolding 콜링
            • Öresund 외레순
            • Jylland 윌란
            • hård 호르
            • bord 보르
            • nord 노르

            2. 다만, ndr의 d는 '드'로 적는다.

            • andre 안드레
            • vandre 반드레

            3. 그 밖의 경우에는 '드'로 적는다.

            • dreng 드렝
          • g

            1. 어미 ig의 g는 적지 않는다.

            • vældig 벨디
            • mandig 만디
            • herlig 헤를리
            • lykkelig 뤼켈리
            • Grundtvig 그룬트비

            2. u와 l 사이의 g는 적지 않는다.

            • fugl 풀
            • kugle 쿨레

            3. borg, berg의 g는 적지 않는다.

            • Nyborg 뉘보르
            • Esberg 에스베르
            • Frederiksberg 프레데릭스베르

            4.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 magt 마그트
            • dug 두그
          • j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 Esbjerg 에스비에르
            • Skjern 스키에른
            • Kjellerup 키엘레루프
            • Fjellerup 피엘레루프
          • l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Holstebro 홀스테브로
            • Lolland 롤란
          • v

            1. 모음 앞의 v는 'ㅂ'으로 적되, 단모음 뒤에서는 '우'로 적는다.

            • Vejle 바일레
            • dvale 드발레
            • pulver 풀베르
            • rive 리베
            • lyve 뤼베
            • løve 뢰베
            • doven 도우엔
            • hoven 호우엔
            • oven 오우엔
            • sove 소우에

            2. lv의 v는 묵음일 때 적지 않는다.

            • halv 할
            • gulv 굴

            3. av, æv, øv, ov, ev에서는 '우'로 적는다.

            • gravsten 그라우스텐
            • havn 하운
            • København 쾨벤하운
            • Thorshavn 토르스하운
            • jævn 예운
            • Støvle 스퇴울레
            • lov 로우
            • rov 로우
            • Hjelmslev 옐름슬레우

            4. 그 밖의 경우에는 '브'로 적는다.

            • arv 아르브

            ※ 묵음과 모음의 장단에 대해서는 덴마크어의 발음을 보여 주는 사전을 참조하여야 한다.

          •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 lykkelig 뤼켈리
            • hoppe 호페
            • Hjørring 예링
            • blomme 블로메
            • Rønne 뢰네
          • 표 14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파열음

            유음이나 비음 앞에 오는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 Prambanan 프람바난
            • Trisno 트리스노
            • Ibrahim 이브라힘
            • Fakhrudin 파크루딘
            • Tasikmalaya 타시크말라야
            • Supratman 수프라트만
          • sy

            sy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서 ‘샤, 셰, 시, 쇼, 슈' 등으로 적는다. 구철자 sh는 sy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 Syarwan 샤르완
            • Syed 솃
            • Paramesywara 파라메시와라
            • Shah 샤
          • 인도네시아어 dj, tj

            인도네시아어의 구철자 dj와 tj는 신철자 j, c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 Djakarta 자카르타
            • Jakarta 자카르타
            • Banda Atjeh 반다아체
            • Banda Aceh 반다아체
          • 인도네시아어 j, sj

            인도네시아어의 구철자 j와 sj는 신철자 y, sy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 Jusuf 유숩
            • Yusuf 유숩
            • Sjarifuddin 샤리푸딘
            • Syarifuddin 샤리푸딘
          • 인도네시아어 bh, dh

            인도네시아어의 구철자 bh와 dh는 신철자 b, d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 Bhinneka 비네카
            • Binneka 비네카
            • Yudhoyono 유도요노
            • Yudoyono 유도요노
          • 인도네시아어 ch

            인도네시아어의 구철자 ch는 신철자 kh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 Chairil 하이릴
            • Khairil 하이릴
            • Bacharuddin 바하루딘
            • Bakharuddin 바하루딘
          • 말레이시아어 ch

            말레이시아어의 구철자 ch는 신철자 c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 Changi 창이
            • Cangi 창이
            • Kuching 쿠칭
            • Kucing 쿠칭
          • 말레이시아어 gh, th

            말레이시아어 철자법에 따라 표기한 gh, th는 각각 g, t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 Ghazali 가잘리
            • baligh 발릭
            • Mahathir 마하티르 (말레이시아어 철자법)
            • Gazali 가잘리
            • balig 발릭
            • Mahatir 마하티르 (인도네시아어 철자법)
          •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Palembang 팔렘방
            • Malik 말릭
          •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에는 한 번만 적는다.

            • Hasanuddin 하사누딘
            • Mohammad 모하맛
            • Mappanre 마판레
            • Bukittinggi 부키팅기
          • w

            반모음 w는 뒤의 모음과 합쳐 ‘와', ‘웨' 등으로 적는다.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앞에 자음 k가 있으면 ‘콰', ‘퀘' 등으로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 Megawati 메가와티
            • Anwar 안와르
            • kwartir 콰르티르
            • kweni 퀘니
          • y

            반모음 y는 뒤의 모음과 합쳐 ‘야', ‘예' 등으로 적으며 앞에 자음이 있을 경우에는 그 자음까지 합쳐 적는다. 다만 g나 k가 y 앞에 올 때에는 합쳐 적지 않고 뒤 모음과만 합쳐 적는다.

            • Yadnya 야드냐
            • tanya 타냐
            • satya 사탸
            • Yogyakarta 욕야카르타
          • e

            e는 [e]와 [ə] 두 가지로 소리 나므로 발음을 확인하여 [e]는 ‘에’로 [ə]는 ‘으’로 적는다. 다만, ye의 e가 [ə]일 때에는 ye를 ‘여’로 적는다.

            • Ampenan 암페난
            • sate 사테
            • Cirebon 치르본
            • kecapi 크차피
            • Yeh Sani 예사니
            • Nyepi 녀피
          • 같은 모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모음이 겹쳐 나올 때에는 한 번만 적는다.

            • Pandaan 판단
            • saat 삿
          • 인도네시아어 oe, ie

            인도네시아어의 구철자 중모음 표기 oe, ie는 신철자 u, i와 마찬가지로 ‘우, 이'로 적는다.

            • Bandoeng 반둥
            • Bandung 반둥
            • Habibie 하비비
            • Habibi 하비비
          • 표 15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파열음

            유음 앞에 오는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 Nakhaprathip 나카쁘라팁
            • Krung Thep 끄룽텝
            • Phraya 프라야
            • Songkhram 송크람
          • l, ll

            모음 사이에서 l은 ‘ㄹㄹ'로, ll은 ‘ㄴㄹ'로 적는다.

            • thale 탈레
            • malako 말라꼬
            • Sillapaacha 신라빠차
            • Kallasin 깐라신
          •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자음이 겹쳐 있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pph-, -tth- 등 같은 계열의 자음이 겹쳐 나올 때에도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 -nn-의 경우에는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 Suwit Khunkitti 수윗 쿤끼띠
            • Pattani 빠따니
            • Ayutthaya 아유타야
            • Thappharangsi 타파랑시
            • Thammamongkhon 탐마몽콘
            • Lanna Thai 란나타이
          • j

            관용적 로마자 표기에서 c 대신 쓰이는 j는 c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 Janthaphimpha 짠타핌파
            • Jit Phumisak 찟 푸미삭
          • sr, thr

            sr와 thr는 모음 앞에서 s와 마찬가지로 ‘ㅅ'으로 적는다.

            • Intharasuksri 인타라숙시
            • Sri Chang 시창
            • Bangthrai 방사이
          • y

            반모음 y는 모음 사이, 또는 어두에 있을 때에는 뒤의 모음과 합쳐 ‘야, 예' 등으로 적으며, 자음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때에는 앞의 자음과는 갈라 적고 뒤의 모음과는 합쳐 적는다.

            • khaoniyao 카오니야오
            • yai 야이
            • Adunyadet 아둔야뎃
            • lamyai 람야이
          • w

            반모음 w는 뒤의 모음과 합쳐 ‘와', ‘웨' 등으로 적는다.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앞에 자음 k, kh가 있으면 ‘꽈', ‘콰', ‘꿰', ‘퀘' 등으로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 Suebwongli 습웡리
            • Sukhumwit 수쿰윗
            • Huaikhwang 후아이쾅
            • Maenamkhwe 매남퀘
          • or, oo, ee

            관용적 로마자 표기에서 사용되는 or는 ‘오'로 적고, oo는 ‘우'로, ee는 ‘이'로 적는다.

            • Korn 꼰
            • Somboon 솜분
            • Meechai 미차이
          • 표 16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nh

            nh는 이어지는 모음과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받침 'ㄴ'으로 적되, 그 앞의 모음이 a인 경우에는 a와 합쳐 ‘아인'으로 적는다.

            • Nha Trang 냐짱
            • Hô Chi Minh 호찌민
            • Thanh Hoa 타인호아
            • Đông Khanh 동카인
          • qu

            qu는 이어지는 모음이 a일 경우에는 합쳐서 ‘꽈'로 적는다.

            • Quang 꽝
            • hat quan ho 핫꽌호
            • Quôc 꾸옥
            • Quyên 꾸옌
          • y

            y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 yên 옌
            • Nguyên 응우옌
          •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klông put 끌롱뿟
            • Pleiku 쁠래이꾸
            • Ha Long 할롱
            • My Lai 밀라이

            다만, 인명의 성과 이름은 별개의 단어로 보아 이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 Thê Lư 테르
            • Chê Lan Viên 쩨란비엔
          • 표 17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다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라는 단서가 붙은 조항은 브라질 지명‧인명의 표기에만 적용한다.
          • c, g

            c, g는 a, o, u 앞에서는 각각 ‘ㅋ, ㄱ'으로 적고, e, i 앞에서는 ‘ㅅ, ㅈ'으로 적는다.

            • Cabral 카브랄
            • Camocim 카모싱
            • Egas 에가스
            • Gil 질
          • gu, qu

            gu, qu는 a, o, u 앞에서는 각각 ‘구, 쿠'로 적고, e, i 앞에서는 ‘ㄱ, ㅋ'으로 적는다.

            • Iguaçú 이구아수
            • Araquari 아라쿠아리
            • Guerra 게하
            • Aquilino 아킬리누
          • d, t

            d, t는 'ㄷ, ㅌ'으로 적는다. 다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i 앞이나 어말 e 및 어말 -es 앞에서는 ‘ㅈ, ㅊ'으로 적는다.

            • Amado 아마두
            • Costa 코스타
            • Diamantina 디아만티나
            • Diamantina 지아만치나 (브)
            • Alegrete 알레그레트
            • Alegrete 알레그레치 (브)
            • Montes 몬트스
            • Montes 몬치스(브)
          • -che

            어말의 -che는 ‘시'로 적는다.

            • Angoche 앙고시
            • Peniche 페니시
          • l

            1.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 앞에 오는 경우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 Carlos 카를루스
            • Amalia 아말리아

            2.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는다. 다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오는 경우에는 ‘우'로 적되, 어말에 -ul이 오는 경우에는 ‘울'로 적는다.

            • Sul 술
            • Azul 아줄
            • Gilberto 질베르투
            • Gilberto 지우베르투 (브)
            • Caracol 카라콜
            • Caracol 카라코우 (브)
          • m, n, -ns

            m, n은 각각 'ㅁ, ㄴ'으로 적고, 어말에서는 모두 받침 ‘ㅇ'으로 적는다. 어말 -ns의 n도 받침 ‘ㅇ'으로 적는다.

            • Manuel 마누엘
            • Moniz 모니스
            • Campos 캄푸스
            • Vincente 빈센트
            • Santarém 산타렝
            • Rondon 혼동
            • Lins 링스
            • Rubens 후벵스
          • ng, nc, nq

            ng, nc, nq 연쇄에서 ‘g, c, q'가 ‘ㄱ'이나 ‘ㅋ'으로 표기되면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 Angola 앙골라
            • Angelo 안젤루
            • Branco 브랑쿠
            • Francisco 프란시스쿠
            • Conquista 콩키스타
            • Junqueiro 중케이루
          • r

            r는 어두나 n, l, s 뒤에 오는 경우에는 ‘ㅎ'으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ㄹ, 르'로 적는다.

            • Ribeiro 히베이루
            • Henrique 엔히크
            • Bandeira 반데이라
            • Salazar 살라자르
          • s

            1. 어두나 모음 앞에서는 ‘ㅅ'으로 적고, 모음 사이에서는 ‘ㅈ'으로 적는다.

            • Salazar 살라자르
            • Afonso 아폰수
            • Barroso 바호주
            • Gervasio 제르바지우

            2.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스'로 적고, 유성 자음 앞에서는 ‘즈'로 적는다.

            • Fresco 프레스쿠
            • Soares 소아르스
            • mesmo 메즈무
            • comunismo 코무니즈무
          • sc, sç, xc

            sc와 xc는 e, i 앞에서 ‘ㅅ'으로 적는다. sç는 항상 ‘ㅅ'으로 적는다.

            • Nascimento 나시멘투
            • piscina 피시나
            • excelente 이셀렌트
            • cresça 크레사
          • x

            x는 ‘시'로 적되, 어두 e와 모음 사이에 오는 경우에는 ‘ㅈ'으로 적는다.

            • Teixeira 테이셰이라
            • lixo 리슈
            • exame 이자므
            • exemplo 이젬플루
          •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rr는 ‘ㅎ, 흐'로, ss는 ‘ㅅ, 스'로 적는다.

            • Garrett 가헤트
            • Barroso 바호주
            • Mattoso 마토주
            • Toress 토레스
          • o

            o는 ‘오'로 적되, 어말이나 -os의 o는 ‘우'로 적는다.

            • Nobre 노브르
            • António 안토니우
            • Melo 멜루
            • Saramago 사라마구
            • Passos 파수스
            • Lagos 라구스
          • e

            e는 ‘에'로 적되, 어두 무강세 음절에서는 ‘이'로 적는다. 어말에서는 ‘으'로 적되,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이'로 적는다.

            • Montemayor 몬테마요르
            • Estremoz 이스트레모스
            • Chifre 시프르
            • Chifre 시프리 (브)
            • de 드
            • de 지 (브)
          • -es

            1. p, b, m, f, v 다음에 오는 어말 -es는 ‘-에스'로 적는다.

            • Lopes 로페스
            • Gomes 고메스
            • Neves 네베스
            • Chaves 샤베스

            2. 그 밖의 어말 -es는 ‘-으스'로 적는다. 다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이스'로 적는다.

            • Soares 소아르스
            • Pires 피르스
            • Dorneles 도르넬리스 (브)
            • Correntes 코헨치스 (브)
            ※ 포르투갈어 강세 규칙은 다음과 같다.
            • ① 자음 l, r, z, 모음 i, u, 비음 im, um, ã, ão, ões로 끝나는 단어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온다.
            • ② á, é, ê, ó, ô, í, ú 등과 같이 단어에 강세 표시가 있는 경우는 그곳에 강세가 온다.
            • ③ 그 밖의 경우에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
          • 표 18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p, t, k

            무성 파열음 p, t, k는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경우에는 각각 받침 ‘ㅂ, ㅅ, ㄱ'으로 적는다. 다만, 앞 모음이 이중 모음이거나 장모음(같은 모음을 겹쳐 적는 경우)인 경우와 앞이나 뒤의 자음이 유음이나 비음인 경우에는 ‘프, 트, 크'로 적는다.

            • Wit 빗
            • Gennip 헤닙
            • Kapteyn 캅테인
            • september 셉템버르
            • Petrus 페트뤼스
            • Arcadelt 아르카덜트
            • Hoop 호프
            • Eijkman 에이크만
          • b, d

            유성 파열음 b, d가 어말에 올 경우에는 각각 ‘프, 트'로 적고, 어중에 올 경우에는 앞이나 뒤의 자음이 유음이나 비음인 경우와 앞 모음이 이중 모음이거나 장모음(같은 모음을 겹쳐 적는 경우)인 경우에는 ‘브, 드'로 적는다. 그 외에는 모두 받침  ‘ㅂ, ㅅ'으로 적는다.

            • Bram 브람
            • Hendrik 헨드릭
            • Jakob 야코프
            • Edgar 엣하르
            • Zeeland 제일란트
            • Koenraad 쿤라트
          • v

            v가 어두에 올 경우에는 ‘ㅍ, 프'로 적고, 그 외에는 모두 ‘ㅂ, 브'로 적는다.

            • Veltman 펠트만
            • Vries 프리스
            • Grave 흐라버
            • Weltevree 벨테브레이
          • c

            c는 차용어에 쓰이므로 해당 언어의 발음에 따라 ‘ㅋ'이나 ‘ㅅ'으로 적는다.

            • Nicolaas 니콜라스
            • Hendricus 헨드리퀴스
            • cyaan 시안
            • Franciscus 프란시스퀴스
          • g, ch

            g, ch는 ‘ㅎ'으로 적되, 차용어의 경우에는 해당 언어의 발음에 따라 적는다.

            • gulden 휠던
            • Haag 하흐
            • Hooch 호흐
            • Volcher 폴허르
            • Eugene 외젠
            • Michael 미카엘
          • -tie

            -tie는 ‘시'로 적는다.

            • natie 나시
            • politie 폴리시
          •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 Tiele 틸러
            • Zalm 잘름
            • Berlage 베를라허
            • Venlo 펜로
          • nk

             k 앞에 오는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 Frank 프랑크
            • Hiddink 히딩크
            • Benk 벵크
            • Wolfswinkel 볼프스빙컬
          •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 Hobbema 호베마
            • Ballot 발롯
            • Emmen 에먼
            • Gennip 헤닙
          • e

            e는 ‘에'로 적는다. 다만, 이 음절 이상에서 마지막 음절에 오는 e와 어말의 e는 모두 ‘어'로 적는다.

            • Dennis 데니스
            • Breda 브레다
            • Stevin 스테빈
            • Peter 페터르
            • Heineken 헤이네컨
            • Campen 캄펀
          • 같은 모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모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ee는 ‘에이'로 적는다.

            • Hooch 호흐
            • mondriaan 몬드리안
            • Kees 케이스
            • Meerssen 메이르선
          • -ig

            -ig는 ‘어흐'로 적는다.

            • tachtig 타흐터흐
            • hartig 하르터흐
          • -berg

            -berg는 ‘베르흐'로 적는다.

            • Duisenberg 다위센베르흐
            • Mengelberg 멩엘베르흐
          • over-

            over-는 ‘오버르'로 적는다.

            • Overijssel 오버레이설
            • overkomst 오버르콤스트
          • è, é, ê, ë, ï

            모음 è, é, ê, ë는 ‘에'로 적고, ï는 ‘이'로 적는다.

            • carré 카레
            • casuïst 카수이스트
            • drieëntwintig 드리엔트빈터흐
          • 표 19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 p(п), t(т), k(к), b(б), d(д), g(г), f(ф), v(в)

            파열음과 마찰음 f(ф)·v(в)는 무성 자음 앞에서는 앞 음절의 받침으로 적고,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는다.

            • Sadko(Садко) 삿코
            • Agryz(Агрыз) 아그리스
            • Akbaur(Акбаур) 아크바우르
            • Rostopchina(Ростопчинa) 로스톱치나
            • Akmeizm(Акмеизм) 아크메이즘
            • Rubtsovsk(Рубцовск) 룹촙스크
            • Bryatsk(Брятск) 브랴츠크
            • Lopatka(Лопатка) 로팟카
            • Yefremov(Ефремов) 예프레모프
            • Dostoevskii(Достоевский) 도스토옙스키
          • z(з), zh(ж)

            z(з)와 zh(ж)는 유성 자음 앞에서는 ‘즈'로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각각 ‘스, 시'로 적는다.

            • Nazran'(Назрань) 나즈란
            • Nizhnii Tagil(Нижний Тагил) 니즈니타길
            • Ostrogozhsk(Острогожск) 오스트로고시스크
            • Luzhkov(Лужков) 루시코프
          • -grad(град), -gorod(город)

            지명의 -grad(град)와 -gorod(город)는 관용을 살려 각각 ‘-그라드', ‘-고로드'로 표기한다.

            • Volgograd(Волгоград) 볼고그라드
            • Kaliningrad(Калининград) 칼리닌그라드
            • Slavgorod(Славгород) 슬라브고로드
          • -ds(дс)-

            자음 앞의 -ds(дс)-는 ‘츠'로 적는다.

            • Petrozavodsk(Петрозаводск) 페트로자보츠크
            • Vernadskii(Вернадский) 베르나츠키
          • l(л)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л)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Pavel(Павел) 파벨
            • Nikolaevich(Николаевич) 니콜라예비치
            • Zemlya(Земля) 제믈랴
            • Tsimlyansk(Цимлянск) 치믈랸스크
          • l'(ль), m(м)

            l'(ль), m(м)이 어두 자음 앞에 오는 경우에는 각각 ‘리', ‘므'로 적는다.

            • L'bovna(Льбовна) 리보브나
            • Mtsensk(Мценск) 므첸스크
          •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мм), nn(нн)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 Gippius(Гиппиус) 기피우스
            • Avvakum(Аввакум) 아바쿰
            • Odessa(Одесса) 오데사
            • Akkol'(Акколь) 아콜
            • Sollogub(Соллогуб) 솔로구프
            • Anna(Анна) 안나
            • Gamma(Гамма) 감마
          • e(е, э)

            e(е, э)는 자음 뒤에서는 ‘에'로 적고, 그 외의 경우에는 ‘예'로 적는다.

            • Aleksei(Алексей) 알렉세이
            • Egvekinot(Егвекинот) 예그베키노트
          • 연음 부호 '(ь)

            연음 부호 '(ь)은 ‘이'로 적는다. 다만 l', m', n'(ль, мь, нь)이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오는 경우에는 적지 않는다.

            • L'bovna(Льбовна) 리보브나
            • Igor'(Игорь) 이고리
            • Il'ya(Илья) 일리야
            • D'yakovo(Дьяково) 디야코보
            • Ol'ga(Ольга) 올가
            • Perm'(Пермь) 페름
            • Ryazan'(Рязань) 랴잔
            • Gogol'(Гоголь) 고골
          • dz(дз), dzh(дж)

            dz(дз), dzh(дж)는 각각 z, zh와 같이 적는다.

            • Tetradze(Тетрадзе) 테트라제
            • Tadzhikistan(Таджикистан) 타지키스탄
          • 외국의 인명, 지명의 표기는 제1장, 제2장, 제3장의 규정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제3장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언어권의 인명, 지명은 원지음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Ankara 앙카라
            • Gandhi 간디
          • 원지음이 아닌 제3국의 발음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은 관용을 따른다.
            • Hague 헤이그
            • Caesar 시저
          • 고유 명사의 번역명이 통용되는 경우 관용을 따른다.
            • Pacific Ocean 태평양
            • Black Sea 흑해
          • 중국 인명은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 중국의 역사 지명으로서 현재 쓰이지 않는 것은 우리 한자음대로 하고, 현재 지명과 동일한 것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 일본의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 東京 도쿄, 동경
            • 京都 교토, 경도
            • 上海 상하이, 상해
            • 臺灣 타이완, 대만
            • 黃河 황허, 황하
          • 바다는 '해(海)'로 통일한다.
            • 홍해
            • 발트해
            • 아라비아해
          • 우리나라를 제외하고 섬은 모두 '섬'으로 통일한다.
            • 타이완섬
            • 코르시카섬
            • (우리나라: 제주도, 울릉도)
          • 한자 사용 지역(일본, 중국)의 지명이 하나의 한자로 되어 있을 경우, '강', '산', '호', '섬' 등은 겹쳐 적는다.
            • 온타케산(御岳)
            • 주장강(珠江)
            • 도시마섬(利島)
            • 하야카와강(早川)
            • 위산산(玉山)
          • 지명이 산맥, 산, 강 등의 뜻이 들어 있는 것은 '산맥', '산', '강' 등을 겹쳐 적는다.
            • Rio Grande 리오그란데강
            • Monte Rosa 몬테로사산
            • Mont Blanc 몽블랑산
            • Sierra Madre 시에라마드레산맥
          • 삭제
        • (시행일) 이 규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4장제3절 개정규정은 2017년 6월 1일부터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