띄어쓰기의 이해

연속된 한 글자 단어들의 띄어쓰기

이정미(李正美) / 한양대학교 박사과정

한글자로 된 단어들이 연속된 경우의 띄어쓰기에 관해서는 '한글 맞춤법' 제46항에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은 얼핏 보아 아주 명료한 듯하나 이것을 실제 띄어쓰기에 적용하려 할 때에는 사람마다 구구하게 해석할 소지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이어진 한 글자 단어들의 띄어쓰기 관련 규정을 꼼꼼히 살펴보고 사람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을 좀 더 분명히 하고자 한다.
   관련 규정에 제시된 예를 통해 이들의 띄어쓰기를 살펴보기로 한다.

(1) ㄱ. 좀 더 큰 것, 이 말 저 말, 한 잎 두 잎, ...(○)
ㄴ. 좀더 큰것, 이말 저말, 한잎 두잎, ...(○)

한 글자 단어 서너 개가 계속 이어진 경우에는, 우선 (1ㄱ)과 같이 단어 하나하나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다. 그렇지만 의미를 좀 더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표기를 좀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해, (1ㄴ)처럼 가까운 단어끼리 붙여 쓸 수 있다.
   여기서 붙여 쓰는 것이 허용되는, 한 글자 단어의 연속 개수는 명확히 규정된 바 없다. 다만, 용례를 토대로 예측할 수 있을 뿐이다. 이에 따르면, 붙여 쓸 수 있는 한 글자 단어의 연속 개수는 주로 네 개이고 적어도 세 개는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일반인들이 한 글자 단어가 서너 개 계속 이어지는 경우에는 읽기나 쓰기에 부담을 느끼는 데 비해, 그것이 둘 정도 이어지는 경우에는 별 부담을 느끼지 않기 때문인 듯하다.

(2) ㄱ. {이 집(○)/이집(×)}, 정말 마음에 든다.
ㄴ. {이 집 저 집(○)/이집 저집(○)} 기웃거린다.

(2ㄱ)과 같이 한 글자 단어 두 개가 이어지는 경우에는 각 단어를 원칙대로 띄어 쓰는 것이 붙여 쓰는 것보다 더 자연스럽다. 붙여 쓰는 경우에는 동음 단어들과 혼동할 소지가 있어서 오히려 의미 파악에 부담을 준다. 이는 (2ㄴ)과 같이 한 글자 단어가 네 개 연속될 때 모두 띄어 쓰는 것보다 가까운 단어끼리 붙여 쓰는 것이 덜 부담스러운 것과 대조된다.
   한편, 한 글자 단어가 세 개 이상 연속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붙여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의미적으로 한 덩어리로 인식될 수 있는 단어끼리만 붙여 쓸 수 있다. 주로 관형어와 명사, 부사(부사 수식)와 부사 관계가 그런 경우이다.

(3) ㄱ. 좀 더 큰 이 새 집(○)
ㄴ. 좀더 큰 이 새집(○)
ㄷ. 좀더 큰이 새집(×)

(3ㄱ)은 계속 이어진 한 글자 단어들을 원칙대로 모두 띄어 쓴 경우이고, (3ㄴ)은 부사 '좀'과 이것의 수식을 받는 부사 '더', 관형사 '새'와 이것의 수식을 받는 명사 '집'이 각각 한 덩어리로 인식되어 붙여 쓴 경우인데, 모두 자연스럽다. 반면, (3ㄷ)은 각각 '집'을 수식하는 관형사 '큰'과 '이'는 서로 의미상 한 덩어리를 이루지 못하여 붙여 쓰는 것이 어색하다. 말하자면 관형어와 관형어, 부사와 관형어는 붙여 쓸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부사와 부사', '관형어와 명사'의 관계에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직접 수식 관계에 있지 않으면 붙여 쓰는 것이 어색하다.

(4) ㄱ. 훨씬 더 큰 새 집(○)/훨씬 더큰 새집(×)
ㄴ. 더 못 갈 길이다(○)/더못 갈 길이다(×)
ㄷ. 그는 늘 더 잘 달린다(○)./그는 늘더 잘 달린다.(×)

(4ㄱ)은 부사 '더'가 관형어 '큰'을 꾸민 경우로 붙여 쓰는 것이 어색하고, (4ㄴ)의 부사 '더'는 부사 '못'을 꾸미는 것이 아니라 '못 가다'를 꾸미므로 붙여 쓸 수 없으며, (4ㄷ)의 부사 '늘'은 '더 잘 달린다'를 꾸미므로 서로 띄어 써야 한다.
   이상으로 볼 때, 주로 세 개 이상 연속된 한 글자 단어는 원칙적으로 각각 띄어 써야 하나, 읽기 및 쓰기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의미상으로 밀접하게 관련된 부사와 부사, 관형어와 명사는 붙여 쓸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