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산책】

바른말 고운 말 찾아 쓰기
-바른말 찾기 5단계를 중심으로-

鄭寅寬 / 명지대 강사·시인


1. 국어의 필요성

      가. 국어과 학습 지도 면에서

  국어 교육은 모든 인간 교육의 기본이 될 수 있는 언어요, 모든 교과 교육의 중심이 된다. 또한 국어 교육은 전인 교육의 시작이요, 민족성을 강하게 표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민족 정신 교육의 근본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교육의 현장에서는 국어 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여겨 바르게 지도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말을 함부로 남발하고 있고, 더구나 사회생활 속의 언어가 많이 오용되고 있기에 청소년들이 공책 정리나 편지, 일기를 쓸 때 혼잡함과 갈등을 느끼고 있다. 이와 같이 국어 사용은 청소년·소녀들의 정서 순화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생활 속에 사용되는 잘못된 언어를 5단계로 조사하여 바르게 정리해 보았다.
  청소년들의 언어 활동을 고찰할 때, 일기 쓰기, 편지 쓰기, 감상문 쓰기에서 1단계로 조사 분석하여 보고, 2단계로는 신문, 방송, 도서에서의 오기, 3단계로는 학용품, 식용품, 생활 용품에서 오기, 4단계로는 지역의 상업 간판 명칭에서의 오기, 5단계로는 우리 고운 말을 찾아 바르게 쓸 수 있도록 치유하고, 교정 지도를 하여 사회 언어 질서는 물론, 청소년들의 국어 학습 성과를 높여 주고, 또한 사회생활에 대처할 수 있는 인격체를 형성해 주는 데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나. 언어생활 면에서

  언어생활 면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대상 언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처럼 인간이 사회생활을 해 나갈 때 상대방에게 얼마만큼 의사소통을 잘 하느냐는 자기 사상 감정을 얼마만큼 쉽게 전달하는가에 달려 있다. 이런 기술은 곧 언어라는 도구를 가지고 자기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조직하여 새로운 사태와 장면을 분석하는 능력, 질서화된 사고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 주는 데 아주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말을 잘못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때가 있을 것이며, 자신이 말을 잘못하여 얼굴을 붉힐 때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말의 오용은 너무나 광범위하여 외래어 표기에 야기된 것은 제외하고 순수한 우리말인데도 바르게 쓰이지 않고, 잘못 쓰이고, 잘못 표기된 것을 중심으로 분석할 필요성을 느낀다.
  특히 우리말을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로 나눌 때 문자 언어 표기 면에서 우리말 오용이 많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래서 청소년들 사이에 표준어가 얼마나 쓰여지고 있는가. 그리고 우리 생활 언어에서 우리말이 잘못 쓰이고 있는 원인과 실태를 먼저 파악하여 학교생활과 가정생활 그리고 급우, 동료, 친구 간에 비표준어의 사용이 범람하고 있기 때문에 올바른 표기, 오용을 교정 지도하여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여건과 배경을 조성해 줄 필요성이 있다.


      다. 문장 표기 면에서

  1988년 3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표준어 규정에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을 표준어로 하고 있다.’고 말한 것처럼 표준어를 중심으로 국어 학습은 물론, 모든 교과 학습을 하고 있지만 언어생활 속에서 새로운 언어, 조어, 사투리를 배워 가면서 표준어를 점점 잃어가고 있는 것이다.
  고로, 학생들이 학습 과정의 공책 정리나 작문을 할 때나, 개인 문집에 글짓기를 할 때 보면 ‘88년 공포된 표준어 규정이 아닌 예전의 표준어나 사투리 발음대로 편하게 쓰는 경우가 더 많아 하루 속히 불합리했던 표준어를 재정리하여 학습이나 작문하는 데 불편이 없도록 하는 것이 국어 교육의 시급한 문제라 생각이 된다.


      라. 문헌 고찰 면에서

  우리 국어는 사회가 복잡해지고 국제화되면서 극심한 혼란 상태에 빠져 있다. 음운, 어휘, 문법, 맞춤법 등 어느 하나 온전한 것이 없이 모두 병들어 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뿐만 아니라 표준어는 일부 어휘 풀이에 그쳐 사전마다 표준어의 제시가 올바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국어 생활에 근본적으로 위협을 느끼기도 한다.
  그리하여 광복 이후 1948년도 문교부에서는 ‘우리말 도로 찾기’란 홍보 활동을 전개한 일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일본의 외래어, 사투리, 속어, 비어, 외래 풍물의 흐름에 따라 언어가 오염되고 병들어 간다는 사실이다.
  국어의 오용을 막고 순화하려면, 국민의 의식 혁명이 일어나야 하며 언어 사회 정화 운동, 범국민적 활동, 고유어 발굴 활용, 생활 용어, 매스컴 등에서 우리말을 되찾아 순수한 우리말을 쓰도록 노력해야겠다.
  ‘말이란 의사를 소통하고, 언중을 협동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말을 우리 민족 문화의 색인이요, 민족을 결속시키는 거멀못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가지로 아름답고 훌륭한 국어를 더 갈고 닦아 국민의 통합을 이룩하고, 빛나는 민족 문화를 이룩하도록 해야 하겠다’고 말한 것처럼 언어는 민족의 고유 문화 유산인 동시에 국가의 운명과도 직결되는 것이다.
  언어에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4단계에서 표현하고 이해하는 분야로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인간의 언어 활동을 볼 때 말을 듣고, 또 말하는 작용이 글을 읽고 쓰는 언어보다 장애가 적다’고 이야기한다.


      마. 언어 지식 교육 면에서

          1) 문자에 관한 지식

  문자에 관한 지식은 한글 모양, 자음, 모음의 결합, 글씨의 순서 등이 있지만 우리 일상생활에서 신문, 방송, 상품 명칭, 지역 상호 간판 명칭을 보면서 문자 지식을 배울 수 있다. 그리하여 문자화된 글 속에서 우리말을 바르게 알아 바르게 쓰고 읽을 수 있는 교육 현장이 되도록 해야겠다.


          2) 발음에 관한 지식

  발음에 관한 지식은 국어의 음운 현상에서 소리에 해당한다. 예사, 된소리 거센소리가 되거나, 표기와 발음이 다른 경우, 연음으로 처리될 경우, 또한 외래풍조의 흐름을 따라 교묘하게 우리말을 풀어서 외래어도 아니고 우리말도 아닌 국적 없는 말을 사용하는 경향이 아주 많다. 이런 것들이 발음상으로 문자화될 때 과연 표준말이 있다고 말할 수 있는가.


          3) 어휘에 관한 지식

  어휘에 관한 지식은 동사나 형용사 뒤에서 활용되어 여러 가지로 쓰인다는 사실을 알고, 또 보조 어간의 활용을 알고, 한자어, 외래어, 비어, 속어, 은어 등에서 우리 고유어를 찾는다는 뜻이다.
  또 어휘에는 어감의 차이가 있어 강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도 있다.
  흔히 지방 사투리와 새삼스러운 말, 저속어에서 말의 느낌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4) 문장에 관한 지식

  글에는 일정한 순서가 있다는 것을 알고 주어부+서술부로 크게 나누고 문장에서는 종결 부분에 서술문, 명령문, 의문문, 감탄문 등이 있어 의미가 달라짐을 느끼고 두 개 이상의 문장이 하나의 문장이 되어 수식 관계가 있다. 또한 문장에는 과거, 현재, 미래의 시제가 있으며, 문장 안에서는 작은 문장이 존재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교과서는 어떠한 작문에서 문장이 매끄럽지 않고 순서가 바뀌었다면 다듬어야 훌륭한 문장이 될 것이고 그 문장 속에서 낱말이 틀리거나 적당한 단어가 아니면 바꾸는 작업이 필히 있어야 한다.


      바. 생활 용어 면에서

          1) 쓰기 지도

  우리 생활 속에서 효용성 있는 문자를 찾고 바르게 알기 위해 쓰기 지도가 선행되어야 한다.
  공책 쓰기, 일기문, 서간문, 감상문 쓰기에서 잘못 쓰여진 것을 찾아내 서로 바꿔 보고 다 같이 공동으로 잘못 쓰인 낱말을 인식하고 수긍하는 기회를 갖는다.
  특히 감상문 쓰기는 자기 나름대로 문자화할 수 있는 글이기 때문에 정성을 다하여 쓰겠지만 자기만이 혼동하여 쓰는 단어나, 오용으로 쓰고 있는 말을 다른 사람이 발견하여 바르게 익히고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될 때 자기 지식과 인격 형성의 기회로 삼는다.


          2) 어휘 지도

  글짓기 문집, 신문, 방송, 상품명, 간판명을 조사·분석하면서 어휘의 쓰임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문장으로 서술된 속에서 외래어는 고유어로, 한자어는 우리말로 바꾸고 품사의 쓰임을 지도하고, 문장 종결에 쓰이는 서술형이 알맞게 쓰여서 어감의 차이, 속어, 비어, 은어, 상스러운 말로 품위가 저하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사. 오용 표기 지도 면에서

  우리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음절이 이해가 된다 하더라도 습관화되어 오용된 표기가 많이 생긴다.
  말할 때나 읽을 때는 쓰여진 글자와는 달리 소리가 변하는 것을 충분히 이해시켜야 하며, 이해가 안 되면 쓰여진 대로 음절 하나하나의 기본 음가로 읽거나 말하려는 경향과 소리 나는 대로 적으려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어 지도의 애로를 느끼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음운 변화의 법칙을 충분히 이해시킴은 표기 오용 요인을 감소시키는 좋은 지도 방법이라 본다.
  특히 글짓기에서 바르게 표기하기와 잘못 쓴 말이나 명칭을 지도하여 순수한 우리말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2. 국어의 실용성
-바른말 찾기 5단계 중심으로-

  우리들의 실생활과 가르치고 배우는 속에서 우리말을 사용하거나 쓸 때에 잘못 쓰고 있는 것을 5단계로 조사해 보았다.
  1단계로 청소년·소녀들의 글짓기 문집이나 공책에서 조사하여 정리해 보았고, 2단계로 신문, 방송 및 일반 도서에서 틀린 것을 찾아보았으며, 3단계로 학용품과 과자류, 일상 생활 용품의 이름에서 조사해 보았고, 4단계로 지역(증산동, 수색동, 북가좌동) 간판 이름에서 틀린 것을 조사해 보았다. 그리고 5단계로 순수한 우리말을 찾아 ‘풀이’와 ‘쓰임’을 정리해 보았다.


      가.1단계:청소년·소녀들의 글짓기 활동을 중심으로

  개인 문집을 만들어 감상문, 서간문, 일기문 쓰기를 지도하고 공책 정리를 검사하면서 우리말을 잘못 쓰거나 맞춤법, 표준말 표기가 어긋난 것을 조사하여 바르게 고쳐 보았다.


      학생들이 틀리기 쉬운 우리말

개인 문집에서의 오기 조사

잘못된 말 바른말   잘못된 말 바른말
  가리마   가르마   계양   게양
  가리워지다   가리어지다   공념불   공염불
  가쁜하다   가뿐하다   관활구역   관할 구역
  가질러가다   가지러가다   괄세   괄시
  가즈런하다   가지런하다   게나디봇짐   괴나리봇짐
  갛다부다   가타부타   괴퍅하다   괴팍하다
  간당거린다   간댕거리다   구데기   구더기
  갈갈이 찢다   갈가리 찢다   구두닦기   구두닦이
  칼치   갈치   귀절   구절
  성냥곽   성냥갑   구비구비   굽이굽이
  가깝하다   갑갑하다   귓데기   귀떼기
  갑작이   갑자기   귀뜸   귀띔
  강남콩   강낭콩   귀먹어리   귀머거리
  게속   계속   귓속말   귀엣말
  계피떡   개피떡   귀염동이   귀염둥이
  거드럼   거드름   귀절   구절
  꺼리낌없다   거리낌없다   글구   글귀
  거무틱틱하다   거무튀튀하다   글어모으다   그러모으다
  거치장스럽다   거추장스럽다   그렇잖아도   그러잖아도
  거리적거리다   거치적거리다   그럴사하다   그럴싸하다
  건데기   건더기   그레서   그래서
  건들이다   건드리다   그뭄   그믐
  거더차다   걷어차다   끄름   그을음
  울러메다   걸머메다   급작이   급자기
  건듯하면   걸핏하면   급쩡거   급정거
 겉껍더기   겉껍데기   기저기   기저귀


      나. 2단계: 신문, 방송 및 일반 도서를 중심으로

  일반 신문이나 광고용 신문, 방송 보도와 일반 도서에서 잘못 표기하거나 맞춤법에 어긋난 것을 조사하여 바르게 고쳐 보았다.

신문·방송·도서에서의 오기 조사

잘못된 말 바른말   잘못된 말 바른말
  있읍니다   있습니다   도벽(盜癖)   훔치는 버릇
  있슴   있음   고조(高潮)   높아지다
  몇일   며칠   습득(拾得)   줍다
  회집   횟집   완화(緩和)   누그러지다
  이예요   이에요   해후(邂逅)   만나다
  더우기   더욱이   의류(衣類)   옷가지
  일찍기   일찍이   인수증(引受證)   받음표
  뚝뻬기   뚝배기   지참(持參)   가지고
  곱배기   곱빼기   향후(向後)   앞으로
  강남콩   강낭콩   더블러   더불어
  세째   셋째   누네띠네   눈에 띄네
  쌍동이   쌍둥이   파시통통   팥이 통통
  사둔   사돈   두리두리   둘이둘이
  삼춘   삼촌   빠다코코낫   버터코코낫
  부주   부조   럭키샷슈유리   럭키 섀시 유리
  미쟁이   미장이   조은풀   좋은 풀
  땜쟁이   땜쟁이   마니커   많이 커
  중매장이   중매쟁이   마쪼니   맛이 좋으니
  미류나무   미루나무   메로나   메론아
  바램   바람   가급적(可及的)   될 수 있는 대로
  윗어른   웃어른   가일층(加一層)   한층 더
  무우   무   수거(收去)   가두다
  할려고   하려고   수납(收拉)   받다
  알타리   총각무   압승(壓勝)   가볍게 이기다
  우뢰   우레   패인(敗因)   진 까닭
  주착   주책   하락세(下落勢)   내림세


      다.3단계:학용품, 과자류, 일상 생활 용품의 이름을 중심으로

  유년과 소년·소녀들의 많이 사용하는 학용품, 과자류, 생활 용품의 이름에서 국적 없는 말을 조사하여 유년·청소년·소녀들의 혼돈을 막기 위해 바른말로 고쳐 지도하였다.

학용품·식용품·생활 용품에서의 명칭 오기 조사

잘못된 말 바른말   잘못된 말 바른말
  더브러   더불어   어름바  얼음바
  두리두리   둘이둘이   죠리풍  조리하여 튀김
  조아   좋아   초키쿠키  초코쿠키
  안심이   안심해   타미나  탐이 나
  더존   더 좋은   세미나  샘이 나
  파시통통   팥이 통통   둘리둘리  둘이둘이
  키미테   귀밑에   더존  더 좋은
  바로코민   바로 코 밑   떡뽁기  떡볶이
  꼬띠꼬띠   꽃띠꽃띠   메로나  메론아
  꼬깨비   도깨비   매추리알  메추리 알
  조은풀   좋은 풀   쇠주(소주)  소주(쇠주)
  호도   호두   불가리스  불가리아
  누네띠네   눈에 띠네   고프레  고플레(고프다)
  조하 콜   좋아 콜   풋나기  풋내기
  유니나   윤이 나   게꼬리  게 꽁지
  조아바   좋아 바   말국  국물
  몽쉘통통   나의 아저씨   깬닙  깻잎
  고소미   고소해   보통이  보퉁이
  쪽밤   쌍동밤   맵시면  맵고 시원한 라면
  갈범   칡범   한아로  하나로
  풋나기   풋내기   개꽁지  개 꼬리
  고아   좋아   떠벌이  떠버리
  산가리아   산에 갈 테야    


      라. 4단계:지역 간판 이름을 중심으로

  서울 은평구 중산동, 사색동, 북가좌동 일대의 일반 간판과 상호 간판의 이름을 조사하여 우리말로 고치고 바르게 잡아 보았다.

증산·수색·북가좌동 간판 이름에서의 오기 조사

잘못된 말 바른말   잘못된 말 바른말
  설농탕   설렁탕   햇님   해님
  된장찌게   된장찌개   돐   돌
  칼국시   칼국수   쇠고기   소고기(쇠고기)
  안밖청소   안팎 청소   날르는   나르는
  나드리   나들이   미시요   미시오
  어름   얼음   파니다   팝니다
  이불마춤   이불맞춤   계시판   게시판
  쌍까풀   쌍꺼풀   강남콩   강낭콩
  오또기   오뚝이   널판지   널빤지
  필림   필름   오느리   온누리
  고워라   고와라   칫과   치과
  까스   가스   수퍼마켓   슈퍼마켓
  일열주차   일렬 주차   두리방   둘이방
  암돼지   암퇘지   이불자리   이부자리
  이사짐   이삿짐   순데   순대
  카텐   커튼   조아갈비   좋아갈비
  샤시   섀시   뚝빼기   뚝배기
  펌푸   펌프   쌍꺼풀   쌍꺼풀
  컫파마   커트 파마   상치   상추
  찌계백반   찌개백반   장농   장롱
  회집   횟집   리발소   이발소
  이브자리   이부자리   직행렬차   직행 열차
  부침게   부침개   빈간   빈칸
  모밀국수   메밀국수   간막이   칸막이
  미싯가루   미숫가루   나발꽃   나팔꽃
  육계장   육개장   막동이   막둥이
  짜장면   자장면   선동이   선둥이
  가개   가게   쌍동이   쌍둥이
  새꼬리   새 꽁지   윗짝   위짝
  노루꼬리   노루 꽁지   윗층   위층
  먼발치기   먼발치   윗국   웃국
  심니   십 리   윗돈   웃돈
  의견난   의견란   윗어른   웃어른
  백니   백 리   윗옷   웃옷
  쓰래기   쓰레기   육게장   육개장
  떡방아간   떡방앗간   남비   냄비


      마.5단계: 순수한 우리말(고유어) 찾기를 중심으로

  시, 소설, 수필, 기타 책을 읽다가 순수한 우리말을 보는 대로, 아는 대로 정리하여 ‘뜻풀이’, ‘보기’, ‘붙임’으로 꾸준히 정리할 것이다.

우리말 알기

차례 낱말 뜻풀이  보기 붙임
1 시름  늘 마음에 걸리는 근심과 걱정  널라와 시름한 나도 … ‘청산별곡’곡
2 모름지기  마땅히, 차라리  청년은 모름지기 씩씩해야 한다  
3  순간적으로 불끈 일어나는 감정 섟삭다  
4 숫되다  언행이 순진하고 어수룩하다 숫된 처녀  ‘숫’에 ‘되다’   가 붙은 말
5 스스럽다  부끄러운 생각이 나다 스스럼없이 말하자.  
6 주검  시체, 명사  동사 ‘죽다’에    엄이 붙어서 된   명사  ‘죽음’-죽는 일   (명사)
7 모으다  한 곳으로 모이게 하다.  학생들을 모은다  타동사
8 아기씨  계집애를 대접하여 일컫는 말 오라버니 댁이 시뉘를 높여서 일컫기도 함  새색시-새로 시집온 여자를 일컫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