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한국의 지명]

서울 地方의 地名

元學喜 / 경희 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1. 序言

  서울의 都巿化는 급격히 진행되어 그 人는 1천만을 넘는 巨大 都市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그 住民 中 成人의 80%는 서울시 이외의 지역에서 移住해 온 사람으로서, 이들이 서울 시내의 地名에 대해서 얼마나 親近惑을 갖고 있을지 의문이다. 이들 새로 이주해 온 사람들에게는 아마도 서울의 地名이 一種의 記號로서 認識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地名이 그 地域의 어떠한 文化的, 歷史的 意味와 運結되어 있는지를 認識하기도 전에, 급격한 都市化는 더한층 都市 住民과 그 住民의 生活을 變化시키고, 이와 함께 都市 景觀도 變化시켜 가고 있다. 따라서 士地의 名稱도 함께 變化하고 있다. 특히 都市 周邊 地域의 新開發 地區에서는 旣存의 行政 地域이 細區分됨에 따라 새로운 地名이 생겨나는 등 그 변화가 심한데, 그러한 新地名은 생소하거나 個性이 없는 地名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생소한 지명의 예를 들면, 區名으로서 江東, 江西, 江南 등의 지명과 洞名으로서 新林 1,2,3… 등의 새로 생겨난 分割 地名이 있다. 이러한 地名은 行政上, 生活上으로 알기 쉽고도 經濟的인 地名으로 改定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므로 그 지역에 오랫동안 살아온 住民이나 關係者, 學者 들의 입장에서 보면, 그러한 地名의 制定, 혹은 改定은 管理上의 事情으로 인한 편의성만을 고려했을 뿐으로, 그 土地의 歷史나 個性을 焦視한 安易한 자세로서 問題點이 많다고 하겠다. 이러한 側面에서 地名에 대한 意義와 地名의 全體像에 대한 정확한 知識올 요구하게 된다.
   地名에 대한 硏究는 國語學, 言語學, 歷史學, 民俗學 등의 學問에서뿐만 아니라 地理學의 分野에서도 硏究하여 學際的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地名은 본래 環境 知覺의 결과로서 場所(士地)가 갖는 特性과 인간의 意識이 結合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地名은 단순한 記號가 아니라 意味의 結合體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명은 그 性格上, 그 土地의 地理的 性格과 歷史的 性格이 綜合的으로 反影된 地域의 文化的 所産이며, 固定되어 있지 않고 時間의 흐름에 따라서 變化한다. 그러므로 地理學에서도 硏究 對象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地名에 대한 地理學的 硏究로서는 린드1), 젤린스키2), 井戶3), 正井4), 千葉5) 등의 硏究가 있다. 특히 韓國의 地名에 대한 硏究로서는 觀點에 따라 다르겠으나 다음과 같이 巨視的 硏究와 微視的 硏究 두 가지로 大別해 볼 수 있다. 巨視的 側面의 硏究로서는 李聖學6) 歷史 地理學的 硏究와 加藤7) 陶業과 관련이 있는 地名 分布에 대한 硏究, 金蓮玉8) 自然環境 특히 氣候와 관련된 地名의 硏究로서 ,주로 전국적 규모의 硏究를 들 수 있다. 微視的 側面의 연구로서는 稻葉9) 서울 또는 特定 都市의 硏究와 筆者10) 서울시의 洞名攷, 李惠源11) 濟州道의 聚落名에 대한 類型的 特徵과 分布에 대한 연구로서, 주로 特定 地域에 대한 硏究 등이 있다. 그러나 以上으 硏究는 自然環境과 人間의 文化的 側面에서의 士地의 特性에 대한 의식의 결합으로서 地名의 類型的 特微이나 分布를 어느 시점에서 고찰하였을 뿐, 時代의 흐름에 따른 時間的 側面에서의 硏究는 결여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本稿에서는 서울시의 地名이 時代에 따라서 어떻게 그 特徵이 變化하여 왔는가를 밝히는 데 그 目的을 두었다.
  分析 方法으로는 各 時代別로 地名을 類型 分類하여 그 特徵과 分布를 記述하였다. 時代는 다음과 같이 3時代로 구분하였다. 즉 시울시가 人 20여 만 규모의 傳統的 王朝 國家 時代의 首都로서 漢城府 時代, 人 100만 규모로 성장한 植民地의 據點 都市로서 近代 都市로의 移行期에 해당하는 京滅府 時代, 그리고 人 1천만의 産業化 時代의 거대한 國際化한 首都인 서울特別巿 時代로 하였다. 그리고 表 1에 의해서 各 時代別로 地名의 類型을 추출하였으며, 이 分類 基準表에 따라 分類 集計하여 分析하였다.

表 1. 地名의 類型別 分類 基準

數 字
空 間
 一, 二, 三의 數字
 上下, 內外, 前後 등 位置, 方位



建造物歷史

産業交通
人物       
宗敎念願
 宮闕, 官衡, 城廓 등
 公共施設
 市廛, 工房, 手工業, 倉庫, 驛院, 度津, 道路橋梁
 人名, 號, 官職人名
 儒敎 大網, 其他 宗敎 關係



地形
水文
生物
 山, 峴, 石, 岩, 谷, 坪, 峰 등
 水, 井, 泉
 動相物名
合成    2個 地名 以上의 組合
日本式    日本式의 地名,  人名

  여기에 이용된 資枓는 朝鮮 時代와 京城府 時代는 서울 六百年史12) 京城府史를 이용하였고, 서울特別巿 時代는 地方 行政 區域 要覽13)(1983)을 이용하였다. 地名의 의미 해석에는 韓國 地名 總監14) -서울편-을 이용하였다.
  分割 地名의 集計에 있어서는 數字 地名의 경우, 同一 洞名에 1동,2동,… 등의 數字를 붙힌 동명의 반복은 의미가 없으므로 1洞·本恫만을 대상으로 하고, 반복되는 數字 洞名(法定洞 100개 동, 行政洞 205개 동)을 제외하고 項目別로 분석하였다. 또한 空間 關係의 地名에서 예를 들면 上.中.下의 경우 中과 下를 제외하였다. 다음 서을특별시 지명의 地圖化에 있어서는 洞名의 立地나 分布와 地域性을 파악하기 위하여 地名은 時代的 性格과 관련이 높다는 視點에서 地域을 3개 지구로 설정하였고, 지구별로 집계하여 지도화하였다. Ⅰ지구는 舊漢城府 時代와 대체로 일치하는 鍾路區·中區·西大門區·麻浦區로 하였다. Ⅱ구는 曰帝 治下에 시가지화한, 그리고 대체로 京城府와 일치되는 龍山區·城東區·東大門區·城北區·永登浦區를 포함한 지역이다. Ⅲ 지구는 해방 이후에 도시화가 진행된, 恩平區·道峰區·江東區·江南區·銅省區·冠岳區·九老區·江西區가 포함된다. 아래에서는 各 時代別로 2章에서는 漢城府 時代의 地名, 3章에서는 京坡府 時代의 地名, 4章에서는 서울特別市 時代의 地名을 각기 類型別 特徵과 分布를 分析하였다.


2. 漢城府 時代 地名

  高宗 初 漢城府는 5部,47坊,339契였고 그 아래 洞이 있어서 지명은 4계층으로 되어 있었다. 서울의 傳統的 行政 區劃의 特微은 東·西·南·北·中의 方位 名稱으로 된 部 아래에 坊이 있다. 坊은 南北으로 긴 長方型으로 그 경계선이 區劃되어 있으며, 그 아래 契와 洞으로 이루어져서, 각기 細分化된 小地域의 地名이 주어졌다.


      2.1 契의 地名

  이들 地名을 類型別로 분류하면 表 2와 같다. 대체로 人文 關係의 文化的인 地名이

表 2. 漢城府의 地名                                                                單位:契, ( )는 %
    東 部 南 部 西 部 北 部 中 部

 數字
 空間
6
 
2
5
4
6
4
 
5
5
21(6.2)
16(4.7)



 建造物歷史
 産業交通
 人物
 宗敎念願
6
3
2
7
26
10
10
2
34
16
8
4
16
2
2
3
32
23
19
1
114(37.7)
54(17.9)
41(13.6)
17(5.6)



 地形
 水文
 生物
4
5
-
6
5
-
7
7
4
8
5
2
1
5
-
26(8.6)
27(8.9)
6(2.0)
合成  - - - - - -
日本式  - - - - - -
其他 1 7 3 2 4 17(5.6)
28 66 83 40 85 302(100)
合計  34 73 93 44 95 339

資料:서울 六百年史 第一卷에서 作成


전체 339契의 70% 이상이고, 自然 關係의 地名은 19.5%로서 人文 關係의 地名이 절대 다수이다. 이것은 서울이 人工的 環境인 市街地로 형성된 都市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人文 關係의 地名의 分布도 市街地와 일치하는 城廓 內部의 地域과 交通路를 따라서 東大門·西大門 밖의 一部 地域에서 많이 나타난다.


          2.1.1 人文 關係의 地名

  人文 關係의 地名은 表 2에서와 같이 그 構成比를 보면 建造物·歷史 關係의 地名이 37.7%, 産業·交通 關係의 地名이 17.9%, 人物 關係의 地名이 13.6%, 儒敎·念願 關係의 地名이 5.6%의 順으로 되어 있는데, 다음에 그 順序에 따라 分析해 보기로 한다.
  建造物·歷史 關係 地名… 宮殿, 官衙, 城廓 등의 建造物의 소재를 나타낸 地名으로서, 37.7%를 차지하여 가장 많다. 그 분포 지역은 西部·中部·南部·北部의 순으로서, 이들 施設物의 입지와 관련된다. 즉 西部 仁達坊의 社稷, 奉常寺, 壽城宮 內, 內需司, 內贍司 內, 司醴, 鐘閣 등과 積善坊의 司憲府 內, 司譯院 內, 律學廳, 中樞府 內, 禮曹 內, 兵曹 內, 邢曹 內, 工曹 後洞, 그리고 堅平坊의 禁府 內, 禁府 後, 典醫監 등 이외의 捕盜廳, 典獄 內·後洞 등이다.
  産業·交通 關係의 地名… 市中의 商業 관련의 各 廛과, 手工業 관련의 房·匠 등과 관계있는 産業 地名과 道路·다리·나루 등 交通 관계의 지명이 17.9%이다. 그 분포는 中部·西部·南部에 집중되는데, 주로 城郭 內部에 集中 分布하고, 城廓 外部에는 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분포는 中部에 六矣廛이 입지하고, 西部에는 西江, 麻浦, 寵山의 京江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며, 南部는 일부 廛과 手工業의 立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 例로는 中部 長通坊의 笠廛, 紛廛, 紙廛, 鹽廛, 貫子廛, 杷子廛, 鷄兒廛, 沙器廛, 魚物廛과 貞善坊의 非老廛, 下米廛, 衣廛, 布廛, 西部의 筆廛, 豆錫洞, 毛廛, 刀子洞, 租廛, 蘗田, 米塵, 甕里 등과 南部 廣通坊의 毛廛, 熏陶枋의 竹廛 이외에 水鐵, 西氷庫 등이다.
  이와 같이 ○○廛 등의 傳統 商業 文化와 關係된 地名이 탁월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人物 關係의 地名… 그 地域의 有力한 人士의 名稱이 地名化한 것으로서 13,6%나 되어 의외로 상당하다. 다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1)사람의 號와 官職名이 포함된 것,(2)보통 姓名으로 된 것,(3)出身 地名으로 대표되는 것이다. 이 중에서 (2)의 경우는 地域의 性格으로 보아 高官이 아닌 經濟的 有力 人物로 생각되며, (3)의 경우는 京在所와 관련이 있지 않은가 생각된다. 그 分布 地域은 表 2에서와 같이, 中部, 南部, 西部에 집중되어 있다. 즉 中部에서는 長通坊에 집중 분포되어 있는데 曺世弘, 朴戒孫, 河順元, 朴乃宗, 朴己守, 張萬戶, 張仇淡, 丁萬石, 辛亨孫, 兪士益 등이며, 出身 地名으로는 咸平 主人, 廣州 主人, 淸州人, 原州 人契 등이고, 號와 官職名이 조합된 것은 宜山尉, 逢城尉, 海豊君 등의 契가 대표적이다.
  儒敎·念願 關係의 地名…5.6%만을 점유하여 坊名에 비하여 그 比率이 훨씬 낮다. 分布 地域은 東部, 西部, 北部의 順인데, 이는 成均館과 東學·陵墓의 所在와 일치한다.
  그 例로는 崇敎, 彰善, 崇信, 仁昌, 祭基, 聚賢, 長生洞契 등이다.


          2.1.2 自然 關係의 地名

  自然 關係의 地名에는 地形, 水文, 生物과 관련된 地名으로 表 2에서와 같이 水文 關係가 8.9%, 地形 關係가 8.6%로 많고, 生物 關係가 2.0%로 가장 적다.
  地形 關係의 地名…山, 谷, 峴, 岩, 石 등의 字와 조합된 地名으로 대개 ○○山, ○○谷, ○○峴으로 된 地名을 말한다. 이에 관련된 地名의 分布는 北部, 西部, 南部에 많다. 이러한 地名의 例로는 末屹山, 佛光山, 甑山, 城山, 靑坡, 阿峴, 東嶺洞, 松峴, 泥峴, 鶴岩里, 墨石 등의 契이다.
  水文 關係의 地名…일반적으로 地名에 井, 泉, 川, 水, 池, 沼, 灘 등 물과 관계된 地名이다. 水文 關係 地名은 地形 地名보다 일반적으로 많이 나타나는데, 人間이 農耕地로서 平野 地域과 交通路로서의 河川·飮枓水의 求得 등 물과 관련이 깊음에 따라 居住地로서의 平野는 자연히 河川, 池, 沼에 근접해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水文 關係의 地名은 西部의 兄弟井, 灘項, 新井里, 水溢里, 蓮地, 東部의 卜川邊, 蓮池洞, 川邊, 水踰, 中部의 板井洞, 司僕川邊, 蓋井洞, 水標, 石井, 古索井, 朴井, 南部의 小川, 朴井, 漢江, 北部의 五井, 玉井, 合井, 水色 등이 있다. 특히 우물 井자가 붙은 地名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당시 上水道 施設이 보급되지 않은 관계로 自然의 우물에 의존하였기 때문이고, 또한 우물은 마을의 情報 交流處로서 役割을 하였기 때문에 地名으로 자연스럽게 呼稱된 것으로 생각된다.
  生物 關係의 地名…動植物과 關係되는 地名이나, 서울의 경우 소수에 불과하다. 桃花洞, 栗島, 花洞 등이다.


          2.1.3 分割 地名

  表 2에서와 같이 分割 地名은 전체의 10.9%를 점한다. 分割 地名의 발생은 본래의 聚落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土地 利用이 집약적으로 進展되어 이미 區劃된 地域을 다시 細分하여 생긴 地名, 즉 母地名에서 區分 呼稱의 필요에 의해서 생겨난 地名이다. 時間 槪念에서 新舊(古), 그리고 空間 槪念 위에서 上中下, 內外, 前後, 東西南北의 字를 붙여서 구분하여 呼稱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母地名에서 分割 派生된 것이 아니고 단순히 修飾語로서도 空間 槪念의 글자가 조합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母地名에 단순히 1,2,3…의 數字를 붙인 數字 地名이 있다.
  數字 地名…總 21개로, 彰善一, 二契와 같이 2개로 分割된 곳은 往十里, 箭串, 西氷庫, 細橋里, 加佐洞, 衣廛, 紙廛, 主廛, 中魚物廛 등 11개 契이고,3개로 分割된 地名은 蓮, 望遠亭의 2개 契이며,4개와 5개로 分割된 곳은 大寺洞의 一…四牌契, 靑坡一 五契의 各 1개씩이다. 따라서 數字로 된 分割 地名은 2개로 구분된 地名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內外…29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나, 內가 25, 外가 4인 것으로 볼 때, 分割보다는 修飾의 뜻으로 많이 사용된 것으로 인정된다.
  上中下…16개로 실질적인 分割 地名으로는 가장 많다. 下, 上, 中의 順이다. 下가 많은 것은 母地名은 그대로 呼稱하고, 이에 대응해서 새로 구분된 地名에 下자만 붙였기 때문이다. 다음 上은 母地名에서 구분될 때 母地名에 上○○, 下○○로 2구분하였기 때문이다. 中은 처음부터 3區分하거나, 후에 다시 區分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으로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前後, 東西南北… 各 7개소로서, 漢源東邊, 西邊契, 漢城府內契, 後同契,司僕前契, 司僕川邊契, 禁府內契, 禁府後洞契 등이다. 例에서와 같이 어느 地域올 일부분만을 區劃하는 槪念으로, 形態上으로 東과 西와 같이 對稱과 對應型으로 名稱을 붙이기도 하였으나, 特定 建造物이 소재하는 文化 地名을 중심으로 그것을 ○○內契,○○俊洞契와 같이 단순히 修飾하는 名稱으로 되어 있다.
  新舊… 이와 같은 時間 槪念의 分割 地名은 新水鐵里, 舊水鐵里뿐으로 소수에 불과하였으며, 新村里, 新倉契, 新井里契 등은 단지 修飾하는 普通 名詞가 地名의 固有 名詞化한 것으로 分割 地名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2.2 坊의 地名

  儒敎的 大綱 및 念願과 관련된 地名이 73%로 다수를 차지한다. 이들 地名의 特徵은 儒敎의 仁·義·禮·智·信의 德目과 善·德·壽·昌·慶·平·賢·通 등 人間의 善良한 의미나 念願의 의미를 나타내는 形容詞, 名詞의 다음에 時間的, 空間的 持久性과 普遍性을 나타내는 永, 長, 廣, 普 등의 漢字와 조합된 地名이다. 그 例로는 明禮, 仁達, 仁昌, 寬仁, 彰義, 崇信, 樂善, 貞善, 積善, 陽德 등 34개 坊의 地名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善, 仁이 選好되었으며, 坡廓 內部의 中心 市街地에 集中 分布한다. 다음은 生物 關係의 地名으로서 蓮花·盤松은 植物, 瑞麟·龍山은 祥瑞로운 象徵的 動物과 관련되고, 漢江, 西江, 豆毛는 水文 관련의 地名이다. 이들은 自然 관계의 地名으로 대체로 城廓 外部의 周邊 農村 地域에 分布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漢城府의 地名은 局所 地域의 名稱인 小地名에 해당하는 契名과 이에 비해 相對的으로 廣域 地域의 名稱에 해당하는 坊名으로 성격이 大別된다. 契名의 特徵은 人文 關係의 文化的 地名이 74.8%를 차지하고 있어 都市의 市街地의 地域性이 반영되어 나타나는데, 人工的인 建造物 關係의 地名이 37.7%, 産業·交通 關係의 地名이 17.9%, 人物 關係의 地名이 13.6%, 儒敎·念願 關係의 地名이 5.6%로서 그 비율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當時에 地番制가 시행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地域 住民이 자기 居住 地域에 대한 직감적인 環境 認識에서 名稱을 붙인 것으로 그 土地가 갖는 個性이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에 坊名의 特徵은 73% 정도가 儒敎의 大綱이나 念願의 意味를 가진 象徵的·抽象的인 地名으로서 주로 朝鮮 時代의 統治 理念이나 社會·道德的 德目과 관련된다. 이와 같은 性格의 廣域 地名은 공간적 범위가 넓어지고, 유사한 地名이 많아지면, 各地의 사정을 구별할 필요성에서 比較 分析하여, 어떠한 規則的인 命名法下에서 만들어진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여기에 그 地域의 行政 責任者인 統治權者가 개입하게 되고, 이들이 當時의 統冶 理念에 입각해서 앞의 小地名에 비해 廣域 名稱인 公式 地名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현상은 漢陽, 漢城, 京城, 서울로의 地名 變遷에서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國家의 首都의 名稱이나, 과거 社會主義 國家의 都市名에서 특히 理念的 색채가 강하게 나타난다고 하겠다.


3. 京城府 時代의 地名

  1910년 朝鮮 總誓府는 우리나라의 地方 官制를 개편함에 따라, ‘漢城府’에서 ‘京城府’로 名稱을 改稱하고 京畿道에 예속시켰다. 따라서 京坡府는 1914년에 行政 區劃을 개편하여 漢城府 時代의 坊, 契, 洞 制度를 폐지하고, 그 名稱을 曰本式으로 크게 바꾸어 町, 丁目, 洞으로 再編成하여 直轄하게 되었다. 그 후 수차에 걸쳐 周邊 地域을 編入하여 擴大 過程을 거치게 되었다. 그러나 후에 編入된 地域은 農村 地域이었으므로 自然 地名이 卓越하고, 또한 小地域나 微地域의 地名이 通廢合 過程에서 消減되거나 變化의 정도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그러므로 本稿에서는 1914년 改編 當時에 市街地이었기 때문에 地名의 密度가 높아서 改編으로 인하여 消滅이나 變革이 컸던 京城府의 最初의 行政 區域을 基準으로 분석 검토하여 보기로 하였다. 당시 行政 區域의 단위의 수는 總 186개로 洞, 町, 通, 路로 명명되었다. 이것을 類型別로 구분하면 人文關係의 문화적 地名이 38.4%이고 自然 關係의 地名이 10.9%로서 漢城府의 비율보다 훨씬 낮아진 반면에 새로 數字 地名이 23.7%, 合成 地名이 15.5%, 日本式 地名이 27.5%로 추가되었다(表 3 參照). 다음에 그 構成 比率이 높은 地名의 順으로 검토하여 보기로 한다.


      3.1 數字 地名

  數字 地名을 이해하기 위하여 洞, 町, 丁目의 構成을 분석해 보면, 表 3에서와 같이 洞이 85개, 町이 52개, 通이 3개, 路가 1개로 되었다. 이것은 旣存 地名의 다음에 1,2,3...의 數字를 붙이고 丁目으로 표시·구분한 것이다. 泂에서는 1개 동이 4개의 數字 洞으로, 町은 16개 町이 50개 丁目으로, 3개 通이 4개 丁目, 1개 路가 6개 丁目으로 총 85개의 洞과 52개의 町이었으나, 이 중에 16개 町이 다시 분할되어 50개의 數字 丁目으로 구성되었다(표 3 참조). 즉 1,2丁目으로 구분된 町이 6개, 3개 丁目으로 된 町이 5개 町, 4개 丁目이 2개 町, 5개와 6개 丁目으로 된 町이 각 1개씩이다. 그리고 2개 丁目으로 된 通이 2개, 1개 路가 6개 丁目이 포함되어 총 64개의 丁目과 洞으로

表 3. 京城府의 地名                                             單位:洞·町(%)
   

京城府

 

數字
空間
44(23.7)
4(2.2)
48(25.9)



産業物歷史
産業交通
人物
宗敎念願
33(23.9)
9(6.5)
 
11(8.0)
53(38.4)



地形
水文
生物
3(2.2)
8(5.8)
4(2.9)
15(10.9)
 合成 22(15.9) 22(15.9)
 日本式 38(27.5) 38(27.5)
 其他 10(7.2) 10(7.2)
 合計 186(100) 186(100)

資料:서울 六百年史 第一卷에서 作成


되어 있어, 186개 행정 단위의 23.7%라는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다. 이러한 數字로 된 지명은 원래 어느 지역이 그 지역의 土地 利用이 集約化하므로 旣存의 地名에서 區分, 細分化하여 새로 명칭이 붙여지는 分割 地名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서울의 경우 數字 地名은 기존의 지역을 統廢合, 再區分하는 과정에서 番地制의 導入과 行政上 便宜 爲主로 1, 2, 3의 數字를 붙인 졸속 지명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主要 幹線 道路를 따라서는 기존의 행정 구획을 統合하여 하나의 通으로 改編하였으며, 이들 예로는 鐘路, 黃金町, 南大門町, 本町, 元町, 太平通 등으로 이는 道路의 連續性을 살린 기능적인 것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數字 地名은 예를 들면 ○○町 1丁目 이외의 2,3…6에서는 단순한 數字의 나열로 되어 있어서 그 지역의 固有性이 없어졌다고 하겠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44개의 丁目, 通, 洞을 제외한 142개 행정 단위만을 대상으로 그 구성비를 다음에서 분석해 보기로 하였다.


      3.2 日本式 地名

  表 3에서와 같이 曰本語式 地名은 38개나 되어 數字 地名 다음으로 많이 나타난다.

圖 1. 日本式 地名의 分布 地域

  이것은 日本人의 移住에 따라서 그들의 居住地를 중심으로, 또는 그들의 영향력이 큰 지역에 曰本語式의 생소하고 새로운 市街地의 名稱이 붙여졌고, 차츰 확대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지명은 圖 1에서와 같이 龍山을 중심으로 한 淸溪川 이남의 지역에 분포함으로써 , 그들의 居住地와 대략 일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어식 市街地 地名의 예로서는 以前의 중심 시가지라는 의미의 元町, 중심 시가지라는 本町, 繁華한 시가지를 나타내는 榮町, 이외에 大和町, 御成町, 初音町, 吉野町, 旭町, 櫻井町, 日之出町, 東·西四軒町, 壽町, 花園町, 彌生町, 山手町 등이 있다. 한편으로는 기존의 壽洞을 籌町, 草洞을 若草町, 靑坡를 靑葉町, 茶洞을 茶屋町, 山林洞을 林町 등의 日本式 地名으로 고치기도 하였다. 이것은 마치 일본의 도시의 대표적인 市街地 地名이 거의 망라되어 나타남으로써 地名만으로도 일본의 도시로 착각될 정도이다. 더욱이 明治, 大島, 長谷川, 竹添, 岡崎, 古市는 침략에 직간접으로 관여된 일본인의 이름이 地名으로 생겨나게 된 것이다. 이러한 移植 地名은 新大陸에서의 白人에 의한 探險, 開拓, 移住에 기반을 둔 白人 移住民이 자신들의 母國의 地名을 그대로 옮겨 붙임으로써, 新大陸의 到處에 유럽의 지명이 그대로 나타나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생각된다.


      3.3 合成 地名

  합성 지명은 表 3에서와 같이 총 22개의 地名으로 15.9%를 점한다. 이러한 地名은 漢城府의 5部, 47坊, 339契와 700여 개의 泂을 京城府의 186개 洞, 町, 丁目으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새로운 형태의 地名이며, 그 이외에도 새로운 新造 地名이 만들어졌던 것이다. 합성 지명은 旣存 複歎의 舊名을 一字씩 합쳐서 만든 地名이다. 이러한 지명의 예로는 蓮花坊과 建德牞에서 違建洞, 崇信坊과 仁昌坊의 崇仁洞, 崇信坊과 仁昌坊의 昌信洞, 夜珠峴과 唐皮洞의 唐珠同, 松亭洞과 月岩洞의 松月洞, 新村과 銀杏泂의 杏村洞, 紅門과 把撥洞의 紅把洞, 영휘전과 掌樂院의 永樂町, 寬仁坊과 勳洞의 寬勳同, 寬仁坊과 大寺洞의 仁寺洞 이외에도 慶雲洞, 敦義洞, 靑雲洞, 玉仁洞, 宮井洞 등 22개 洞町에 달한다. 이와 같은 합성 지명은 그 어느 지역의 性格도 나타나지 않는 別個의 다른 지명이 되므로, 지명이 그 지역의 特性을 표시한다는 관점에서는 의미가 없어진다고 하겠다.


      3.4 人文 關係의 地名

  인문 관계의 지명은 表 3에서와 같이 建造物·歷史 關係의 地名이 23.9%, 産業·交通 關係의 地名이 6.5%, 宗敎·念願 關係의 地名이 8.0%로 총계 38.4%로서 漢城府 시대의 74.8%에 비하면 그 비율이 대단히 저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3.4.1 建造物·歷史 關係의 地名… 이 지명의 구성비는 23.9%로서 漢城府 시대의 37.7%에 비하여 훨씬 낮아졌다. 이에 해당하는 지명의 예로는 社稷, 內資, 體府, 昭格, 都染, 西小門, 八判, 三淸, 桂洞, 齎洞, 諫洞 등의 漢城府 시대의 舊地名이 그대로 존속된 지명 이외에 새로운 지명으로 鐘路, 惠化, 西大門, 南大門, 光化門, 光熙, 天然, 樓上, 樓下 등 33개에 이른다. 새로운 지명에는 城門, 樓閣, 宮闕의 관련 지명이 많이 보이며, 분포 지역도 이전의 漢城府 시대에서와 같이 城廓 內部의 市街地 한정된다.(表 3 참조)

  3.4.2 産業·交通 關係의 地名… 表 3에서와 같이 6.5%로서 漢坡府 시대의 17.9%에 비해 절반 이하로 그 비율이 낮아졌다. 이 지명의 예로는 蛤洞, 武橋, 長橋, 舟橋, 橋南, 橋北, 麻浦 등을 들 수 있는데, 蛤洞을 제외하면 주로 交通 關係의 地名이 대부분이다. 특히 다리 관계의 지명이 6개로, 漢坡府의 2~3개에 비하면 그 비율이 높아진 반면에, 商業 關係의 各種 市廛과 手工業 關係의 房과 관련된 지명이 蛤洞만 남고 나머지는 전부 소멸되었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예를 들어, 鍷路는 一丁目에서 六丁目까지인테, 이 중에서 一丁目에서 三丁目까지의 3개 丁目에 포함된 地名을 살펴보기로 한다. 鐘路 一丁目에는 豆錫洞 一部, 避馬洞 一部, 惠泉 一部, 想思洞 一部, 外想思泂 一部, 黃士峴 一部, 許屛 一部, 蛤洞 一部, 紬梠洞, 鐘路 二丁目에 靑布后洞 一部, 鞋廛後洞 一部, 鹽洞 一部, 東谷 一部, 鐵物橋·笠洞 一部, 布屛洞 一部, 典洞 一部, 里門洞 一部, 香井洞 一部, 水典洞 一部, 承洞 一部, 塔洞 一部, 校洞 一部, 鉢里洞 一部, 鐘路 三丁目에는 布屛洞 一部, 琵琶洞 一部, 帽谷洞 一部, 上板橋 一部, 中部洞 一部, 校洞 一部, 紬洞 一部, 廟洞 一部, 下板洞 一部, 避馬洞, 笠洞 一部이다. 즉 鐘路라는 1개 街路名의 일부에는 朱錫廛, 明紬廛, 조개전, 갓전, 각종 유기그릇의 바리전, 베를 파는 布廛, 소금전, 철물전다리, 양털·모자 따위를 파는 청포전, 신전, 벙거지전 등의 各種 商業 關係의 巿廛과 관련이 있는 地名이 있다. 이러한 상업 관계의 지명은 傅統的 前産業型 都市 特有의 지명이며, 歷史的 地域性을 나타내 준다는 측면에서 保秄되었어야 마땅한 일로 생각된다.

  3.4.3 人物 關係의 地名… 漢城府 시대의 人物 관련의 지명은 13.6%였음에도, 기존의 韓國人 地名은 하나도 남지 않고 소멸되었다. 다만 침략과 관련된 日本人 人物名과 관계된 지명만 있으므로 曰本式 地名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表 3 참조)

  3.4.4 宗敎·念願 關係의 地名… 이 유형의 지명은 8,0%로서, 漢城府의 5.6%보다는 증대되었다. 舊地名으로 남은 지명의 예로는 通義, 昌成, 嘉會, 安國洞 등이며, 新造語로서 忠臣, 孝悌, 孝子洞 등이 있는데, 이는 儒敎와 관련되며 積善은 불교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念願的인 地名으로는 堅志, 公平洞 등이 있다. 대부분이 城廓 內部의 서북측에 분포한다.(表 3 참조)


      3.5 自然 關係의 地名

  자연 관계의 지명의 구성비는 10.9%로 역시 漢城府의 19.5%보다 낮아졌다(表 4 참조). 그 예로는 松峴, 南山의 地形 地名과, 蓮池, 薰井, 笠井, 玉川, 水下, 漢江, 冷洞의 水文 關係 地名, 그리고 梨花, 桃花, 瑞麟, 臥龍 등의 生物名이 있다. 대체로 자연 지명의 비율에서는 漢城府 시대보다 우물, 고개와 관련된 ○○井, ○○峴의 지명이 상당히 감소되었는데, 이것은 上氷道의 보급과 地形의 平坦化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京城府 지명의 특징은 表 4에서와 같이 曰本式 地名이 27.5%, 數字 地名이 25,9%, 合成 地名이 15.9%로서 計 67%가 傳統的 地名과는 다른 異質的 性格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日本人의 移住에 따른 文化 移植으로 생긴 移植地名과 行政 區劃의 再&編成과

表 4. 서울의 地名 變化                                                           戰位:%, ( )는 행정동
    漢城部   京城部   서울特別市  
分割  數字
 空間
6.2
4.7
10.9 23.7
2.2
25.9 21.1(48.6)
3.6(2.4)
24.7(50.9)
人文關係  建造物歷史
 産業交通
 人物
 宗敎念願
37.7
17.9
13.6
5.6
74.8 23.9
6.5
-
8.0
38.4 13.7(13.0)
7.8(8.2)
6.7(6.8)
11.2(10.6)
39.4(38.6)
自然關係  地形
 水文
 生物
8.6
8.9
2.0
19.5 2.2
5.8
2.9
10.9 11.8(14.5)
5.6(2.9)
5.6(7.2)
23.0(24.6)
 合成 - - 15.9 15.9 11.5(10.6) 11.5(10.6)
 日本式 - - 27.5 27.5 - -
 其他 5.6 5.6 7.2 7.2 26.1(26.1) 26.1(26.1)
 計 100 100 100 100 100(100) 100(100)

資料:서울 六百年史 第一卷에서 作成


  地番制의 導入으로 생긴 새로운 數字 地名, 便宜 爲主로 만든 新造語와 合成 地名으로 代替된 것이다. 따라서 수많은 坊, 契名과 같은 傳統的 文化 地名(전체의 75%)이 統廢合 또는 消滅됨으로써 우리 傳統 地名의 正統性과 特性이 歪曲되었다. 또한 많은 契나 洞名의 消滅은 傳統 都市 特有의 土地 利用에 의한 近世 都市 內部 構造의 特性를 나타내 주는 地名 文化의 消滅을 意味하는 것이었다고 하겠다.


4. 서울特別市 時代의 地名

  서울시의 명칭은 해방과 더불어 1946년 서울 特別 自由市로 하고 일본식의 행정 구역 명칭을 개정하였다. 즉 町은 洞으로, 通은 路로, 丁目은 街로 개정하였으며, 일본식 명칭을 전부 傳統的 固有 地名이나 偉人의 號를 딴 명칭으로 새로 제정하였다. 한편 해외나 월남 동포 등의 급격한 유입 인구로 행정 구역 확장이 이루었고, 행정 구역 단위의 細區 分化로 새로운 명칭이 주어지게 되었다. 本稿에서는 서울시가 市域 內에서 都市化가 최고로 진전되어 市域이 거의 市衙地로 메워진 1980년대의 洞名을 기준으로 분석을

表 5. 서울特別市의 地名                                                    單位:法定洞의 數, ( )는 行政洞의 數
    Ⅰ 地域 Ⅱ 地域 Ⅲ 地域 合計(% )
分割 數字
空間
40(27)
8(4)
60(74)
5(3)
-(104)
4(3)
100(205)
17(10)
100(205)
17(10)
24.7(50.9)
人文關係 建造物歷史
産業交通
人物
宗敎念願
32(12)
7(3)
12(4)
25(10)
13(11)
7(5)
5(5)
7(5)
4(4)
14(9)
7(5)
8(7)
49(27)
28(17)
24(14)
40(22)
13.7(13.0)
7.8((8.2)
6.7(6.8)
11.2(10.6)
39.4(38.6)
自然關係 地形
水文
生物
10(5)
13(2)
1(1)
10(9)
3(2)
6(2)
22(16)
4(2)
13(12)
42(30)
20(6)
20(15)
11.8(14.5)
5.6(2.9)
5.6(7.2)
23.0(24.6)
 合成 25(7) 9(9) 7(6) 41(22) 11.5(10.6) 11.5(10.6)
 日本式            
 其他 35(10) 26(18) 32(26) 93(54) 26.1(26.1) 26.1(26.1)
 計 288(85) 151(143) 115(194) 474(422) 100(100) 100(100)

資料:地方 行政 區城 要覽(1983)에서 作成


하였다. 洞名은 法定洞과 行政洞으로 구분되는데, 법정동은 474개 동이며 행정동은 422개 동으로 되어 있다. 이들 동명의 類型別 特徵을 보면, 表 4에서와 같이 都市化에 의한 分害 洞名이 제일 많아서 법정동명의 경우 24.7%, 행정동명의 경우에는 전체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50.9%를 점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동의 세구분에 의한 분할 동명은 母地名에 上中下 등 空間 位置를 나타내는 글자를 붙이거나,1,2,3… 등의 數字만을 반복해서 붙임으로써 固有의 性格이 없다는 意味에서 제외하고, 항목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人文 關係의 文化的 地名이 39.4%, 自然 關係의 地名이 23.0%, 合成 地名이 11.5%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分割 地名의 비율이 漢坡府의 10.9%, 京城府의 25.9%에 이어서, 서울시에서 행정동의 경우 數字 洞名이 48.6%를 점유하는 점은 유의할 점으로 생각된다, 다음 人文 關係의 文化的 地名에서 漢城府의 74.8%, 京城府에서 38.4%, 서울시에서 38.6%로, 自然 關係의 地名이 漢城府에서 19.5%, 京城府에서 10.9%, 서울시에서 22.4%로 증가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다음에 서울시의 洞名을 유형별로 분석해 보기로 한다.(表 5참조)


      4.1 分割 地名

          4.1.1 數字 地名

  본래 어느 지역이 總稱 또는 通稱되다가 분할에 의해서 細區分된 地名으로서, 前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漢城府 시대부터 數字 地名이 있었으나 그 비율은 6.2%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京城府에서는 旣存의 行政 區劃을 改꟟하면서 町·丁目의 曰本式의 街路網 名稱의 導入으로, 數字 地名이 增加하였는데, 전체 행정 구획 명칭의 1/3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서울시에 와서는 더욱 증가하여 行政洞名(數字 洞名)의 경우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48.6%, 법정동의 경우는 21.1%를 나타내고 있다.(表 5 참조)
  서울시에서 法定洞의 경우 數字 地名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는 곳은 永登浦區(72.8%), 城北區(48.7%), 中區(39.2%), 龍山區(34.2%)이다. 예를 들면 永登浦洞 1,2,3…8街, 堂山洞 1,2,3…6街, 文來洞 1,2,3…6街, 楊呯洞 1,2,3…6街, 新吉 1,2…7洞, 大林 1,2,3洞으로서 총 36개 單位 地域이 6개 固有 地名에 數字만으로 표시된 지역이다. 그 이유는 京城府 時代에 巿街地 街路網 計劃이 잘 시행되었던 곳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數字 洞名의 명칭도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고 하겠다.
  行政洞의 경우에는 圖 3에서와 같이 서울시의 都心 地域보다는 都市의 周邊 地域에 해당한다. 즉 全體 洞名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區가 冠岳(83.3%), 道峰(65.7%), 九老&(65.3%)
  永登浦(63.7%), 東大門(60%), 城北(53.3%), 銅雀(55.5%), 江西(51%)의 순이다. 특히 冠岳區는 新林 1,2,3…11洞, 奉天 1,2,3…10洞과 南峴洞으로 되어 있어서, 南峴洞을 제외하면 新林洞과 奉天洞 2개 동에 1,2,3…의 數字만 붙어 있어 그 비율이 높다. 이상에서와 같이 數字 洞名의 비율이 높은 지구는 解放 以後 無計劃的인 都市化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서 分洞이 빈번하게 일어남으로써 行政上의 便宜 때문에 數字 洞名을 붙인 것으로 생각된다. 分洞에 따라서 주어진 數字는 配列上의 順序도 없어서 新林7동과 8동의 배열, 奉天9동과 19동의 배열과 거리는 문제점이 많다고 하겠다(圖 2 참조). 원래 新林洞에는 地圖上에는 表記되지 않은 小地名으로서 紫雲庵, 紫霞洞, 合室, 蘭谷, 細谷, 宮坪, 櫻村, 福隱村, 書院寸, 雙橋, 陽山里, 冷井, 銀井, 鶴山 등의 自然 村落이 있었는데 이러한 地名은 消減되어야 하는가 생각해 볼 문제라고 하겠다.


          4.1.2 空間 關係의 地名

  方位, 位置, 距離와 관련된 지명은 表 5에서와 같이 法定泂이 3.6%, 行政洞이 2.4%를 점한다. 공간 관계의 지명은 母地名에서 구분될 때, 上, 中, 下, 內外, 東西 등의 글자를 追加 表示하는 分割 地名의 範疇로 볼 수 있으나, 단순히 강조하여 修飾하는 意味를 나타내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 예로서는 上溪, 中溪, 下溪洞, 上, 下月谷洞, 阿峴, 北阿峴洞, 內, 外鉢山洞 등이 있으나, 上鳳, 內谷, 南峴洞과 같이 단순히 修飾의 뜻만을 가진 洞名도 적지 않다.


      4.2 人文 開係 地名

  人文 關係의 地名은 數字 洞名을 제외하면, 가장 많은 比率을 차지하는 지명으로서, 법정동이 39.4%, 행정동의 경우는 38.6%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에 建造物·歷史 關係의 地名, 産業·交通 關係의 地名, 人物 關係의 地名, 宗敎·念願 關係의 地名의 순으로 분석해 보기로 한다(表 4 창조).
  建造物· 歷史 關係의 地名… 官公署나 歷史的 人工 施設物과 관련된 名稱을 취했거나, 이것과 관계가 있는 洞名으로서, 表 5에서와 같이 법정동이 13.7%, 행정동이 13.0%를 차지하여 人文 關係 洞名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예를 들면, 南大門, 宮井, 廟洞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 分布 地域은 團 2에서와 같이 Ⅰ 地域의 비율이 높은데 그 이유는 朝鮮 時代의 首都에 해당하는 舊市街地로서 歷史·文化的인 施設物이 많이 所在하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법정동의 경우에 잘 나타나서 50% 이상을 차지하는 곳이 Ⅰ 지역이고, 그 다음의 높은 비율의 지역이 京城府 時代에 형성된 Ⅱ 地域이고, 都市 外廓 地域이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産業·交通 關係의 地名… 주로 조선 시대의 産業 施設과 交通과 관련이 있는 倉庫, 驛院, 渡津 聚落의 名稱을 취한 洞名이다. 즉 예를 들면, 馬場, 面牧, 木洞, 蠶室, 蠶院, 鹽里, 倉前, 驛村, 平倉, 北倉, 鹽倉, 倉洞, 東·西氷庫, 松坡, 院址洞 등이 있다. 表 4에서와 같이 법정동이 7.8%, 행정동이 8.2%를 차지하고 있다. 그 分布 地域은 圖 5에서와 같이 도심 지역에서보다 周邊 地域에서 높게 나타나는데 도심 지역은 京城府 時代에 많은


  産業 關係의 地名이 消滅된 반면, 주변 지역에서 높은 것은 조선 시대부터 京江의 漕倉, 渡津, 牧馬場 등 都市의 周邊 立地 施設이 있던 外廓 地域이 새로 編入되었기 때문이다.(表 5 참조)
  人物 關係의 地名… 歷史的인 人物 등과 관련된 명칭을 딴 洞名으로서 , 예를 들면 元曉路, 乙支路, 忠正路, 栗谷路, 退溪路 등이다. 특히 人物 關係의 名稱은 京城府 時代 日本人의 이름을 따서 붙인 지명은 거의 해방 이후 우리나라의 偉人의 것으로 改稱한 것이다. 이와 같이 漢城府 時代의 局地的 地域의 有力 人士名의 表記와는 다른 歷史的·全國的 規模의 人物을 記念하기 위하여 이러한 人物의 號를 地名化한 것은 西歐式의 地名 表記法이 導入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構成 比率이나 分布 地域도 京城府 時代와 비슷하나, 漢城府 時代의 13.6%에 비해서는 절반 水準이다. 즉 表 5에서와 같이 法定洞名의 6.7%를 구성하며, 그 分布 地域은 舊市街地인 Ⅰ 地域에 50% 이상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宗敎·念願 關係의 地名… 儒敎의 大綱이나 人間의 念願과 希望을 나타내는 象徼的 文字들로서 구성된 洞名이다. 表 5에서와 같이 法定洞에서는 총 40개동으로서 11.2%, 행정동에서는 10.6%를 차지한다. 그 分布는 역시 구시가지에 해당하는 지역에 집중되는데 都心部의 洞名에서 歷史性과 傳統性이 높게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3 自然 關係의 地名

  그 土地의 自然 環境과 관련된 지명은 表 5에서와 같이 법정동의 경우 23.0%, 행정동의 경우 24.6%를 차지하여, 京城府의 10.9%보다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急激한 都市化로 인하여 周邊의 農村 地域이 새로 編入된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되며, 圖 6에서와 같이 周邊 地域에서 自然 關係 地名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에서 이 같은 사실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다음에 地形, 水文, 植生의 순으로 분석해 보기로 한다.
  地形 關係의 地名…그 지역의 地形의 特徵을 나타내는 洞名으로서, 表 5에서와 같이, 법정동의 경우에는 11.8%, 행정동의 경우에는 14.5%를 차지하여, 漢城, 京城府의 각 8.6%, 2.2%에 비하여, 특히 行政洞의 경우 그 비율이 높아졌다. 出現 頻度가 높은 문자는 山, 峴, 谷, 岩의 순으로 높은데, 그 예로서는 堂山, 禿山, 老姑山, 龜山, 繒山, 內鉢山, 葛峴, 峴底, 大峴, 栗峴, 禾谷, 麻谷, 中谷, 細谷, 內谷, 紫谷, 月谷, 鏞岩, 安岩, 敦岩, 上岩, 鷹岩, 付岩, 이외에 楊坪, 黑石, 鷹峯洞 등이 있다.
  水文 關係의 地名…聚落의 立地에는 물과 깊은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지명에는 물과 관계된 것이 적지 않다. 表 5에서와 같이 法定洞에서는 5.6%, 행정동에서는 2.9 %를 점하고 있는데, 漢城府 시대보다는 그 비율이 낮아졌다. 많이 사용되는 문자의 순은 水·井·泉으로 漢城府에서 井자가 제일 選好된 것에 비해 변화되었다. 예로는 舊水, 上水, 下水, 新水, 水踰, 水色, 溫水, 玉水, 聖水, 水西, 文井, 合井, 冷泉, 靈泉, 玉泉, 山泉, 滄川, 新川, 淸潭洞 등이 있다. 그 分布 地域은 西大門區와 麻俌區 등 漢江과 그 支流의 沿岸과 관련되어 분포한다.
  生物 關係의 地名…植物이나 기타 生物과 관련된 洞名이다. 일반적으로 動物보다는 植物 關係의 洞名이 많다. 林, 牛, 龍의 文字가 쓰이는데 大棗, 中林, 杏村, 梧柳, 道林, 新林, 瑞草, 龍頭, 牛眠, 牛耳, 放鶴洞 등이 있다. 법정동이 5.6%, 행정동이 7.2%로서 漢城府, 京城府에서 보다 높게 나타나며 그 分布 地域도 新꟟入 地區인 都市 周邊 地域에서 높게 나타난다.


      4.4 合成 名稱의 地名

  이는 關係되는 各 洞에서 예부터 존재하는 名稱을 서로 折衝하여 만든 地名으로서, 壽洞과 松峴의 각 一字를 組合해서 만든 壽松洞과 같은 地名이다. 表 5에서와 같이 법정동에서 11.5%, 행정동의 경우 10.6%이다. 그 분포 지역은 舊巿街地인 都心 地域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1914년의 府制 實施에 따라 洞制가 改編됨으로써 생겨난 것이다. 이것은 단순한 文字 組合으로 된 명칭으로, 旣存의 명칭과 混同될 우려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서울의 지명의 구성을 보면 表 4에서와 같이, 分割 地名이 행정동의 경우 50.9%, 人文 關係 地名이 38.6%, 自然 關係 地名이 24.6%, 合成 地名이 10.6%를 나타내고 있다. 대체로 京城府 地名 體系를 그대로 繼承하여 人文 關係의 地名과 合成 地名의 구성비의 변동은 없으나 分割 地名, 특히 數字 地名이 절반을 상회하며, 이와 함께 自然 關係 地名의 구성비가 京城府에 비해 2배 이상으로 增大되었고 曰本式 地名이 消滅된 것이 特徵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解放 後 獨立의 熱氣로 民族的 正統性의 回復이라는 次元에서 日本式 地名의 廢棄와 傳統 地名의 回復 氣運 때문이라 하겠다. 그러나 戰爭, 混亂으로 固有 地名에 대한 認識이 後退되고 經濟 開發에 따른 都市化로 都心 地滅의 人 減少에 따른 行政 區域의 統廢合, 周邊 地域의 人 增加에 따른 行政 區域의 細分化가 급속히 이루어지는 가운데 行政泂이라는 便宜主義에 편승하여 數字 洞名을 量産함으로써 分割 地名이 증대되었다. 뿐만 아니라 당시의 한글 전용의 社會的 雰圍氣, 新世代들의 漢字가 어렵다는 失入見, 行政 官吏의 便宜性과 소극성이 小地域의 固有 地名의 採擇보다는 數字 地名의 增大를 促進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 自然 關係 地名의 증대는 都市化에 따른 周邊 農村 地域의 編入에 따라서 旣存의 農村 地域의 自然 地名이 增大된 것이다. 따라서 서울시의 地名은 京城府 時代의 잘못된 慣行이 그대로 踏襲되어 더욱 數字 洞名을 量産한 것이 特徵이라고 하겠다.


5. 結言

  이상의 章에서는 서울의 地名을 漢城府, 京城府, 서울特別市의 3 時期別로 地名을 類型別로 區分하고 그 特徵을 분석하였다. 이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漢城府의 地名의 特徵은 普遍的 性格(坊名)의 地名과 局所 地域의 個性, 즉 特殊性을 나타내는 地名 (契名)으로 大別할 수 있다.
  坊의 名稱에서는 儒敎와 念願으로 표현된 명칭이 2/3이상으로 절대 다수였다. 따라서 廣域的 地名(契名이 指稱하는 空間的 範圍보다는 廣城)은 人間의 儒敎的 德目이나 人間의 바람직한 念願으로 표현된 普遍性을 나타내는 좋은 名稱이었다고 할 수 있다.
  契의 名稱은 地番으로 표시하지 않고 局所的인 小地域마다 單泣別로 個性, 즉 特殊性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므로 當時의 地名은 歷史·建造物의 所在地와 關係를 나타낸 地名이 제일 많았고 다음은 各種 巿廛과 交通 關係의 地名, 즉 商業을 중심으로 한 産業 文化와 관련된 地名이었으며, 그 다음이 人名 關係 地名이었다. 人名 關係의 地名은 局地的 有力 人士의 名稱과 관련된 것으로 歷史的·全國的 規模의 偉人名과는 無關하였다는 것이 特徵이다. 그러므로 漢城府 時代의 地名의 特徵은 廣域 地名에서는 普篇性을 띤 宗敎的, 念願的인 地名이 主流를 이루었고, 局所的 小地名에서는 自然 關係의 地名이 소수이고 대부분이 傳統 市街地의 土地 利用의 特性이 잘 反影된 人文 關係의 文化 地名이 다수였다.
  2. 京城府 時代는 行政 區劃의 改編으로 傳統的인 文化 地名이 消滅·歪曲되었다. 그 결과 傳統 都市의 內部 構造를 나타내는 地名 등이 애석하게도 消滅된 반면, 生疎하고 새로운 日本式 地名, 數字 地名, 合成 地名이 합해서 67%나 될 정도로 증가하기에 이르렀다. 이것은 文化 移植에 의한 地名 移動 現狀이며 地番制와 街路名制의 導入, 無誠意한 便宜 爲主의 地名觀 때문이라고 하겠다.
  3. 서울特別市 時代의 地名은 分割 地名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自然 地名이 중대한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解放 後 一時的인 民族 正統性의 回復 次元에서 日本式 地名을 廢棄하고, 傳統的 固有 地名으로 회복하는 듯했으나 混亂 및 戰爭, 그 후 經濟 成長에 따른 急速한 都市化로 인한 效率과 便宜主義, 그리고 다른 社會的 雰圍氣 때문에 數字 地名을 量産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數字 地名은 個性이 없는 人工 造花의 複製品과 같다고 하겠다.
  이상에서와 같이 서울의 地名은 漢城府 時代까지 地域의 個性과 普遍性을 훌륭하게 표현한 地名의 傳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 후 京城府 時代의 行政 區域 改編과 曰本式의 地名 改稱, 合成 地名의 導入, 그리고 解放 後의 西歐式 呼稱 方法의 대두와 함께, 産業化에 의한 便宜性과 效率性에 밀려서 서울의 地名 表記와 呼稱의 無關心에서 나온 原則性 없는 無秩序性을 露出하며 退步하였다고 할 수 있다.
  地名은 無形의 文化財이다. 이러한 觀點에서 地名의 呼稱과 表記에 대해서 새로운 認識의 必要性을 强調하고 싶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