ʣ
* [j], [w]의 '이'와 '오, 우', 그리고 [ɲ]의 '니'는 모음과 결합할 때 제3장 표기 세칙에 따른다.
** 독일어의 경우에는 '에', 프랑스어의 경우에는 '으'로 적는다.
자음 앞ㆍ어말
colcren 콜크렌, Cecilia 세실리아, coccion 콕시온,
bistec 비스텍, dictado 딕타도
ㅅ,
ㄱㅅ
* ll, y, ñ, w의 '이, 니, 오, 우'는 다른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Como 코모, Sicilia 시칠리아, Boccaccio 보카치오,
credo 크레도
ㄖ
제치류齊齒類
yao
(iao)
you
(iou,
iu)
yan
(ian)
yang
(iang)
ying
(ing)
wa
(ua)
wo
(uo)
wai
(uai)
wei
(ui)
웨이
(우이)
wan
(uan)
wen
(un)
wang
(uang)
weng
(ong)
yue
(ue)
yuan
yun
yong
(iong)
[ ]는 단독 발음될 경우의 표기임. ( )는 자음이 선행할 경우의 표기임. * 순치성(脣齒聲), 권설운(捲舌韻).
ㄹ,
ㄹㄹ
dż,
drz
* ż, sz, rz의 '시'와 j의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르주, 르슈,
르시
řeka 르제카, námořník 나모르주니크, hořký 호르슈키,
kouř 코우르시
Žižka 지슈카, Žvěřina 주베르지나, Brož 브로시
sěst 셰스트, věk 베크
* d', ň, š, t', j의 '디, 니, 시, 티,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x는 개별 용례에 따라 한글 표기를 정한다.
리*,
ㄹ리*
* lj, nj, š, j의 '리, 니, 시,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ş의 '시'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 x는 개별 용례에 따라 한글 표기를 정한다.
* ny, s, j, ly의 ‘니, 시, 이,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 음절로 적는다.
Göteborg 예테보리, Geijer 예이예르, Gislaved 이슬라베드
börja 뵈리아, fjäril 피에릴, mjuk 미우크, mjöl 미엘
Karl 칼, Kock 코크, Kungsholm 쿵스홀름,
Kerstin 셰르스틴, Norrköping 노르셰핑, Lysekil 뤼세실, oktober 옥토베르, Fredrik 프레드리크, kniv 크니브
Piteå 피테오, knappt 크납트, Uppsala 웁살라,
kamp 캄프
båt 보트
Östersund 외스테르순드, Björn 비에른, Linköping
린셰핑
* dj, g, gj, hj, j, lj의 ‘이’와 ch, k, kj, sch, sj, sk, skj, stj, ti, tj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다만 j는 표기 세칙 제4항, 제11항을 따른다.
Arnold 아르놀, Harald 하랄, Roald 로알, Aasmund
오스문, Vigeland 비겔란, Svendsen 스벤센
fjord 피오르, Sigurd 시구르, gård 고르, nord 노르,
Halvard 할바르, Edvard 에드바르
Jonas 요나스, Bjørn 비에른, fjord 피오르,
Skodje 스코디에, Evje 에비에, Tjeldstø 티엘스퇴
ㅇ, ㅇ크
skatt 스카트, Skienselv 시엔스엘브, skram 스크람,
Ekofisk 에코피스크
Aall 올, Aasmund 오스문, Kåre 코레, Vesterålen
베스테롤렌, Vestvågøy 베스트보괴위, Ålesund 올레순
* g, gj, j, lj의 ‘이’와 k, kj, sch, sj, sk, skj, tj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다만, j는 표기 세칙 제5항, 제12항을 따른다.
Bornholm 보른홀름, Jacobsen 야콥센,
Holstebro 홀스테브로
cafeteria 카페테리아, centrum 센트룸, crosset 크로세트
적지 않음(ds, dt, ld,
nd, rd)
København 쾨벤하운, køre 쾨레, Skære 스케레,
Frederikshavn 프레데릭스하운, Holbæk 홀베크
hoppe 호페, september 셉템베르, spring 스프링,
hop 호프
Sorø 소뢰, Roskilde 로스킬레, Århus 오르후스,
scene 세네
Vejle 바일레, dvale 드발레, pulver 풀베르, rive 리베,
lyve 뤼베, løve 뢰베
우
(단모음 뒤)
doven 도우엔, hoven 호우엔, oven 오우엔,
sove 소우에
(av, æv, øv,
ov, ev)
gravsten 그라우스텐, København 쾨벤하운, Thorshavn 토르스하운, jævn 예운, Støvle 스퇴울레, lov 로우,
rov 로우, Hjelmslev 옐름슬레우
* hj, j의 ‘이’와 sch, sj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다만, j는 표기 세칙 제5항을 따른다.
ㅂ, 프
Chiang Mai 치앙마이, buach 부앗
Dindaeng 딘댕, Rad Burana 랏부라나,
Samed 사멧
He 헤, Lahu 라후,
Mae Hong Son 매홍손
Kaew 깨우, malako 말라꼬,
Rak Mueang 락므앙, phrik 프릭
Khaosan 카오산, lakhon 라콘,
Caroenrachphakh 짜른랏팍
lamyai 람야이, Thalang 탈랑, Sichonl 시촌
Maikhao 마이카오, mamuang 마무앙,
khanom 카놈, Silom 실롬
Nan 난, Ranong 라농, Arun 아룬,
Huahin 후아힌
Pimai 삐마이, Paknam 빡남,
Nakhaprathip 나카쁘라팁
Phuket 푸껫, Phicit 피찟,
Saithiph 사이팁
Tak 딱, Satun 사뚠, natsin 낫신,
Phuket 푸껫
Tham Boya 탐보야, Thon Buri 톤부리,
thurian 투리안, song thaew 송태우,
Pathumthani 빠툼타니,
Chaiyawath 차이야왓
lamyai 람야이, Ayutthaya 아유타야
Wan Songkran 완송끄란, Malaiwong 말라이웡, song thaew 송태우
Akha 아카, kapi 까삐, lang sad 랑삿,
Phanga 팡아
Sire 시레, linci 린찌, Krabi 끄라비,
Lumphini 룸피니
khon 콘, Loi 로이, namdokmai
남독마이, Huaito 후아이또
thurian 투리안, Chonburi 촌부리,
Satun 사뚠
kaeng daeng 깽댕, Maew 매우,
Bangsaen 방샌, Kaibae 까이배
kaeng cued 깽쯧, Maeraphueng 매라픙, Buengkum 븡꿈
Cabral 카브랄, Francisco 프란시스쿠, aspecto 아스펙투
escudo 이스쿠두, Bernardim 베르나르딩,
Dias 지아스(브)
Saramago 사라마구, Jorge 조르즈, Portalegre
포르탈레그르, Guerra 게하
Lisboa 리스보아, Manuel 마누엘, Melo 멜루,
Salvador 사우바도르(브)
Natal 나탈, António 안토니우, Angola 앙골라,
Rondon 혼동
Pedroso 페드로주, Lopes 로페스, Prado 프라두
Freire 프레이르, Rodrigues 호드리게스,
Cardoso 카르도주
Salazar 살라자르, Barroso 바호주, Egas 에가스,
mesmo 메즈무
Tavira 타비라, Garrett 가헤트, Aracati 아라카치(브)
Xira 시라, exame 이자므, exportar 이스포르타르
Odemira 오데미라, Melo 멜루, Passos 파수스
Guimarães 기마랑이스, Magalhães 마갈량이스
ão
Aeminium 아에미니웅, Ituiutaba 이투이우타바
* ch의 ‘시’, lh의 ‘리’, nh의 ‘니’, x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k, w, y는 외래어나 외래어에서 파생된 포르투갈식 어휘 또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약자나 기호의 표기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포르투갈어 알파벳에 속하지 않으므로 해당 외래어 발음에 가깝게 표기한다. (브)는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적용되는 표기이다.
kwaliteit 크발리테이트, kwellen 크벨런,
kwitantie 크비탄시
Veltman 펠트만, Einthoven 에인트호번,
Weltevree 벨테브레이
Egmont 에흐몬트, Frederik 프레데릭, Heineken
헤이네컨, Lubbers 뤼버르스, Campen 캄펀
Bouts 바우츠, Bouwman 바우만, Paul 파울,
Lauwersmeer 라우에르스메이르
Huizinga 하위징아, Zuid-Holland 자위트홀란트,
Buys 바위스
* j의 ‘이’, sj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Bolotov(Болотов) 볼로토프,
Bobrov(Бобров) 보브로프,
Kurbskii(Курбский) 쿠릅스키,
Gleb(Глеб) 글레프
Goncharov(Гончаров) 곤차로프,
Manechka(Манечка) 마네치카,
Yakubovich(Якубович) 야쿠보비치
Dmitrii(Дмитрий) 드미트리,
Benediktov(Бенедиктов) 베네딕토프,
Nakhodka(Находка) 나홋카,
Voskhod(Восход) 보스호트
Fyodor(Фёдор) 표도르,
Yefremov(Ефремов) 예프레모프,
Iosif(Иосиф) 이오시프
Gogol'(Гоголь) 고골,
Musorgskii(Мусоргский) 무소륵스키,
Bogdan(Богдан) 보그단,
Andarbag(Андарбаг) 안다르바크
Khabarovsk(Хабаровск) 하바롭스크,
Akhmatova(Ахматова) 아흐마토바,
Oistrakh(Ойстрах) 오이스트라흐
Kalmyk(Калмык) 칼미크,Aksakov(Аксаков) 악사코프,Kvas(Квас) 크바스,Vladivostok(Владивосток) 블라디보스토크
Lenin(Ленин) 레닌, Nikolai(Николай)
니콜라이, Krylov(Крылов) 크릴로프,
Pavel(Павел) 파벨
Mikhaiil(Михаийл) 미하일,
Maksim(Максим) 막심,
Mtsensk(Мценск) 므첸스크
Pyotr(Пётр) 표트르,
Rostopchina(Ростопчинa) 로스톱치나,
Pskov(Псков) 프스코프,
Maikop(Майкоп) 마이코프
Rybinsk(Рыбинск) 리빈스크,
Lermontov(Лермонтов) 레르몬토프,
Artyom(Артём) 아르툠
Shcherbakov(Щербаков) 셰르바코프,
Shchirets (Щирец) 시레츠,
borshch(борщ) 보르시
Tat'yana(Татьяна) 타티야나,
Khvatkov(Хватков) 흐밧코프,
Tver'(Тверь) 트베리, Buryat(Бурят) 부랴트
Gatchina(Гатчина) 가치나,
Tyutchev(Тютчев) 튜체프
Kapitsa(Капица) 카피차,
Tsvetaeva(Цветаева) 츠베타예바,
Bryatsk(Брятск) 브랴츠크,
Yakutsk(Якутск) 야쿠츠크
Verevkin(Веревкин) 베렙킨,Dostoevskii(Достоевский) 도스토옙스키,Vladivostok(Владивосток) 블라디보스토크,Markov(Марков) 마르코프
Zaichev(Зайчев) 자이체프,
Kuznetsov(Кузнецов) 쿠즈네초프,
Agryz(Агрыз) 아그리스
Zhadovskaya(Жадовская) 자돕스카야,
Zhdanov(Жданов) 즈다노프,
Luzhkov(Лужков) 루시코프,
Kebezh(Кебеж) 케베시
Yurii(Юрий) 유리, Andrei(Андрей)
안드레이, Belyi(Белый) 벨리
Aksakov(Аксаков) 악사코프,
Abakan(Абакан) 아바칸
Petrov(Петров) 페트로프,Evgenii(Евгений) 예브게니,Alekseev(Алексеев) 알렉세예프,Ertel'(Эртель) 예르텔
Ivanov(Иванов) 이바노프, Iosif(Иосиф)
이오시프
Ushakov(Ушаков) 우샤코프,
Sarapul(Сарапул) 사라풀
Saltykov(Салтыков) 살티코프,
Kyra(Кыра) 키라, Belyi(Белый) 벨리
Yasinskii(Ясинский) 야신스키,
Adygeya(Адыгея) 아디게야
Solov'yov(Соловьёв) 솔로비요프,
Yurii(Юрий) 유리, Yurga(Юрга) 유르가
* sh(ш), shch(щ)의 ‘시'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에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1. 짧은 모음 다음의 어말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2. 짧은 모음과 유음·비음([l], [r], [m], [n]) 이외의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p], [t], [k])은 받침으로 적는다.
3. 위 경우 이외의 어말과 자음 앞의 [p], [t], [k]는 '으'를 붙여 적는다.
어말과 모든 자음 앞에 오는 유성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s], [z], [f], [v], [θ], [ð]는 '으'를 붙여 적는다.
2. 어말의 [ʃ]는 '시'로 적고, 자음 앞의 [ʃ]는 '슈'로,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3.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ʒ]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ʒ]는 'ㅈ'으로 적는다.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ʦ], [ʣ]는 '츠', '즈'로 적고, [ʧ], [ʤ]는 '치', '지'로 적는다.
2. 모음 앞의 [ʧ], [ʤ]는 'ㅊ', 'ㅈ'으로 적는다.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비음은 모두 받침으로 적는다.
2. 모음과 모음 사이의 [ŋ]은 앞 음절의 받침 'ㅇ'으로 적는다.
1.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으로 적는다.
2.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m], [n])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m], [n])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auə]는 '아워'로 적는다.
1. [w]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wə], [wɔ], [wou]는 '워', [wα]는 '와', [wæ]는 '왜', [we]는 '웨', [wi]는 '위', [wu]는 '우'로 적는다.
2.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gw], [hw], [kw]는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3. 반모음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야', '얘', '여', '예',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d], [l], [n] 다음에 [jə]가 올 때에는 각각 '디어', '리어', '니어'로 적는다.
1.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
2. 원어에서 띄어 쓴 말은 띄어 쓴 대로 한글 표기를 하되, 붙여 쓸 수도 있다.
1. 자음 앞의 [r]는 '으'를 붙여 적는다.
2. 어말의 [r]와 '-er[ər]'는 '어'로 적는다.
3. 복합어 및 파생어의 선행 요소가 [r]로 끝나는 경우는 2의 규정을 준용한다.
어말의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철자 'berg', 'burg'는 '베르크', '부르크'로 통일해서 적는다.
1.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는 '슈'로 적는다.
2. [y],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3.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쇼, 슈' 등으로 적는다.
[ɔy]로 발음되는 äu, eu는 '오이'로 적는다.
1. 어말에서는 '으'를 붙여서 적는다.
2. 구강 모음과 무성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구강 모음+무성 파열음+무성 파열음 또는 무성 마찰음'의 경우)은 받침으로 적는다.
1. 어말과 자음 앞의 [ʃ], [ʒ]는 '슈', '주'로 적는다.
2. [ʃ]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슈'로 적는다.
3. [ʃ]가 [y], [œ], [ø] 및 [j], [ɥ] 앞에 올 때에는 'ㅅ'으로 적는다.
1. 어말과 자음 앞의 [ɲ]는 '뉴'로 적는다.
2. [ɲ]가 '아, 에, 오, 우'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각각 '냐, 녜, 뇨, 뉴'로 적는다.
3. [ɲ]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소리와 합쳐 '뉴'로 적는다.
4. 그 밖의 [ɲ]는 'ㄴ'으로 적는다.
1. 어말에 올 때에는 '유'로 적는다.
2. 모음 사이의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예, 얭, 야, 양, 요, 용, 유, 이' 등으로 적는다. 다만, 뒤 모음이 [ø], [œ]일 때에는 '이'로 적는다.
3. 그 밖의 [j]는 '이'로 적는다.
[w]는 '우'로 적는다.
gu, qu는 i, e 앞에서는 각각 'ㄱ, ㅋ'으로 적고, o 앞에서는 '구, 쿠'로 적는다. 다만, a 앞에서는 그 a와 합쳐 '과, 콰'로 적는다.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cc-는 'ㄱㅅ'으로 적는다.
c와 g 다음에 모음 e와 i가 올 때에는 c는 'ㅅ'으로, g는 'ㅎ'으로 적고, 그 외는 'ㅋ'과 'ㄱ'으로 적는다.
x가 모음 앞에 오되 어두일 때에는 'ㅅ'으로 적고, 어중일 때에는 'ㄱㅅ'으로 적는다.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c와 g 앞에 오는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i 앞에서는 'ㄹㄹ'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글ㄹ'로 적는다.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냐', '녜', '뇨', '뉴', '니'로 적는다.
sce는 '셰'로, sci는 '시'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스ㅋ'으로 적는다.
같은 자음이 겹쳤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 -nn-의 경우는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1. c와 g는 e, i 앞에서 각각 'ㅊ', 'ㅈ'으로 적는다.
2. c와 g 다음에 ia, io, iu가 올 때에는 각각 '차, 초, 추', '자, 조, 주'로 적는다.
qu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콰, 퀘, 퀴' 등으로 적는다. 다만, o 앞에서는 '쿠'로 적는다.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 ll은 받침으로 적고, 어중의 l, l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촉음(促音) [ッ]는 'ㅅ'으로 통일해서 적는다.
장모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성조는 구별하여 적지 아니한다.
'ㅈ, ㅉ, ㅊ'으로 표기되는 자음(ㄐ, ㄓ, ㄗ, ㄑ, ㄔ, ㄘ) 뒤의 'ㅑ, ㅖ, ㅛ, ㅠ' 음은 'ㅏ, ㅔ, ㅗ, ㅜ'로 적는다.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1.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트', '크'로 적는다.
2. 유성 자음 앞에서는 '브', '드', '그'로 적는다.
3. 무성 자음 앞에서 b, g는 받침으로 적고, d는 '트'로 적는다.
1. w, z, ź, dz가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때에는 '프, 스, 시, 츠'로 적는다.
2. ż와 rz는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ㅈ'으로 적되, 앞의 자음이 무성 자음일 때에는 '시'로 적는다. 유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주',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슈', 어말에 올 때에는 '시'로 적는다.
3. sz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1. ł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적는다. (ło는 '워'로 적는다.) 다만, 자음 뒤에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는다.
2. ół는 '우'로 적는다.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어두의 m이 l,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ę은 '엥'으로 적는다. 다만, 어말의 ę는 '에'로 적는다.
'ㅈ', 'ㅊ'으로 표기되는 자음(c, z) 뒤의 이중 모음은 단모음으로 적는다.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1.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트', '티', '크'로 적는다.
2. 유성 자음 앞에서는 '브', '드', '디', '그'로 적는다.
3. 무성 자음 앞에서 b, g는 받침으로 적고, d, d'는 '트', '티'로 적는다.
1. v, w, z가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때에는 '프, 프, 스'로 적는다.
2. ř, ž가 유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르주', '주',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르슈', '슈', 어말에 올 때에는 '르시', '시'로 적는다.
3. š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어중의 l, lj가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 'ㄹ리'로 적는다.
m이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자음에 'ě'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k, p는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어중의 l, lj가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 ‘ㄹ리’로 적는다.
어두의 m이 l, r, n 앞에 오거나 어중의 m이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š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자음에 je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c, g는 e, i 앞에서는 각각 'ㅊ', 'ㅈ'으로, 그 밖의 모음 앞에서는 'ㅋ', 'ㄱ'으로 적는다.
n이 어말에서 m 뒤에 올 때는 '으'를 붙여 적는다.
e는 '에'로 적되, 인칭 대명사 및 동사 este, era 등의 어두 모음 e는 '예'로 적는다.
bb, cc, dd, ff, gg, ggy, kk, ll, lly, nn, nny, pp, rr, ss, ssz, tt, tty는 b, c, d, f, g, gy, k, l, ly, n, ny, p, r, s, sz, t, ty와 같이 적는다. 다만, 어중의 nn, nny와 모음 앞의 ll은 'ㄴㄴ', 'ㄴ니', 'ㄹㄹ'로 적는다.
s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자음에 ye 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1. b, g가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받침 'ㅂ, ㄱ'으로 적는다.
2. k, c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ㄱ, ㅂ, ㅅ'으로 적는다.
c는 'ㅋ'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1. 모음 앞의 g는 'ㄱ'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2. lg, rg의 g는 '이'로 적는다.
3. n 앞의 g는 'ㅇ'으로 적는다.
4. 무성 자음 앞의 g는 받침 'ㄱ'으로 적는다.
5.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k는 'ㅋ'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어두의 lj는 '이'로 적되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고, 어중의 lj는 'ㄹ리'로 적는다.
n은 어말에서 m 다음에 올 때 적지 않는다.
nk는 자음 t 앞에서는 'ㅇ'으로, 그 밖의 경우에는 'ㅇ크'로 적는다.
sk는 '스ㅋ'으로 적되 e, i, ä, y, ö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ö는 '외'로 적되 g, j, k, kj, lj, skj 다음에서는 '에'로 적고, 앞의 '이' 또는 '시'와 합쳐서 적는다. 다만, jö 앞에 그 밖의 자음이 올 때에는 j는 앞의 자음과 합쳐 적고, ö는 '에'로 적는다.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단, mm, nn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2. 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ㅂ, ㅅ'으로 적는다.
c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1. 모음 앞의 d는 'ㄷ'으로 적되, 장모음 뒤에서는 적지 않는다.
2. ld, nd의 d는 적지 않는다.
3. 장모음+rd의 d는 적지 않는다.
4. 단모음+rd의 d는 어말에서는 '드'로 적는다.
5. 장모음+d의 d는 적지 않는다.
6. 그 밖의 경우에는 '드'로 적는다.
※ 모음의 장단에 대해서는 노르웨이어의 발음을 보여 주는 사전을 참조하여야 한다.
1. 모음 앞의 g는 'ㄱ'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2. g는 이중 모음 뒤와 ig, lig에서는 적지 않는다.
k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sk는 '스ㅋ'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1. 어말 관사 et의 t는 적지 않는다.
2. 다만, 어말 관사 et에 s가 첨가되면 받침 'ㅅ'으로 적는다.
1. eg는 n, l 앞에서 '에이'로 적는다.
2. 그 밖의 경우에는 '에그'로 적는다.
ø는 '외'로 적되, g, j, k, kj, lj, skj 다음에서는 '에'로 적고 앞의 '이' 또는 '시'와 합쳐서 적는다. 다만, jø 앞에 그 밖의 자음이 올 때에는 j는 앞의 자음과 합쳐 적고 ø는 '에'로 적는다.
1. b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ㅂ'으로 적는다.
1. ds, dt, ld, nd, rd의 d는 적지 않는다.
2. 다만, ndr의 d는 '드'로 적는다.
3. 그 밖의 경우에는 '드'로 적는다.
1. 어미 ig의 g는 적지 않는다.
2. u와 l 사이의 g는 적지 않는다.
3. borg, berg의 g는 적지 않는다.
4.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1. 모음 앞의 v는 'ㅂ'으로 적되, 단모음 뒤에서는 '우'로 적는다.
2. lv의 v는 묵음일 때 적지 않는다.
3. av, æv, øv, ov, ev에서는 '우'로 적는다.
4. 그 밖의 경우에는 '브'로 적는다.
※ 묵음과 모음의 장단에 대해서는 덴마크어의 발음을 보여 주는 사전을 참조하여야 한다.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유음이나 비음 앞에 오는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sy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서 ‘샤, 셰, 시, 쇼, 슈' 등으로 적는다. 구철자 sh는 sy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인도네시아어의 구철자 dj와 tj는 신철자 j, c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인도네시아어의 구철자 j와 sj는 신철자 y, sy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인도네시아어의 구철자 bh와 dh는 신철자 b, d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인도네시아어의 구철자 ch는 신철자 kh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말레이시아어의 구철자 ch는 신철자 c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말레이시아어 철자법에 따라 표기한 gh, th는 각각 g, t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같은 자음이 겹쳐 나올 때에는 한 번만 적는다.
반모음 w는 뒤의 모음과 합쳐 ‘와', ‘웨' 등으로 적는다.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앞에 자음 k가 있으면 ‘콰', ‘퀘' 등으로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반모음 y는 뒤의 모음과 합쳐 ‘야', ‘예' 등으로 적으며 앞에 자음이 있을 경우에는 그 자음까지 합쳐 적는다. 다만 g나 k가 y 앞에 올 때에는 합쳐 적지 않고 뒤 모음과만 합쳐 적는다.
e는 [e]와 [ə] 두 가지로 소리 나므로 발음을 확인하여 [e]는 ‘에’로 [ə]는 ‘으’로 적는다. 다만, ye의 e가 [ə]일 때에는 ye를 ‘여’로 적는다.
같은 모음이 겹쳐 나올 때에는 한 번만 적는다.
인도네시아어의 구철자 중모음 표기 oe, ie는 신철자 u, i와 마찬가지로 ‘우, 이'로 적는다.
유음 앞에 오는 파열음은 ‘으'를 붙여 적는다.
모음 사이에서 l은 ‘ㄹㄹ'로, ll은 ‘ㄴㄹ'로 적는다.
같은 자음이 겹쳐 있을 때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pph-, -tth- 등 같은 계열의 자음이 겹쳐 나올 때에도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 -nn-의 경우에는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관용적 로마자 표기에서 c 대신 쓰이는 j는 c와 마찬가지로 적는다.
sr와 thr는 모음 앞에서 s와 마찬가지로 ‘ㅅ'으로 적는다.
반모음 y는 모음 사이, 또는 어두에 있을 때에는 뒤의 모음과 합쳐 ‘야, 예' 등으로 적으며, 자음과 모음 사이에 있을 때에는 앞의 자음과는 갈라 적고 뒤의 모음과는 합쳐 적는다.
반모음 w는 뒤의 모음과 합쳐 ‘와', ‘웨' 등으로 적는다. 자음 뒤에 w가 올 때에는 두 음절로 갈라 적되, 앞에 자음 k, kh가 있으면 ‘꽈', ‘콰', ‘꿰', ‘퀘' 등으로 한 음절로 붙여 적는다.
관용적 로마자 표기에서 사용되는 or는 ‘오'로 적고, oo는 ‘우'로, ee는 ‘이'로 적는다.
nh는 이어지는 모음과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받침 'ㄴ'으로 적되, 그 앞의 모음이 a인 경우에는 a와 합쳐 ‘아인'으로 적는다.
qu는 이어지는 모음이 a일 경우에는 합쳐서 ‘꽈'로 적는다.
y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서 한 음절로 적는다.
다만, 인명의 성과 이름은 별개의 단어로 보아 이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c, g는 a, o, u 앞에서는 각각 ‘ㅋ, ㄱ'으로 적고, e, i 앞에서는 ‘ㅅ, ㅈ'으로 적는다.
gu, qu는 a, o, u 앞에서는 각각 ‘구, 쿠'로 적고, e, i 앞에서는 ‘ㄱ, ㅋ'으로 적는다.
d, t는 'ㄷ, ㅌ'으로 적는다. 다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i 앞이나 어말 e 및 어말 -es 앞에서는 ‘ㅈ, ㅊ'으로 적는다.
어말의 -che는 ‘시'로 적는다.
1.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 앞에 오는 경우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2.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는다. 다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오는 경우에는 ‘우'로 적되, 어말에 -ul이 오는 경우에는 ‘울'로 적는다.
m, n은 각각 'ㅁ, ㄴ'으로 적고, 어말에서는 모두 받침 ‘ㅇ'으로 적는다. 어말 -ns의 n도 받침 ‘ㅇ'으로 적는다.
ng, nc, nq 연쇄에서 ‘g, c, q'가 ‘ㄱ'이나 ‘ㅋ'으로 표기되면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r는 어두나 n, l, s 뒤에 오는 경우에는 ‘ㅎ'으로 적고, 그 밖의 경우에는 ‘ㄹ, 르'로 적는다.
1. 어두나 모음 앞에서는 ‘ㅅ'으로 적고, 모음 사이에서는 ‘ㅈ'으로 적는다.
2. 무성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스'로 적고, 유성 자음 앞에서는 ‘즈'로 적는다.
sc와 xc는 e, i 앞에서 ‘ㅅ'으로 적는다. sç는 항상 ‘ㅅ'으로 적는다.
x는 ‘시'로 적되, 어두 e와 모음 사이에 오는 경우에는 ‘ㅈ'으로 적는다.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rr는 ‘ㅎ, 흐'로, ss는 ‘ㅅ, 스'로 적는다.
o는 ‘오'로 적되, 어말이나 -os의 o는 ‘우'로 적는다.
e는 ‘에'로 적되, 어두 무강세 음절에서는 ‘이'로 적는다. 어말에서는 ‘으'로 적되,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이'로 적는다.
1. p, b, m, f, v 다음에 오는 어말 -es는 ‘-에스'로 적는다.
2. 그 밖의 어말 -es는 ‘-으스'로 적는다. 다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이스'로 적는다.
무성 파열음 p, t, k는 자음 앞이나 어말에 올 경우에는 각각 받침 ‘ㅂ, ㅅ, ㄱ'으로 적는다. 다만, 앞 모음이 이중 모음이거나 장모음(같은 모음을 겹쳐 적는 경우)인 경우와 앞이나 뒤의 자음이 유음이나 비음인 경우에는 ‘프, 트, 크'로 적는다.
유성 파열음 b, d가 어말에 올 경우에는 각각 ‘프, 트'로 적고, 어중에 올 경우에는 앞이나 뒤의 자음이 유음이나 비음인 경우와 앞 모음이 이중 모음이거나 장모음(같은 모음을 겹쳐 적는 경우)인 경우에는 ‘브, 드'로 적는다. 그 외에는 모두 받침 ‘ㅂ, ㅅ'으로 적는다.
v가 어두에 올 경우에는 ‘ㅍ, 프'로 적고, 그 외에는 모두 ‘ㅂ, 브'로 적는다.
c는 차용어에 쓰이므로 해당 언어의 발음에 따라 ‘ㅋ'이나 ‘ㅅ'으로 적는다.
g, ch는 ‘ㅎ'으로 적되, 차용어의 경우에는 해당 언어의 발음에 따라 적는다.
-tie는 ‘시'로 적는다.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거나 모음이 따르지 않는 비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다만, 비음 뒤의 l은 모음 앞에 오더라도 ‘ㄹ'로 적는다.
k 앞에 오는 n은 받침 ‘ㅇ'으로 적는다.
e는 ‘에'로 적는다. 다만, 이 음절 이상에서 마지막 음절에 오는 e와 어말의 e는 모두 ‘어'로 적는다.
같은 모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ee는 ‘에이'로 적는다.
-ig는 ‘어흐'로 적는다.
-berg는 ‘베르흐'로 적는다.
over-는 ‘오버르'로 적는다.
모음 è, é, ê, ë는 ‘에'로 적고, ï는 ‘이'로 적는다.
파열음과 마찰음 f(ф)·v(в)는 무성 자음 앞에서는 앞 음절의 받침으로 적고,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는다.
z(з)와 zh(ж)는 유성 자음 앞에서는 ‘즈'로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각각 ‘스, 시'로 적는다.
지명의 -grad(град)와 -gorod(город)는 관용을 살려 각각 ‘-그라드', ‘-고로드'로 표기한다.
자음 앞의 -ds(дс)-는 ‘츠'로 적는다.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л)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l'(ль), m(м)이 어두 자음 앞에 오는 경우에는 각각 ‘리', ‘므'로 적는다.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다만, mm(мм), nn(нн)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