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 |
한글 맞춤법 |
본문>제3장>제2절>제6항 |
본문 |
띄어쓰기 수정: '소리나더라도' → '소리 나더라도' |
2017. 3. 28. |
|
자료실 목록으로 관련고시, 설명, 결정 근거로 구성됨.
개정 전 |
개정 후 |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소리나더라도 ‘ㄷ, ㅌ’으로 적는다. |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소리 나더라도 ‘ㄷ, ㅌ’으로 적는다. |
설명 |
규정문과 "표준국어대사전" 간 띄어쓰기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한글 맞춤법 제6항 규정문의 띄어쓰기를 수정함. '소리 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규정문을 띄어 쓰는 것으로 수정함. |
관련 고시 |
[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 |
|
163 |
한글 맞춤법 |
본문>제3장>제4절>제8항 |
본문 |
띄어쓰기 수정: '소리나는' → '소리 나는' |
2017. 3. 28. |
|
자료실 목록으로 관련고시, 설명, 결정 근거로 구성됨.
개정 전 |
개정 후 |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
설명 |
규정문과 "표준국어대사전" 간 띄어쓰기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한글 맞춤법 제8항 규정문의 띄어쓰기를 수정함. '소리 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규정문을 띄어 쓰는 것으로 수정함. |
관련 고시 |
[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 |
|
162 |
한글 맞춤법 |
본문>제3장>제4절>제9항 |
본문 |
띄어쓰기 수정: '소리나는' → '소리 나는' |
2017. 3. 28. |
|
자료실 목록으로 관련고시, 설명, 결정 근거로 구성됨.
개정 전 |
개정 후 |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 |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 |
설명 |
규정문과 "표준국어대사전" 간 띄어쓰기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한글 맞춤법 제9항 규정문의 띄어쓰기를 수정함. '소리 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규정문을 띄어 쓰는 것으로 수정함. |
관련 고시 |
[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 |
|
161 |
한글 맞춤법 |
본문>제3장>제5절>제11항 |
본문 |
띄어쓰기 수정, 용례 교체 |
2017. 3. 28. |
|
자료실 목록으로 관련고시, 설명, 결정 근거로 구성됨.
개정 전 |
개정 후 |
[붙임 3] 준말에서 본음으로 소리나는 것은 본음대로 적는다.
국련(국제연합)
대한교련(대한교육연합회) |
[붙임 3] 준말에서 본음으로 소리 나는 것은 본음대로 적는다.
국련(국제 연합)
한시련(한국 시각 장애인 연합회) |
설명 |
규정문과 "표준국어대사전" 간 띄어쓰기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한글 맞춤법 제11항 [붙임 3]의 띄어쓰기를 수정함. '소리 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규정문을 띄어 쓰는 것으로 수정함.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쓰는 것이 원칙임. 현재 규정문의 띄어쓰기는 원칙을 따르고 있으므로, 한글 맞춤법 제11항 [붙임 3]의 용례 '국제연합'을 '국제 연합'과 같이 띄어 쓰는 것으로 수정함.
'한글 맞춤법 제11항 [붙임 3]의 용례 중에서, "대한교련(대한교육연합회)"를 "한시련(한국 시각 장애인 연합회)"로 교체함. |
관련 고시 |
[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 |
|
160 |
한글 맞춤법 |
본문>제4장>제2절>제15항 |
본문 |
띄어쓰기 수정: '소리나는' → '소리 나는' |
2017. 3. 28. |
|
자료실 목록으로 관련고시, 설명, 결정 근거로 구성됨.
개정 전 |
개정 후 |
종결형에서 사용되는 어미 ‘-오’는 ‘요’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혀 ‘오’로 적는다. |
종결형에서 사용되는 어미 ‘-오’는 ‘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혀 ‘오’로 적는다. |
설명 |
규정문과 "표준국어대사전" 간 띄어쓰기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한글 맞춤법 제15항 [붙임 2]의 띄어쓰기를 수정함. '소리 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규정문을 띄어 쓰는 것으로 수정함. |
관련 고시 |
[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 |
|
159 |
한글 맞춤법 |
본문>제4장>제2절>제18항 |
본문 |
띄어쓰기 수정: '소리나는' → '소리 나는' |
2017. 3. 28. |
|
자료실 목록으로 관련고시, 설명, 결정 근거로 구성됨.
개정 전 |
개정 후 |
‘돕-, 곱-’과 같은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가 결합되어 ‘와’로 소리나는 것은 ‘-와’로 적는다.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
‘돕-, 곱-’과 같은 단음절 어간에 어미 ‘-아’가 결합되어 ‘와’로 소리 나는 것은 ‘-와’로 적는다. |
설명 |
규정문과 "표준국어대사전" 간 띄어쓰기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한글 맞춤법 제18항 '6.'의 띄어쓰기를 수정함. '소리 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규정문을 띄어 쓰는 것으로 수정함. |
관련 고시 |
[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 |
|
158 |
한글 맞춤법 |
본문>제4장>제3절>제19항 |
본문 |
용례 삭제: '만듦' |
2017. 3. 28. |
|
자료실 목록으로 관련고시, 설명, 결정 근거로 구성됨.
개정 전 |
개정 후 |
2.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
걸음 묶음 믿음 얼음 엮음 울음 웃음 졸음 죽음 앎 만듦 |
2.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
걸음 묶음 믿음 얼음 엮음 울음 웃음 졸음 죽음 앎 |
설명 |
한글 맞춤법 제19항의 "2.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에서, 동사의 명사형인 '만듦'은 파생 명사가 아니므로 부적절한 용례였음. 부적절한 용례 '만듦'을 삭제함. |
관련 고시 |
[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 |
|
157 |
한글 맞춤법 |
본문>제4장>제4절>제27항 |
본문 |
띄어쓰기 수정: '소리날 때에는' → '소리 날 때에는' |
2017. 3. 28. |
|
자료실 목록으로 관련고시, 설명, 결정 근거로 구성됨.
개정 전 |
개정 후 |
‘이[齒, 虱]’가 합성어나 이에 준하는 말에서 ‘니’ 또는 ‘리’로 소리날 때에는 ‘니’로 적는다. |
‘이[齒, 虱]’가 합성어나 이에 준하는 말에서 ‘니’ 또는 ‘리’로 소리 날 때에는 ‘니’로 적는다. |
설명 |
규정문과 "표준국어대사전" 간 띄어쓰기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한글 맞춤법 제27항 [붙임 3]의 띄어쓰기를 수정함. '소리 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규정문을 띄어 쓰는 것으로 수정함. |
관련 고시 |
[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 |
|
156 |
한글 맞춤법 |
본문>제4장>제4절>제28항 |
본문 |
용례 삭제: '부나비(불-나비)', '소나무(솔-나무)' |
2017. 3. 28. |
|
자료실 목록으로 관련고시, 설명, 결정 근거로 구성됨.
개정 전 |
개정 후 |
제28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
다달이(달-달이) 따님(딸-님) 마되(말-되) 마소(말-소) 무자위(물-자위) 바느질(바늘-질) 부삽(불-삽) 부손(불-손)
싸전(쌀-전) 여닫이(열-닫이) 우짖다(울-짖다) 화살(활-살) 부나비(불-나비) 소나무(솔-나무) |
제28항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는다.
다달이(달-달이) 따님(딸-님) 마되(말-되) 마소(말-소) 무자위(물-자위) 바느질(바늘-질) 부삽(불-삽) 부손(불-손)
싸전(쌀-전) 여닫이(열-닫이) 우짖다(울-짖다) 화살(활-살) |
설명 |
'불나비'와 '솔나무'는 전문 분야의 관행을 존중하여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으므로, ‘ㄹ’이 들어간 형태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조항에서 용례로 제시할 수 없음. 부적절한 용례인 '부나비(불-나비)'와 '소나무(솔-나무)'를 삭제함. |
관련 고시 |
[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 |
|
155 |
한글 맞춤법 |
본문>제4장>제4절>제30항 |
본문 |
띄어쓰기 수정: '순 우리말' → '순우리말' |
2017. 3. 28. |
|
자료실 목록으로 관련고시, 설명, 결정 근거로 구성됨.
개정 전 |
개정 후 |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
설명 |
'순우리말'이 <표준국어대사전>에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으므로, 한글 맞춤법 제30항 '1.'과 '2.'에서 '순 우리말'을 '순우리말'로 수정함. |
관련 고시 |
[시행 2017. 3. 28.]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2017. 3. 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