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사업 소개

국어 정보자원 중심지로 역할 강화

언어 현실 및 기술 산업 수요를 반영한 말뭉치 구축

  • 한국어 사용 현실을 반영하는 일상대화 등 언어 자료 구축, 지시문 기반 생성 데이터 등 고품질 말뭉치 구축
  • 한국어 학습 수요가 높으나 언어 자원이 희소한 언어와 한국어 번역을 대응시킨 병렬 말뭉치 구축
  • 말뭉치 디비(DB) 개선 및 말뭉치 활용 도구 개발

AI말평(인공지능의 언어 능력 평가체계) 운영 및 과제 개발

  • 인공지능 언어모델의 한국어 능력 평가 기준 마련 및 과제 개발
  • 인공지능 언어모델의 한국어 능력 평가 말뭉치 구축

용어 총괄 관리·보급 체계 구축

  • 분야별 용어 고품질 정비, 일치어 정보 구축, 분야 분류, 기관·단체별 용어 데이터베이스 통합 연계·이관
  • 한국 언어문화 온톨로지 구축, 용어 구축·보급 시스템 고도화, ‘온용어’ 개통·시범 운영

전산실 및 국어 정보자원 운영

  • 대표 누리집 운영, 기관 정보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전산장비 유지관리 및 정보보안 강화

정보성과 신뢰성을 갖춘 국어사전 편찬 및 운영

실증 자료에 기반하여 신뢰성을 높인 <국어 어원사전> 편찬

  • 신뢰성 있는 어원 정보 기술을 위한 어휘역사 자료 구축 및 국어 어원사전 집필·감수
  • 사전 원고 입력, 단계별 이력 관리, 집필 지원 도구 개발 등 안정적 사전 편찬을 위한 어원사전 편찬·관리 시스템 구축

규범성과 현실성이 강화된 사전으로 <표준국어대사전> 개편

  • 실용어휘 중심으로 표제어 정비 및 추가, 계열어 일관성 확보, 주요 어휘의 규범정보 추가, 현대적 용례 확충
  • 고유명사 등 표제어 정비, 신규 표제어 추가, 규범정보 추가, 형태적·의미적 계열관계 어휘 정보 일관성 검토, 무용례 표제어의 용례 추가 및 용례 현행화 자료 구축

정제된 대규모 언어지식을 통합한 <우리말샘> 운영

  • 신속·정확한 감수 체계 운영으로 <우리말샘>에 대한 국민 참여도 및 신뢰도 제고
  • DB로 구축된 <수정증보 조선어사전>, <큰사전>에 대한 검색 및 원문 자료 서비스 제공

국어정책 기반 기초 연구 및 조사

어문규범 정비 및 국어상담 운영

  • 언어 현실에 기반한 어문규범 관리 및 서비스 강화
  • 다양한 매체(전화, 누리집, 누리소통망)를 통하여 국어 상담을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언어생활 편의 증진

국어정책 기반 실태 조사 확대

  • 집단 간 상호 이해, 국어의 변화 방향 파악을 위해 연령, 성별, 지역, 계층 등 사회 변인에 따른 국어 사용 양상 조사
  • 지역 언어문화의 보존을 위해 지역 간 차이를 보이는 어휘·표현과 언어문화 양상 조사, 채록

국어 관련 자료 통합 관리 및 구축

  • 국어정책 수립 및 추진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국어 관련 각종 수치 자료 상시 조사, 정책 토론회 개최
  • 북한의 각종 어문정책 자료 전산자료화 입력·구축
  • 국내외 언어정책 관련 기관 및 단체와의 교류 추진, 동향 파악 등

국민의 국어능력 향상 지원 체계 강화

국어능력 향상 기반 마련을 위한 조사·연구

  • 진단 지표 체계화‧표준화, 글쓰기 채점 전문인력 양성, 글쓰기 원자료 및 채점 자료 수집, 글쓰기 시험 운영
  • 읽기, 문법·규범 영역 실태 조사 수행 및 쓰기 영역 조사도구 개발
  • 국어문화학교 강좌 개발 및 심화 교육과정 방안 수립

새로운 언어 환경에 대응한 교육과정 운영

  • 수요자 요구를 반영한 교육 운영
  • 융합과목 과정 신설 등 교육과정 다양화
  • 지역(기관·단체) 수요자 대상 교육 서비스 강화
  • 평생교육 측면에서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
  • 거점기관 등 연계, 대상별 교육프로그램 운영

한국어교육 내실화 및 한국어 교원 전문화

한국어교육 체계화 및 지식 기반 강화

  • 국내외 한국어 교재개발 자문·감수 지원을 통해 한국어 교재 품질 제고 및 민간 교재개발 활성화 도모
  • 현장 수요에 부합하는 대상별‧목적별 교재 개발‧활용 지원
  • 학습 정보 및 문화 어휘 추가를 통한 「한국어기초사전」의 학습사전적 성격 강화
  • 한국어교육의 과학화·체계화를 위한 2차 중장기 학습자 말뭉치 구축 및 운영, 활용 방안 강화

한국어교육 인적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및 제도 운영

  • ’24년 K-티처 프로그램 운영 및 홍보, 현지 맞춤형 콘텐츠 개발
  • 한국어교원 재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국내 현직 한국어교원 및 국외 연구자의 교수·지도 역량 강화
  • 전자문서 제출 심사 신청 도입‧자격증 전자증명서 발급 기능 개발 및 시범 도입 추진

공공언어 개선 기반 강화 및 통합 관리 체계 구축

공공언어 개선 기반 강화

  • 공공언어 감수, 어렵고 낯선 외래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알리는 등 공공기관의 쉽고 바른 공공언어 사용 지원
  • 수요자 맞춤형 및 매체별 콘텐츠 개발, 누리소통망 등 접근성 높은 매체로 보급하는 등 홍보 다각화 도모
  • 공공용어 번역 지원 및 용례 관리, 외래어·로마자 표기 용례 관리로 의사소통의 원활화 도모

공공언어 평가 등을 통한 감수 자료 통합 관리 체계 구축

  •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교육지자체, 공공기관 등 총 424개 기관 대상 본 평가 확대 실시
  • 대량의 공공언어 자료 평가 및 감수의 효율성, 일관성 증진을 위한 공문서 평가·감수 지원 체계 구축 및 활용
  • 공공언어 정비 자료 활용성 증대를 위한 공공언어 감수·평가 자료 축적·통합 관리 및 맞춤형 제공

수어ㆍ점자 소통 환경 개선 지원

특수언어 소통 기반 구축

  • 전문성 있는 한국수어교원 양성을 위한 개인 자격·양성기관 심사, 한국수어교육능력 검정시험 운영, 한국수어교원 1급 교육과정 시범 운영 및 교육자료 개발
  • 특수언어 정책 및 연구 기반으로 활용하기 위한 한국수어·점자의 사용 실태 조사
  • 점자규정 개정안의 보완 및 정비, 점자규정 개정 내용 안내 및 홍보, 점역·감수 지침 표준화를 위한 점역 지침 연구

특수언어 자료 구축 및 정보화

  • 농인-청인 간 상호 언어 학습을 위한 말뭉치 기반 한국수어-한국어 시범 개통 및 2단계 구축 돌입, 한국수어 사전 편찬위원회 운영, 시각언어인 수어의 특성을 반영한 수한사전 사용자 시스템 고도화
  • 농인의 언어문화 자원 보전 및 수어 연구 기반 조성을 위한 한국수어 말뭉치 구축 및 대국민 공개를 위한 정비
  • 한국수어·점자-한국어 자동 번역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병렬말뭉치 구축

기타 안내

국민의 올바른 언어생활을 위한 길잡이 국립국어원, 여러분 곁에 있습니다.

    기타안내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샘, 한국수어 사전, 한국어기초사전, 국립국어원 한국어-외국어 학습사전, 언어정보나눔터, 가나다전화, 계간지-새국어생활, 온라인 소식지 - 쉼표, 마침표, 공공언어 지원,국어문화학교, 한국어 교원자격 심사, 한국교수학습샘터)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
    한국수어 사전 https://sldict.korean.go.kr
    한국어기초사전 https://krdict.korean.go.kr
    공공언어 개선 지원 https://publang.korean.go.kr
    지역어 종합 정보 https://dialect.korean.go.kr
    국어문화학교 https://edu.korean.go.kr
    한국어교원자격심사 https://kteacher.korean.go.kr
    한국어교수학습샘터 https://kcenter.korean.go.kr
    언어 정보 나눔터 / 모두의 말뭉치 | AI 말평 | 온용어 https://kli.korean.go.kr
    국어전문도서관 https://lib.korean.go.kr
    점자 종합정보 누리집 https://korean.go.kr/braille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나눔터 https://kcorpus.korean.go.kr
    숫자로 살펴보는 우리말 https://korean.go.kr/poldata
    한국어 어문 규범 https://korean.go.kr/korno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