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재질문] 가운뎃점 사용 시 표현 방법

작성자 유순녀 등록일 2024. 9. 5. 조회수 68

법제처에서 제작한 "알기쉬운법령정비기준" p.112의 내용에 따르면 가운뎃점 사용 시 의미 단위로 묶어주도록 되어 있는데


1의 예시처럼 " 행 · 재정적"으로 사용해도 되는건지 다시 한번 답변 부탁드립니다.









==================================================================

질문자 : 유순녀                               등록일시 : 2024. 9. 4.

<p>"행정적, 재정적"을 가운뎃점을 사용하여 표현할 경우</p><p>
</p><p>1. 행 · 재정적</p><p>2.행정 · 재정적</p><p>3.행정적 · 재정적</p><p>
</p><p>3가지 표현 중 사용 가능한 표현이 어느 것인지 답변 부탁드립니다..</p>


==================================================================

답변자 :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시 : 2024. 9. 5.

<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안녕하십니까?</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 </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세 가지 표현이 모두 가능합니다. 아래에 가운뎃점의 쓰임을 첨부해 드리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 </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고맙습니다.</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 </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 </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가운뎃점</p><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 </p><div class="leftButton"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box-sizing: border-box; appearance: none; outline: 0px; word-break: break-all; font-size: 14px; color: rgb(85, 85, 85); position: absolute; display: inline-block; left: -58px; top: 4px; width: 50px; font-family: nanum, 나눔고딕, 돋움, dotum, tahoma, " sans-serif";="" letter-spacing:=""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line-height:="" 150%;"=""><div class="rel"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box-sizing: border-box; appearance: none; outline: 0px; word-break: break-all; position: relative; float: right; font-family: nanum, 나눔고딕, 돋움, dotum, tahoma, "></div></div><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p> (1)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쓴다.
<ul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box-sizing: border-box; appearance: none; outline: 0px; word-break: break-all; font-size: 14px; color: rgb(85, 85, 85); list-style: none; font-family: nanum, 나눔고딕, 돋움, dotum, tahoma, " sans-serif";="" letter-spacing:=""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li class="regltnMenu"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box-sizing: border-box; appearance: none; outline: 0px; word-break: break-all; list-style: none; font-family: nanum, 나눔고딕, 돋움, dotum, tahoma, ">

  • 민수·영희, 선미·준호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 지금의 경상남도·경상북도, 전라남도·전라북도, 충청남도·충청북도 지역을 예부터 삼남이라 일러 왔다.
해설

어구들을 낱낱으로 열거하지 않고 일정한 기준에 따라 묶어서 나타낼 때 묶음 사이에는 쉼표를, 같은 묶음에 속한 어구들 사이에는 가운뎃점을 쓴다.

  • (1) 시의 종류는 내용에 따라 서정시·서사시·극시, 형식에 따라 자유시·정형시·산문시로 나눌 수 있다.
</li><li class="regltnMenu"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box-sizing: border-box; appearance: none; outline: 0px; word-break: break-all; list-style: none; font-family: nanum, 나눔고딕, 돋움, dotum, tahoma, ">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쓴다.
  • 한(韓)·이(伊) 양국 간의 무역량이 늘고 있다.
  • 우리는 그 일의 참·거짓을 따질 겨를도 없었다.
  • 하천 수질의 조사·분석
  • 빨강·초록·파랑이 빛의 삼원색이다.

다만, 이때는 가운뎃점을 쓰지 않거나 쉼표를 쓸 수도 있다.

  • 한(韓) 이(伊) 양국 간의 무역량이 늘고 있다.
  • 우리는 그 일의 참 거짓을 따질 겨를도 없었다.
  • 하천 수질의 조사, 분석
  • 빨강, 초록, 파랑이 빛의 삼원색이다.
해설

짝을 이룬다는 것은 각각의 어구가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전체 집합의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는 뜻이다. 이렇게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는 가운뎃점을 쓰는 것이 원칙이다.

  • (2) 김 과장은 회의 자료를 수정·보완하여 제출하였다.
  • (3) 곤충의 몸은 머리·가슴·배로 구분할 수 있다.
  • (4) 우리나라의 바다에는 동해·서해·남해가 있다.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는 가운뎃점을 쓰지 않거나 쉼표를 쓸 수도 있다. 각 어구들을 하나의 단위로 뭉쳐서 나타내고자 할 때는 가운뎃점을 쓰고, 각 어구들을 낱낱으로 풀어서 열거하고자 할 때는 쉼표를 쓰거나 아무 부호도 쓰지 않을 수 있다. [‘제4항의 (1)’ 참조]

  • (5) 김 과장은 회의 자료를 수정, 보완하여/수정 보완하여 제출하였다.
  • (6) 곤충의 몸은 머리, 가슴, 배로/머리 가슴 배로 구분할 수 있다.
  • (7) 우리나라의 바다에는 동해, 서해, 남해가/동해 서해 남해가 있다.
</li><li class="regltnMenu" style="margin: 0px; padding: 0px; border: 0px; box-sizing: border-box; appearance: none; outline: 0px; word-break: break-all; list-style: none; font-family: nanum, 나눔고딕, 돋움, dotum, tahoma, ">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 상·중·하위권
  • 금·은·동메달
  • 통권 제54·55·56호

[붙임] 이때는 가운뎃점 대신 쉼표를 쓸 수 있다.

  • 상, 중, 하위권
  • 금, 은, 동메달
  • 통권 제54, 55, 56호
해설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에는 가운뎃점을 쓰는 것이 원칙이다.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에서 공통 성분은 ‘메달’이다. 이 부분을 반복하지 않고 줄여서 하나의 어절로 묶어서 나타낼 때는 ‘금··동메달’과 같이 가운뎃점을 쓰는 것이 원칙이고, ‘금, 은, 동메달’과 같이 쉼표를 쓰는 것도 가능하다.

  • (8) 이번 학력 평가는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서/초, 중, 고등학교에서 동시에 실시될 예정이다.
  • (9) 이번 독감 예방 주사는 모든 병·의원에서/병, 의원에서 맞을 수 있다.

공통 성분이 줄어서 하나의 어구로 묶인 말 중에는 단어로 굳어진 것이 있다. ‘검인정(검정+인정), 논밭일(논일+밭일), 민형사(민사+형사), 선후배(선배+후배), 직간접(직접+간접)’ 등과 같은 것들이다. 이처럼 한 단어로 굳어진 말에는 가운뎃점이나 쉼표를 쓰지 않는다.

  • (10) 검인정 교과서
  • (11) 우리 과는 선후배 사이의 관계가 돈독하다.

■ 가운뎃점의 띄어쓰기: 가운뎃점은 앞말과 뒷말에 붙여 쓴다.

</li></ul><p style="font-family: " noto="" sans="" cjk="" kr",="" "noto="" tc",="" "new="" gulim",="" sans-serif;="" font-size:="" 12pt;="" line-height:="" 150%;=""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 </p>

비밀번호

[답변]표기[덧붙임]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9. 9.

안녕하십니까?

가운뎃점은 공통 성분을 줄여 쓸 때 쓸 수 있습니다. '행정적'과 '재정적'의 '정적' 부분을 공통 부분으로 본다면 1번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덧붙임]

'행재정적'이 우리말샘에 한 단어로 올라 있으므로, 이는 가운뎃점 없이 쓸 수도 있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행재정-적(行財政的) [행재정적]
행재정-적 「001」 「관·명」 행정 및 재정과 관련된. 또는 그런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