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옛 시조는 지을때 부터 한글로 쓰여졌나요?

작성자 하홍수 등록일 2024. 6. 22. 조회수 10

저희가 배운 시조는 한글로 되어있었습니다.

그런데 고려후기부터 시조가  있었다고하는데(정몽주 단심가, 이방원 하여가 등) 어떻게 한글로 쓸수가 있죠?

한자로만 지어진 것을 그이후에 한글로 번역한것을 우리가 배운건가요?

시존 윤율을 배울때도 한글 개수로 배웠습니다. (예 3434 3434 3543)

감사합니다.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비밀번호

[답변]기타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6. 24.

안녕하십니까?

문의하신 내용은 온라인 가나다에서 답변해 드릴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납니다. 온라인 가나다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이나 우리말샘과 같은 사전의 풀이나,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과 같은 어문 규범에 대한 간단한 설명만 해 드릴 수 있습니다. 문의하신 것과 같은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기는 어려우니 이 점 널리 양해해 주시고, 관련 참고 서적이나 논문 등을 두루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다만 현재 전해지는 시조의 많은 부분은 한글 창제 이후 적힌 것이거나, 이전에 전해져 내려오던 시조를 한글로 옮겨 적은 것임을 참고해 보실 수는 있을 듯합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