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한데 와 한대

작성자 그리고 등록일 2024. 6. 20. 조회수 16

안녕하세요.

한데 와 한대 뭐가 맞는지 알려주세요


와 민식이형 버닝한데 가 맞나요

와 민식이형 버닝한대 가 맞나요


아님 둘 다 사용 가능한가요?

여기서 사용되는 버닝이라는 단어는

운동 같은 느낌입니다. 


그니까 대충

와 민식이형 운동한데

와 민식이형  운동한대 

이런 느낌입니다.


민식이형이 내일 운동하겠다는 글을 작성한 것을 보고

다른 사람에게 이 사실을 전하던 과정에서 서술한 글이에요.


그럼 한대가 맞는 건가요? 아님 둘 다 사용 가능한가요?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비밀번호

[답변]맞춤법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6. 21.

안녕하십니까?

제시하신 맥락은 '한다고 해'가 줄어든 것이므로 '한대'로 표기합니다. 아래에 어미 '-ㄴ'와 '-ㄴ데'의 쓰임을 첨부해 드리니 이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ㄴ
-ㄴ 「001」 「어미」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해할 자리에 쓰여, 주어진 사실에 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ㄴ 「002」 ‘-ㄴ다고 해’가 줄어든 말.



-ㄴ데
-ㄴ데 「001」 「어미」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 받침인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사오-’ 따위 뒤에 붙어))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하기 위하여 그 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ㄴ데 「002」 「어미」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 받침인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사오-’ 따위 뒤에 붙어))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일을 감탄하는 뜻을 넣어 서술함으로써 그에 한 청자의 반응을 기다리는 태도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ㄴ데 「003」 「어미」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 받침인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사오-’ 따위 뒤에 붙어))((의문사와 함께 쓰여))일정한 답을 요구하며 물어보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