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데, 대 궁금증

작성자 김세홍 등록일 2024. 6. 10. 조회수 25

언제 찍었데?

언제 찍었대?


뭐가 맞는 표현인가와와

대 데에 대한 명확한 차이 그리고 혼용은 언제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비밀번호

[답변]표기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6. 11.

안녕하십니까?

구체적인 맥락이 없어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놀라는 뜻이 있거나 '언제 찍었다고 해?'를 줄여 쓴 표현이라면 '언제 찍었대?'로 씁니다. 아래에 '-데'와 '-대'의 쓰임을 첨부해 드리니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 -데3
    • 「참고 어휘」
      -디

    「어미」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데.
    • 그 친구는 아들만 둘이데.
    • 고향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데.
    한 걸음 더
    ·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로 ‘-더라’와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데 비해, ‘-대’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인다.

  • -대17

    [Ⅰ] 「어미」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 왜 이렇게 일이 많대?
    • 신랑이 어쩜 이렇게 잘생겼대?
    • 입춘이 지났는데 왜 이렇게 춥대?

    [Ⅱ]

    ‘-다고 해’가 줄어든 말.

    • 사람이 아주 똑똑하대.
    • 철수도 오겠대?
    한 걸음 더
    ·
    ‘-대’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이고,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로 ‘-더라’와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데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