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얼굴에 있는 코에 어원과 코끼리의 경음화 이유가 궁금해요

작성자 박눈송 등록일 2024. 6. 6. 조회수 45

1. 신체 부위 '코'의 정확한 어원이 궁금해요!

2. 코끼리의 어원과 경음화 이유가 궁금해요!

비밀번호

[답변]코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6. 7.

안녕하십니까?

'코'와 '코끼리'의 어휘 역사 정보를 아래에 첨부해 드리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코'의 역사 정보

곻(15세기~17세기)>콯(16세기~19세기)/코(16세기~현재)

설명현대 국어 ‘코’의 옛말인 ‘곻’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이른바 ‘ㅎ종성체언’으로서 ‘곻/고’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16세기에는 어두 유기음화를 겪은 ‘코’ 형태가 등장하여 17세기까지는 ‘곻/고’와 ‘콯/코’의 두 형태가 공존하였다. 이미 16세기부터 ‘코와, 코’ 등의 예에서 보이듯이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코’ 형태가 쓰였는데, 19세기까지는 ‘콯’ 형태도 여전히 나타났다.

'코끼리'의 역사 정보

고키리(15세기~19세기)>코키리(17세기~19세기)>코끼리(20세기~현재)

설명현대 국어 ‘코끼리’의 옛말인 ‘고키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코”의 옛말인 명사 ‘곻’과 형용사 ‘길-’, 명사파생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17세기에 ‘곻’이 유기음화를 겪어 ‘코’가 되면서 ‘고키리’ 역시 ‘코키리’로 변화하였다. 현대 국어의 ‘코끼리’는 ‘코키리’의 두 번째 음절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뀐 것인데, 이는 근대국어 시기에 평음이나 유기음이 된소리가 되는 경향에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