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더'와 '더하다'

작성자 qkr 등록일 2024. 6. 6. 조회수 21

제가 '더'의 띄어 쓰기는 혹시 뒤에 '하다'가 따라오면 붙여 쓰는 것이고. 그 이외의 것이 뒤에 있으면 띄어 쓰는 게 맞나요? 아니면 다른 규칙이 더 있거나, 제 생각이 틀린 건가요?


예) '더 사랑하다.' '사랑을 더하다.' '사랑을 더해 준다.'

비밀번호

[답변]띄어쓰기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4. 6. 7.

안녕하십니까?

한 단어 '더하다'의 쓰임이라면 붙여 쓰고, 한 단어 '더하다'의 쓰임이 아니라면 '더'와 '하다'를 띄어 씁니다. 해당 어휘가 한 단어인지의 여부는 사전(https://opendict.korean.go.kr/main)을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에 한 단어 '더하다'의 쓰임을 첨부해 드리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더-하다

  • 발음
    [더하다국립국어원 발음 듣기]
  • 활용
    더하여[더하여국립국어원 발음 듣기](더해[더해국립국어원 발음 듣기]), 더하니[더하니국립국어원 발음 듣기]
  • 주표제어
    1

[Ⅰ] 「형용사」

【…보다】

어떤 기준보다 정도가 심하다.

  • 추위는 작년보다 올해가 더하다.
  • 너의 요구 조건은 악덕 채권업자보다 더하다.
  • 조세 부담은 작년보다 올해가 더하다.
「반대말」 덜하다

[Ⅱ] 「동사」

「1」 【…에 …을】【…을 (…과)】 ((‘…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여럿임을 뜻하는 말이 목적어로 온다)) 더 보태어 늘리거나 많게 하다.

  • 둘에 셋을 더하면 다섯이다.
  • 원액에 물을 더하여 만들었다.
  • 2만 원을 3만 원과 더하면 5만 원이다.

「2」 【…을】【…에/에게 …을】 어떤 요소가 더 있게 하다.

  • 동구 밖의 실버들이 푸른빛을 더하고 있다.
  • 어머님의 격려는 나의 자신감을 더해 주었다.
  • 그는 원장의 생각에 자기의 의견을 더하는 일이 없었다.

「3」 어떤 정도나 상태가 더 크거나 심하게 되다.

  • 병세가 점점 더하다.
  • 더위가 날이 갈수록 더한다.
  • 그들의 횡포가 점점 더한다.
이전글 어찌하다
다음글 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