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보도 자료 상세보기

‘코워킹 스페이스’는 ‘공유 업무 공간’으로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22. 2. 16. 조회수 4367
‘코워킹 스페이스’는 ‘공유 업무 공간’으로
- 국립국어원 새말모임 다듬은 말 마련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장소원, 이하 국어원)은 ‘코워킹 스페이스’를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공유 업무 공간’을 선정했다.

 

  ‘코워킹 스페이스’는 여러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작업하는 사람들이 모여 의견을 서로 공유하며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조성한 협업 공간을 이르는 말이다.

 

  문체부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국어원과 함께 외국어 새말 대체어 제공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지난 2월 3일(수)에 열린 새말모임*을 통해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의미의 적절성과 활용성 등을 다각으로 검토해 ‘코워킹 스페이스’의 대체어로 ‘공유 업무 공간’을 선정했다. 

   * 새말모임: 어려운 외래 용어가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다듬은 말을 제공하기 위해 국어 유관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

  이에 대해 문체부는 2월 4일(금)부터 2월 10일(목)까지 국민 2천여 명을 대상으로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8.8%가 ‘코워킹 스페이스’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것이 좋다고 응답했다. 또한 ‘코워킹 스페이스’를 ‘공유 업무 공간’으로 바꾸는 데 응답자의 88.9%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코워킹 스페이스’처럼 어려운 용어 때문에 국민이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공유 업무 공간’과 같이 쉬운 말로 발 빠르게 다듬고 있다. 선정된 말 외에도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다른 우리말 대체어가 있다면 사용할 수 있다. 앞으로도 문체부와 국어원은 정부 부처와 언론사가 주도적으로 쉬운 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계속 홍보할 계획이다.

<새말모임(1. 19./ 2.3.) 다듬은 말>

대상어(원어)

다듬은 말

의미

새말모임
개최일

임팩트 비즈니스

(impact business)

사회 가치 병행 사업

사회적 영향력을 만들어내는 동시에 경제적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사업.

1. 19.

제로 코로나

(zero corona)

고강도 방역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시 봉쇄 조치를 진행하는 등 강도 높은 규제로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는 정책. 주로 호주나 뉴질랜드, 중국 등에서 시행하고 있다.

1. 19.

세이프티 콜

(safety call)

작업 중지 요청

현장 근로자가 위험을 인지했을 때 즉시 작업 중지를 요청하는 것.

2. 3.

코워킹 스페이스

(coworking space)

공유 업무 공간

여러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작업하는 사람들이 모여 의견을 서로 공유하며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조성한 협업 공간.

2. 3.



※ (참고) 코로나19 관련 쉬운 우리말 대체어

어려운 외국어

쉬운 우리말 대체어

팬데믹

(감염병) 세계적 유행

에피데믹

(감염병) 유행

글로브 월

의료용 분리벽

언택트 서비스

비대면 서비스

엔데믹

(감염병) 주기적 유행

트윈데믹

감염병 동시 유행

풀링 검사

취합 (선별) 검사

윈도 스루 검진

투명창 검진

페이스 실드

얼굴 가림막

스니즈 가드

침방울 가림막

지표 환자

첫 확진자

엔(n)차 감염

연쇄 감염, 연속 감염

드라이브스루 진료

승차 진료, 승차 검진, 차량 이동형 진료(또는 검진)

비말

침방울

진단 키트

진단 도구(모음), 진단 (도구) 꾸러미

의사 환자

의심 환자

트래블 버블

비격리 여행 권역, 여행 안전 권역

코로나 블루

코로나 우울

코로나 레드

코로나 분노

코로나 블랙

코로나 절망

코로나 쇼크, 코로나19 쇼크

코로나 충격

부스터 숏, 부스터 샷

추가 접종

롱 코비드

코로나 감염 후유증

 

붙임  1. 다듬은 말 홍보 자료

        2. 2022년 새말모임 다듬은 말 목록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서기관 김철(☎ 044-203-2534)
또는 국립국어원 공공언어과 학예연구사 박주화(☎ 02-2669-9722),
연구원 안쥬리(☎ 02-2669-9653)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1 유형 조건에 따라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