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보도 자료 상세보기

2009년 제4회 언어 정책 토론회 후기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09. 9. 25. 조회수 507

2009년 제4회 언어 정책 토론회 후기


  국립국어원에서는 2009년 제4회 언어 정책 토론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였다. 


주제   표준어와 방언의 공존 
발표자   이익섭(서울대 명예교수)
일시   2009년 9월 24일(목요일) 10:30 ~ 12:00 
장소   국립국어원 2층 대회의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이익섭 서울대 명예교수(전 국립국어원장)가 방언 연구자에서 출발하여 표준어 전문가로 활동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표준어와 방언이 공존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방언학자였던 발표자가 처음 표준어와 인연을 맺은 것은 1983년 ‘한국어 표준어의 제문제’라는 논문을 집필하면서였다. 표준어와 관련된 글을 준비하면서 현행 맞춤법의 정당성이나 표준어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하나하나 찾기 시작한 것이 표준어 연구의 출발이었다.
  표준어 사정은 1936년 조선어학회의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에서 시작되었다. 해방 후 문교부에서 교과서 편찬과 관련하여 표준어 사정을 관할했지만 전문적으로 다룬 것은 아니었다. 1981년부터 1984년까지는 학술원에서 관장하기도 하였다. 표준어와 관련된 일을 하면서 생각했던 것은 한 국가의 표준어와 관련된 문제는 국가 차원에서 연구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당시 국어 정책을 담당하는 기구의 필요성이 사회적 공감대를 얻게 되어 1985년 국어연구소에서 이러한 일을 맡게 되었고 현재는 국립국어원으로 이어져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발표자가 관여했던 1988년의 표준어 규정은 현재의 관점에서 보면 보완해야 할 점이 적지 않다. 하지만 당시로서는 복수 표준어의 개념을 정립하고 방언 어휘 일부를 표준어에 편입하는 등 규정에 유연성을 도입한 것이 큰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표준어 사정 작업은 이러한 정신을 계승하여 규정이 경직되지 않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에서 표준어 교육의 영향으로 방언이 사라지고 있다고 하지만 이는 자연스러운 언어의 변화 과정으로 보아야 한다. 표준어와 방언은 기능이 다른 것일 뿐 배타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양립 가능한 방안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방언의 어휘를 표준어화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하지만 그 한계를 명확히 알고 엄격하게 접근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방언 어휘 중에 일부 의미만이 널리 사용될 때에는 특정 의미만을 표준어로 삼아야 한다. 이러한 점은 특히 국어사전을 편찬할 때 유의할 필요가 있다.
  국어사전이나 표준어 규정 등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방향은 언어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립국어원에서 편찬하는 표준국어대사전은 국민들이 편리하게 국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적인 입장에서 국민의 언어생활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2009년 제4회 언어 정책 토론회 사진  이익섭 서울대 명예교수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