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보도 자료 상세보기

어려운 외래 용어 ‘얼라이언스’ 대신 쉬운 우리말 ‘협력체’로 쓰세요

작성자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등록일 2025. 11. 4. 조회수 713

어려운 외래 용어 ‘얼라이언스’ 대신

쉬운 우리말 ‘협력체’로 쓰세요

- 국민 참여와 10월 국어심의회 거쳐 어려운 외래 용어 12개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 ‘액셀러레이팅’은 ‘창업 성장 지원’으로, ‘핸즈 온’은 ‘직접 체험(형)’으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이하 국어원)은 우리 사회에 퍼져 있는 외래 용어 12개를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로 다듬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2025년 10월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위 심의·의결을 거쳐 ‘얼라이언스’, ‘액셀러레이팅/액셀러레이터’, ‘핸즈 온’ 등의 외래 용어를 각각 ‘협력체’, ‘창업 성장 지원/창업 성장 지원 기관’, ‘직접 체험(형)’ 등으로 바꾸어 쓰기로 했다.

 

  다듬은 말의 후보안은 언론계, 학계, 청년(대학생) 등이 참여한 ‘새말모임’에서 마련되었으며, 이후 전국 15세 이상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한 국민 수용도 조사* 결과를 반영해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위에 상정했다.

  * 우리말 대체가 필요한 외국어 및 외국어 단어별 우리말 대체어 수용도 등 조사

 

  이번 조사에서 국민이 우리말로 바꿔 써야 한다고 가장 많이 선택한 외래 용어는 ‘얼라이언스’(75.5%)와 ‘액셀러레이팅/액셀러레이터’(75.5%)‘였다. ‘얼라이언스’는 단체 간 전략적 제휴 관계를 뜻하는 말로, 이를 ‘협력체’로 바꾸었으며, 갓 창업한 기업이나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에게 교육 등을 지원하는 ‘액셀러레이팅’과 ‘액셀러레이터’는 각각 ‘창업 성장 지원’과 ‘창업 성장 지원 기관’으로 다듬어 이해하기 쉽게 했다.

 

  이외에도 창업 및 직무 교육과 관련해 자주 쓰이는 ‘핸즈 온’과 ‘인큐베이팅/인큐베이터’ 등의 외래 용어도 쉬운 우리말로 다듬었다. 실제 체험을 통해 배우는 방식을 뜻하는 ‘핸즈 온’은 ‘직접 체험(형)’, 초기 창업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인큐베이팅’과 ‘인큐베이터’는 ‘창업 초기 지원’과 ‘창업 기반 지원’, ‘창업 초기 지원 기관’과 ‘창업 기반 지원 기관’으로 복수 대체어를 제시해 다양한 맥락에서 쓸 수 있도록 했다.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해야 할 외국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2025년 10월 우리말로 대신해야 할 외국어 - 바꾼말, 얼라이언스 75.5% - 협력체, 액셀러레이팅/액셀러레이터 75.5% -창업 성장 지원(기관), 핸즈 온 74.4% - 직접 체험(형), 인큐베이팅/인큐베이터 73.2% - 창업 초기 지원(기관)/창업 기반 지원(기관), 패스트 72.8% - 광고 기반 무료 영상, 히트플레이션 71.2% - 폭염 물가 상승, 미트업/*밋업 68.8% - 교류 모임/정보 모임, 트리거 65.7% - 기폭제, 원 헬스 65.7% - 통합 보건, 쇼케이스 52.3% - 첫 공개 행사, 그림의 숫자는 그 외국어를 우리말로 대신해야 한다고 평가 받은 비율입니다. 조사에 참여한 국민 중 75.5%는 왹구어인 '얼라이언스'를 우리말로 대신하는 것이 좋다고 답했습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앞으로도 쉬운 공공언어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국민 생활과 밀접하거나 공공성이 높은 낯선 외래 용어를 신속하게 우리말로 다듬고, 누리소통망(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국민에게 널리 알릴 계획이다.

 

붙임 2025년 10월 다듬은 말 목록

담당 부서

문화체육관광부

책임자

과장

최진

(044-203-2531)

 

국어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이윤영

(044-203-2534)

담당 부서

국립국어원

책임자

과장

황용주

(02-2669-9721)

 

공공언어과

담당자

연구사

박선

(02-2669-9738)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1 유형 조건에 따라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