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보도 자료 상세보기

국민이 뽑은 다듬은 말 1위 ‘비대면 서비스’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20. 12. 23. 조회수 20106
국민이 뽑은 다듬은 말 1위 '비대면 서비스'
- 2020년 국립국어원 '새말모임', 145개 용어 다듬어 -

  2020년 한 해 동안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 이하 국어원)이 선정한 다듬은 말 중 국민이 가장 적절하다고 평가한 말로 ‘비대면 서비스’가 꼽혔다. ‘비대면 서비스’는 사람과 사람이 직접 만나지 않고 이루어지는 서비스로, ‘언택트 서비스’를 알기 쉽게 대체한 말이다.

 

  올해 1월부터 문체부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국어원과 함께 새로 유입된 외국 용어를 대체할 다듬은 말을 제공해 왔다. 먼저 언론사 및 공공기관에서 배포한 기사와 보도 자료를 매일 검토해 새로 유입된 외국 용어를 발굴하고, 이들 중 공공성이 높은 외국 용어를 새말모임*에서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매주 발표했다. 1월부터 12월까지 다듬어진 말은 모두 145개다.

* 새말모임: 어려운 외국어 신어가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 대체어를 제공하기 위해 국어 전문가 외에 외국어, 교육, 홍보‧출판, 정보통신, 언론 등 다양한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로서,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진행됨.

 

  아울러 문체부와 국어원은 지난 일 년 동안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를 매주 실시해 국민 600여 명을 대상으로 외국 용어를 다듬을 필요가 있는지, 대체어가 적절한지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는 다듬은 말을 최종 선정하는 데 반영했다. 한 해간 다듬은 어려운 외국 용어 145개 중, 가장 많은 국민이 쉽게 바꾸어야 한다고 응답한 용어는 ‘메가 리전’(76.7%)이었다. ‘메가 리전’은 교통-물류 등 사회 기반 시설을 공유하고 경제・산업적 연계가 긴밀한 인구 1천만 명 이상의 도시 연결 권역을 뜻하는데, 문체부와 국어원은 이 용어를 ‘초거대 도시 연결권’으로 다듬어 발표했다. 이 외에도 응답자의 74% 이상이 ‘프롭테크(부동산 산업 분야에서 사용하는 정보산업기술)’와 ‘애자일 조직(부서 간의 경계를 허물고 필요에 맞게 소규모 팀을 구성해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 문화)’을 바꾸어야 할 외국 용어로 꼽았다. 이 용어들은 각각 ‘부동산 정보 기술’과 ‘탄력 조직’으로 다듬었다.

 

<2020년 다듬은 외국 용어 중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야 할 말> 1.메가 리전(mega region) 76.7% /2.프롭테크(proptech) 75.4% /3.애자일 조직(agile 組織)74.6% /4. 스니즈 가드(sneeze guard) 74.3% /5. 스윙보터(swing voter) 74.3% 
문화체육관광부(2020);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

<2020년 다듬은 외국 용어 중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야 할 말>

  또한 올해 선정한 다듬은 말의 적절성을 묻는 질문에 ‘비대면 서비스’(← 언택트 서비스)와 ‘새 기준, 새 일상’(← 뉴 노멀), ‘긴 영상, 긴 형식’(← 롱 폼)이 각각 99.4%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언택트 서비스’의 다듬은 말인 ‘비대면 서비스’는 ‘비대면 소비’, ‘비대면 방식’, ‘비대면 채용’처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2020년 다듬은 말 중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은 말> 원어: 언택트 서비스(untact service), 다듬은 말: 비대면 서비스 99.4%/ 원어: 뉴 노멀(new normal), 다듬은 말: 새 기준, 새 일상 99.4%/ 원어: 롱폼(long-form), 다듬은 말: 긴 영상, 긴 형식 99.4%/ 원어: 소프트 파워(soft power), 다듬은 말: 문화적 영향력 99.1%/ 원어: 로컬 페어 트레이드(local fair trade), 다듬은 말: 지역형 공정 무역 98.9%
문화체육관광부(2020),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

<2020년 다듬은 말 중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은 말>

 

  한편 2020년 새말모임에서 다룬 외국 용어의 분야를 정리한 결과, ‘단건 집중 회의’(← 원포인트 회의), ‘동물 수집꾼’(← 애니멀 호더)과 같은 사회일반 분야의 용어(29건)를 가장 많이 다듬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일반 분야 용어에는 사회학과 관련된 용어, 사회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 사회 여러 분야에 두루 걸치는 용어가 포함된다. 또한 ‘1인 경제’(← 1코노미), ‘공황 매도’(← 패닉 셀링)와 같은 경제 분야 용어는 16건, 정보통신 분야와 보건 분야 용어는 각각 13건을 다듬어 사회일반 분야의 뒤를 이었다.

<2020년 다듬은 외국 용어의 분야별 분포> 사회 일반 29개, 경제 16개, 정보통신 13개, 보건 일반 13개, 서비스업 12개 문화체육관광부(2020),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

<2020년 다듬은 외국 용어의 분야별 분포>

 

  어려운 외국 용어를 이해하기 쉬운 말로 바꾸려는 정부의 노력에 대해 응답자들은 부정적 평가보다 긍정적 평가를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에서도 다듬은 말 사용에 함께했는데 54개 언론매체를 대상으로 언론에서 많이 사용한 다듬은 말을 조사**(’20. 1. 1.~‘20. 12. 7.)한 결과, ‘첫 확진자’(← 지표 환자, 보건 분야), ‘비접촉’(← 태그리스, 정보통신 분야), 비대면 서비스(← 언택트 서비스, 정보통신 분야) 순으로 사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 자료 출처: 빅카인즈(www.bigkinds.or.kr/ 뉴스분석서비스)

<2020년 외국 용어를 쉬운 말로 바꾸려는 정부의 노력에 대한 평가> [단위%] 긍정평가>부정평가
/7월 넷째 주: 긍정평가(33.7)>부정평가(23.8)/8월 첫째 주: 긍정평가(44.1)>부정평가(19.8)/8월 첫째 주: 긍정평가(44.1)>부정평가(19.8)/8월 둘째 주: 긍정평가(39.0)>부정평가(19.8)/8월 셋째 주: 긍정평가(33.3)>부정평가(17.6)/8월 넷째 주: 긍정평가(34.1)>부정평가(19.1)/8월 다섯째 주: 긍정평가(35.5)>부정평가(24.4)/9월 첫째 주: 긍정평가(36.4)>부정평가(21.7)/9월 둘째 주: 긍정평가(38.0)>부정평가(18.8)/9월 셋째 주: 긍정평가(34.5)>부정평가(27.2)/10월 첫째 주: 긍정평가(35.5)>부정평가(23.1)/10월 둘째 주: 긍정평가(32.2)>부정평가(27.0)/10월 셋째 주: 긍정평가(29.4)>부정평가(27.2)/10월 넷째 주: 긍정평가(35.4)>부정평가(23.9)/11월 첫째 주: 긍정평가(33.7)>부정평가(25.1)/11월 둘째 주: 긍정평가(36.3)>부정평가(21.2)/11월 셋째 주: 긍정평가(29.5)>부정평가(26.7)/11월 넷째 주: 긍정평가(36.2)>부정평가(21.6)/11월 다섯째 주: 긍정평가(35.0)>부정평가(23.4)/12월 첫째 주: 긍정평가(34.0)>부정평가(24.0)
문화체육관광부(2020),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

<2020년 외국 용어를 쉬운 말로 바꾸려는 정부의 노력에 대한 평가>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은 새말모임을 거쳐 선정된 다듬은 말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다른 대체어가 있다면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사회 전반에서 적극적으로 알기 쉬운 말을 사용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특히 다듬은 말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확산하고자 12월 24일(목)부터 31일(목)까지 문체부 누리소통망(www.facebook.com/mcstkorea)에서 낱말 찾기 방식으로 ‘이런 다듬은 말 어때?’라는 홍보 행사도 진행한다.

 

  2021년에는 분야별 용어 분포를 파악하고 ‘새말모임’을 더욱 체계적으로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 대상을 1,000명으로 늘려 국민과의 소통을 토대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다듬은 말을 마련할 계획이다.

 

붙임 2020년 새말모임 선정, 다듬은 말 목록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사무관 김철(☎ 044-203-2534)
또는 국립국어원 공공언어과 학예연구사 박주화(☎ 02-2669-9722),
연구원 김나영(☎ 02-2669-9683)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1 유형 조건에 따라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