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 및 방송 자료 상세보기
국립국어원 '국민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계 개발' 사업을 소개합니다.
■ 제목: 국립국어원 '국민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계 개발' 사업을 소개합니다.
■ 분량: 3분 20초
국민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계 개발
----------------------------------------------------
우리는 매일 많은 양의 글을 씁니다.
디지털화된 세상 덕분에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글을 씁니다.
글은 많이 써봤는데...
논리적인 글쓰기는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객관적이고 타당한 근거로 나의 생각을 체계적으로 써야하는 논리적인 글쓰기는 나를 평가하고 증명하는 다양한 기준이 되기에 여전히 힘들고 여전히 어렵기만 합니다.
이제, 국민 누구나 논리적인 글쓰기를 쉽게 할 수 있도록 국립국어원이 '국민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계 개발'을 시작합니다!
----------------------------------------------------
국어능력 실태조사 결과
영역별 평균 점수(출처-2018, 국립국어원)
말하기 60점, 듣기 65점, 읽기 66점, 쓰기 49점
----------------------------------------------------
국립국어원에서 실시한 국민의 국어능력 실태조사에 의하면 우리 국민의 쓰기 능력은 현저히 낮게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논리적인 글쓰기 능력은 성인이 사회생활을 할 때 학업과 직무 상황에서 매일 나를 증명하는 핵심 역량으로 대학생과 직장인 모두 글쓰기 능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습니다.
----------------------------------------------------
논리적 글쓰기 능력의 중요성 인식
인공지능 활용 국어능력 진단체계 개발 기초 연구(출처-2022, 국립국어원)
< 대학생 >
학업을 위한 기초적 글쓰기 능력
- 매우 그러하다 71%
- 그러하다 25%
- 보통이다 3%
- 그렇지 않다 0%
- 전혀 그렇지 않다 0%
학업을 위한 높은 수준의 글쓰기 능력
- 매우 그렇다 52%
- 그러하다 32%
- 보통이다 13%
- 그렇지 않다 2%
- 전혀 그렇지 않다 0%
< 직장인 >
업무를 위한 기초적 글쓰기 능력
- 매우 그러하다 62%
- 그러하다 32%
- 보통이다 4%
- 그렇지 않다 3%
- 전혀 그렇지 않다 0%
업무를 위한 높은 수준의 글쓰기 능력
- 매우 그렇다 39%
- 그러하다 37%
- 보통이다 15%
- 그렇지 않다 8%
- 전혀 그렇지 않다 0%
----------------------------------------------------
미국 하버드대 졸업생들도 학교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 수업을 글쓰기로 꼽을 만큼 자신을 생각을 논리적인 글로 표현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
Q. 하버드에 다니면서 어떤 수업이 가장 도움이 되었나요?
"그건 바로, 글쓰기 수업입니다." / 하버드 졸업생 40대 1600명 중 90% 응답
----------------------------------------------------
따라서 이제 우리도 국민의 글쓰기 능력을 진단하고 향상시키는 체계적인 국가 시스템을 통해 국민의 글쓰기 능력 개발이 필요합니다.
----------------------------------------------------
글쓰기 능력 진단 체계
- 공신력 있는 글쓰기 진단 지표 개발
- 자동 채점을 위한 글쓰기 자료 수집
- 전문성을 갖춘 채점 인력 양성
- 고품질 대규모 글쓰기 진단 체계 운영
국민의 글쓰기 능력을 진단하고 향상시키는 국민의 글쓰기 능력 개발이 필요합니다.
----------------------------------------------------
국립국어원은 국민의 글쓰기 능력 개발 사업의 첫걸음으로 9개 대학과 함께 글쓰기 자료를 수집합니다. 수집하는 글쓰기 자료는 국립국어원이 제공한 문제에 대한 쟁점 제시형 글쓰기로 1000자 내외의 논증적 글을 써서 제출하시면 됩니다.
----------------------------------------------------
인천대학교, 충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전남대학교, 서울대학교, 충북대학교, 부산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제주대학교
----------------------------------------------------
2023 글쓰기 자료 수집 참여 내용
- 국립국어원 <국민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계 개발> -
문제 유형: 쟁점 제시형 자료(국립국어원 문제 제공)
수집 자료: 논증적 글쓰기 1000자 내외 분량
----------------------------------------------------
글쓰기 자료와 함께 저작권 이용 허락 동의서를 제출하신 분께는 2만원 상당의 기프티콘을 제공합니다.
----------------------------------------------------
여러분이 제공한 글쓰기 자료들이 이렇게 활용됩니다!
- 체계적인 글쓰기 교육
- 기관/기업체 인재선발
- 자동 채점 글쓰기 평가
- 글쓰기 능력 자가 진단
----------------------------------------------------
여러분들이 제공한 글쓰기 자료는 4차 사업 시대에 발맞춰 글쓰기를 평가하고 가르치는 인공지능 개발에 초석이 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누구나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누구나 쉽게 자신의 글쓰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국립국어원에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계 개발. 개인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돕고 인재 채용과 4차 산업 시대 글쓰기 교육의 밑거름이 됩니다. 어려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