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홍보 및 방송 자료 상세보기

K-티처 프로그램 홍보 영상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24. 10. 10. 조회수 218


■ 제목: K-티처 프로그램 홍보 영상

■ 분량: 3분 20초

한국어교육을 위한 든든한 길잡이 K-티처
----------------------------------------------------
K-Culture
#한국문화 #한옥 #한복 #한식 #K-pop
----------------------------------------------------
Korean Language
#한글 #한국어 #Hangeul #Korean Language
----------------------------------------------------
자료 제공: 국립한글박물관
----------------------------------------------------
K-티처
한국어교육을 위한 든든한 길잡이
개요/이미지/강의 자료/과정 안내
----------------------------------------------------
K-티처
한국어교육을 위한 든든한 길잡이
----------------------------------------------------
국립국어원 K-티처 홍보 대사, 다니엘 린데만

여러분, 혹시 지금 한국어를 가르치고 계시나요?
아니면 한국어를 가르치고 싶으신가요?
한국어교육에 대해 더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나요?
이제 한국에 가지 않아도 어느 곳에서든
한국어 교육 현장에 유용한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K-티처 프로그램이 있으니까요.
----------------------------------------------------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하는 분들이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어 선생님이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은
해외에서도 한국어 선생님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K-티처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K-티처 포그램의 목표는 해외에서 활동하는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있습니다.
----------------------------------------------------
교육 과정(130차시)
- 이론 과목 100차시
- 실습 과목 30차시
----------------------------------------------------
한국어 선생님이 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이론 과목과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실습 과목까지
한국어교육의 체계를 이해하고
이것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강의를 제공합니다.
그럼, 누가 K-티처 프로그램을 들을 수 있을까요?
----------------------------------------------------
수강 대상
- 국외 대학 한국(어)학, 한국어교육학 관련 전공
- 국외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활동 중인 교원
----------------------------------------------------
외국에 살면서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한 학생
외국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라면 가능합니다.
또한, K-티처 프로그램은 해외에 있는 누구나 편리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제공됩니다.
더 반가운 소식은 이 모든 교육 과정이 무상으로 제공된다는 것이죠.
그리고 프로그램을 이수한 모든 사람에게는
국립국어원장 명의의 이수증과 오픈배지가 주어집니다.
K-티처 프로그램, 어떠신가요?
언제 어디서든, 한국어교육을 위한 든든한 길잡이 K-티처 프로그램
이제 K-티처 프로그램과 함께
한국어 선생님에 한 단계 더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전 세계 모든 곳에서 한국어 선생님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시작
국립국어원의 K-티처 프로그램과 함께하세요.
외국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한국에서 공부하고 싶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한국에서 일하고 싶은 사람들을 가르치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알리는
우리는 모두 'K-티처'입니다.
세계를 무대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K-티처
미래의 K-티처는 바로 당신입니다.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