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홍보 및 방송 자료 상세보기

국립국어원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를 소개합니다!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24. 10. 10. 조회수 284


■ 제목: 국립국어원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를 소개합니다!

■ 분량: 4분 6초

국립국어원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를 소개합니다.
인공지능의 발달을 통해 언어를 이해하고 번역하는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이미 우리 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는
일상에서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한국어를 수집하고, 이 자료를 한국수어로 번역한 영상으로 만들어
컴퓨터가 이해하도록 가공된 자료를 말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료는
한국어와 한국수어 간의 인공지능 번역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그럼, 이제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볼까요?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는
한국어와 한국수어 영상, 수어 정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들이 생활하는 일상 속 다양한 분야에서 수집된 한국어는
농인이 실제 사용하는 한국수어로 번역되어 수어 영상으로 제작됩니다.
제작된 수어 영상은
의미 정보, 타입 정보, 비수지 정보를 입력하여 데이터로 가공하고
단계별로 가공된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한국어, 한국수어, 수어 정보가 포함된 병렬 말뭉치가 됩니다.
----------------------------------------------------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는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요?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는 기계번역 개발, 자연어 처리 연구 등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입니다.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는 인공지능 기술을 보유한 전문 기업이나 연구기관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될 수 있습니다.
----------------------------------------------------
청각장애인이 수어통역사 없이 관공서나 은행, 병원 등에서 업무들을 볼 수 있게끔
수어통역 지원 무인 단말기(키오스크)를 개발할 수 있고
음성이나 문자를 실시간으로 수어로 번역해주는
수어 번역 메신저, 자동 수어 자막 서비스, 웹사이트 수어 번역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공지능 번역 기술은 농인과 청인 사이의 의사소통의 장벽을 허물고
청각장애인이 더 원활하고 편리하게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청각장애인의 언어권과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는 데 크게 이바지할 것입니다.
----------------------------------------------------
저는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를 학습해서 만들어진 수어 아바타예요.
더 많은 자료를 학습하고 똑똑해져서 농인과 청인의 의사소통을 돕는 수어 아바타가 되고 싶어요.
앞으로 한국어-한국수어 병렬 말뭉치를 많이 활용해주세요.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