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
사전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정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논저 목록
사전학  논저 목록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1. 전국 대학 국어 관련 학과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언어학
-한국어교육학
2. 국어 관련 학회 및 단체
  III.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어휘론 · 의미론
<단행본>

구현정·전정미, 『화법의 이론과 실제』, 박이정 
국립국어원, 『한국어 어휘 의미망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연구 책임자: 옥철영),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한국어 어휘의미망 구축과 사전 편찬 학술회의』, (연구 책임자: 김한샘),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편, 『사전에 없는 말 신조어』, 태학사 
국립국어원·MBC, 『구어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 (연구 책임자: 강재형·신지영·정희창), 국립국어원·MBC 
김경원·김철호, 『국어 실력이 밥 먹여준다: 글이 좋아지고 생각이 깊어지는 한국어 연습장, 2: 낱말편』, 유토피아 
김상규, 『우리말에 빠지다』, 젠북 
김승곤, 『관형격조사 ‘의’의 통어적 의미 분석』, 경진문화사 
김용진, 『사회언어학적 코퍼스 분석의 실제』, 올린책상 
김진식, 『현대국어의미론연구』, 박이정 
김하수 외, 『(한국어교육을 위한)한국어 연어사전』, 커뮤니케이션북스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논항 구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남지순, 『한국어 형용사 어휘문법』, 한국문화사 
박문자, 『한국어 교육 문법과 의존 구성 연구』, 박이정 
박영수, 『(유래를 알면 헷갈리지 않는)우리말 뉘앙스 사전』, 북로드 
박영순, 『한국어 화용론』, 박이정 
상생화용연구소, 『여보, 내 말에 상처받았어?』, 커뮤니케이션북스 
솔재 최기호 박사 정년퇴임기념 논총간행위원회 엮음, 『한국어의 역사와 문화: 솔재 최기호 박사 정년퇴임 기념 논총』, 박이정 
송철의 외·서울대학교 출판부 편, 『일제 식민지 시기의 어휘: 어휘를 통해 본 문물의 수용 양상』, 서울대학교 출판부 
송현정, 『호응관계연구』, 한국학술정보 
신중진, 『개화기국어의 명사 어휘 연구』, 태학사 
안귀남, 『경북 방언의 연구』, 민속원 
오창명, 『제주도 오롬 이름의 종합적 연구』, 제주대학교출판부 
이기원,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 한국문화사 
이동화, 『국어방언학의 이해』, 문창사 
이민규, 『풀은 색이 푸른색이다』, 창문각 
임홍빈,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주제 개념의 새로운 전개』, 서울대학교 출판부 
장소원 외, 『방송화법』, 커뮤니케이션북스 
장승욱, 『사랑한다 우리말: 한국 사람이라면 꼭 알아둬야 할 쓸모 있는 토박이말 205가지』, 하늘연못 
장하늘, 『표기법소사전: 월점치기·그래도 틀리는 맞춤법들·띄어쓰기·외래어 표기법』, 문장연구사 
전수태, 『21세기의 한국어 연구: 조상의 지혜가 낳은 민족의 문화유산』, 대한교육문화신문출판부 
조성문, 『재미있는 성문국어, 1: 몸』, 제이앤씨 
조재수 편찬, 『남북한말 비교 사전: 남북한 중국·중앙아시아에서 3만 어휘를 가려 모은 겨레말 사전』, 한겨레출판 
천소영, 『우리말의 문화찾기: 고유어 어원에 담긴 한국문화』, 한국문화사 
최인호 엮음, 『바른 말글 사전: 그릇 쓰는 말 바로 잡은 우리말 3만』, 한겨레출판 
최현섭 외, 『상생화용, 새로운 의사소통 탐구』, 커뮤니케이션북스 
황경수, 『한국어 구조의 이해』, 청운 

<학위 논문>

강성애, <한중 외래어 대조 연구>, 부산외국어대 통역번역대학원(석사)
강지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경계열 학문용 기본어휘 선정>,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석사)
고기정, <낱말 형성법을 통한 고유어 어휘 지도 방안: 7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기영학, <텍스트에서 부사어의 기능과 지도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 교육대학원(석사)
김문기, <한국어 매인풀이씨 연구>, 부산대 대학원(박사)
김보미, <한․중 인체어휘의 의미 확장 비교 연구>, 제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선영, <국어 감정 어휘의 인지 실태와 국어교육적 활용 방안>, 창원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신회, <우리말 문장의 의미부-통사부 대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석사)
김애연, <텍스트 의미 구조 분석을 통한 학생들의 생활문 양상 분석>, 한국교원대 대학원(석사)
김윤진, <개화기 국어 교과서의 어휘․표기법 연구: 『녀자독본』을 중심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김은주, <주제부를 이루는 관형어의 텍스트 응집 기능 연구: 초등학교 교과서 설명문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 교육대학원(석사)
김혜경, <사전정의문의 중심어를 이용한 동사 어휘의미망의 구축 및 활용평가>, 부산대 대학원(박사)
김혜령, <현대 국어 고유어 접사의 의미 연구>, 고려대 대학원(석사)
마서, <한·중 신체어 소재 관용표현 대조 연구>, 전남대 대학원(석사)
무로야 마사후미, <한국어와 일본어의 신체어휘 관용구 대비 연구>, 고려대 대학원(석사)
뭉흐졸,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호칭어 연구>, 경희대 대학원(석사)
박만자, <국어 관용구 연구>, 창원대 대학원(석사)
박승원, <『순천 김씨 언간』의 텍스트성 연구>, 가톨릭대 대학원(박사)
박유경, <한국어 비례 양화사 유동의 의미 특성 연구>, 서울대 대학원(석사)
박은정,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겠-’ 연구>, 대구대 대학원(석사)
박일섭, <혼잣말의 특성에 대한 연구>, 부산대 대학원(석사)
박정수, <대전 서남부 진잠동 지명어 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정순, <비언어적 표현 연구>, 금오공과대 교육대학원(석사)
박지원, <조사 ‘가’의 필수적 실현 환경과 비실현 환경>,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배수자, <현대국어 보조용언 연구>, 창원대 대학원(박사)
변영수, <[이동 방식] 선행어근과 결합한 ‘오르다’류 합성동사의 의미 확장 연구>, 건국대 대학원(박사)
손순자, <산청군 시천면 땅이름 연구>, 진주교육대 교육대학원(석사)
손유리, <현대 국어 동음어의 설정기준에 대한 고찰: 용언을 중심으로>, 전남대 대학원(석사)
손정, <한국어 ‘가다’의 중국어 대응 형식에 대한 연구>, 연세대 대학원(석사)
손진희, <홍천군 지명에 대한 형태론적 연구>, 강원대 대학원(석사)
송민규, <가상공간의 신어 연구>, 고려대 대학원(박사)
송영경, <국어 형용사의 의미 확장 연구>, 영남대 교육대학원(석사)
송하일, <성차이어와 성차별어에 관한 고찰: 성별어에 관한 탐구학습을 중심으로>, 아주대 교육대학원(석사)
송혜정, <한국어 외래어의 의미 변이 연구: 일상생활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심재광, <신어의 조어론적 특징과 생산 방법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안인숙, <의성어와 의태어 연구>, 중앙대 대학원(박사)
안정아, <현대 국어 의존 명사의 의미 연구>, 고려대 대학원(박사)
양건승, <자기소개서 텍스트의 수사학적 분석과 한국어교육 적용 연구>, 경희대 대학원(석사)
양경숙, <한국 수화의 부정 표현 연구>, 부경대 대학원(석사)
양영하, <한국어 대화의 순서교대 양상 연구: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상명대 대학원(박사)
양은모, <한·일 어휘 비교 연구: 신조어 및 유행어를 중심으로>, 세종대 대학원(석사)
梁欣, <한국어와 중국어의 호칭어에 대한 대조 연구: 비친족 호칭어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대학원(석사)
염준, <전치사 ‘在’와 조사 ‘에서, 에’의 대응 연구: 처소 의미를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석사)
汪夢覺, <한·중 속담 비교연구>, 부산외국어대 대학원(석사)
왕수위, <한국어 단위 명사와 중국어 양사의 대비 연구>, 신라대 대학원(석사)
왕월비, <한·중 의성어·의태어의 대비연구>, 충남대 대학원(석사)
윤연중, <행정 중심 복합도시 주변 간판어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윤영순, <한·일 양국의 세대별 친자호칭에 관한 연구: 혼인 및 출산의 변화요인을 중심으로>, 건국대 대학원(석사)
윤흥식, <논산지역의 마을이름 연구>, 건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이덕희, <근대 국어 물명 어휘집 연구: 사전적 분류와 어휘 체계를 중심으로>, 부경대 대학원(박사)
이상애, <재일 조선학교 초급부 국어 교과서의 어휘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이승연,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학습자 말뭉치의 구축과 활용 연구>, 고려대 대학원(박사)
이용구, <사전 정보를 이용한 단어 중의성 해소 모형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 대학원(박사)
이우정,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요청관련 담화표지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재엽, <광고 언어의 비판적 읽기 방법 연구: 광고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정선, <여성 지칭어 연구>, 충북대 교육대학원(석사)
이주나, <「소년」지의 문체적 특성과 어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석사)
林麗, <한국어 관용어의 범주 설정과 유형 분류에 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석사)
임채훈, <국어 문장 의미 연구: 사건과 발화상황을 중심으로>, 경희대 대학원(박사)
장충덕, <국어 식물 어휘의 통시적 연구>, 충북대 대학원(박사)
장혜연, <신어의 조어 방식과 특성>, 한양대 교육대학원(석사)
장효우, <한·중 “의도표현”의 대조 연구>, 신라대 대학원(석사)
정기옥, <국어과 매체 텍스트의 비판적 분석을 통한 차기 교과서 개발 방향: 광고 텍스트를 중심으로>, 신라대 교육대학원(석사)
정민녀, <한국어와 중국어의 색채어 비교 연구: 오색의 문화적 상징의미를 중심으로>, 충남대 대학원(석사)
정진숙, <한·일 신문광고의 어휘분석: 동아일보, 독매신문을 중심으로>, 단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정혜진, <한·중 외래어 대조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정회란, <한국어 ‘기쁘다’ 유사 어휘군의 의미론적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진연후, <고유 어휘 분석과 국어교육적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읽기’ 부분의 서술어를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쭈타맛분추, <한국어와 태국어의 분류사 비교 연구>, 충남대 대학원(석사)
차지현, <한국어 대화의 말 끼어들기 연구>, 연세대 대학원(석사)
채보현, <간판언어의 실태 고찰: 대구 동성로 지역을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최명선, <한국어 불평·응답 화행의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 한국인 모어 화자와 일본인, 중국인 학습자의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석사)
최연화, <한·중 동형이의어의 대조연구: 의미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대학원(석사)
최지훈, <국어 관용구의 은유·환유 연구: 인지의미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박사)
최진희, <한국어 대화의 수정 유형 연구>, 경희대 대학원(석사)
최현숙, <상품명의 언어적 특성 연구: 제과·음료·라면류를 중심으로>, 건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최현진, <중학생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의미 범주화 이론을 중심으로>, 건국대 교육대학원(석사)
최효정, <감동을 주는 말하기 방법 연구>,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석사)
최훈호, <한국어 거절 화행 유형 연구: 갈등에 따른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국민대 교육대학원(석사)
최희경, <한·일 양언어의 신어 대조 비교>, 경상대 교육대학원(석사)
夏天, <한국어 ‘먹다’ 와 중국어 ‘吃’의 의미 대조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석사)
함오매, <한·중 친척 호칭어와 지칭어의 비교 연구>, 충남대 대학원(석사)
허용두, <광양시 옥룡면의 땅이름 연구>, 진주교육대 교육대학원(석사)
허인순, <한국어와 일본어의 생략현상과 의미투명성에 관한 연구: 조사 ‘은/는’과 [は]의 문말 표현 기능을 중심으로>, 충남대 대학원(박사)
홍미자, <한·일 초등국어교과서의 의음어․의태어 대조연구: 형태와 의미를 중심으로>, 부경대 교육대학원(석사)
황보연, <연상 어휘 반응에 대한 연구>,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석사)

<일반 논문>

강범모, “복수성과 복수 표지: ‘들’을 중심으로”, 언어학 47, 한국언어학회 
강연임, “공익광고의 텍스트 구조와 특성”, 우리말글 39, 우리말글학회 
강연임, “오락프로그램 자막언어의 유형과 기능”, 한국언어문학 62, 한국언어문학회 
강영선, “국어사전의 뜻풀이 연구”, 백록어문 23, 백록어문학회 
강은희·강수균, “구조화된 촉진전략 중재 프로그램에 따른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변화 연구”, 언어치료연구 16-3, 한국언어치료학회 
강창욱·임정미, “사고확장을 촉진시키는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지적장애 아동의 문장 확장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분석”, 언어치료연구 16-3, 한국언어치료학회 
강현화, “한국어 표현문형 담화기능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 -지시적 화행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4, 이중언어학회 
강현화, “한국어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담화기능별 문형표현 단위에 대한 연구”, 응용언어학 23-1, 한국응용언어학회 
강희숙·양영희·손춘섭, “전남방언 여성호칭어의 유형과 분포: 접미사형을 중심으로”, 호남문화연구 40, 전남대 호남문화연구소 
고경태, “명사화소 ‘-음’, ‘-기’의 패턴 연구 -조사 및 체언과 공기하는 패턴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5, 이중언어학회 
고석주, “‘있다’의 의미에 대한 연구 -어휘개념구조 표상을 중심으로-”, 한말연구 20, 한말연구학회 
고석주, “사전에서의 어휘의미 처리와 구축: 어휘의미망과 사전의 뜻풀이”,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고석주, “이동 동사 ‘가다’와 ‘오다’의 의미 -기준점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36, 한국어학회 
곽은주, “A Pseudo Characterizing Generic Sentence in Korean”, 언어 32-1, 한국언어학회 
곽충구, “동북방언의 어휘 -함북방언을 중심으로-”, 방언학 5, 한국방언학회 
구본관, “경상도 방언의 어휘 기술과 연구 방법론”, 방언학 5, 한국방언학회 
구본관, “한국어에 나타나는 언어적 상상력”, 국어국문학 146, 국어국문학회 
구일민, “양화사 ‘다’의 의미와 과장법 기제로서의 화용론적 해석 가능성”, 한국어 의미학 23, 한국어 의미학회 
구종남, “화용론적 가정과 부정극어”, 한국언어문학 60, 한국언어문학회 
국지연·이성범, “‘말해진 것’의 명시의미: 적합성이론 분석”, 담화와 인지 14-2, 담화·인지언어학회 
권영수, “페미니즘 언어비판의 방법론”, 언어과학연구 40, 언어과학회 
권재선, “한·일어의 주야어와 계절어의 비교연구”, 한일언어문화연구 11, 한·일언어문화연구소 
金相潤, “國號 ‘高句麗’의 語義에 대한 일고찰”, 어문연구 13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갑년, “말하기 교육과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경열, “A Contrastive Analysis on Intransitive-transitive Alternations in English and Korean”, 현대문법연구 47, 현대문법학회 
김광희, “연상조응의 문법범주화에 대한 이론적 정합성 검토”, 어문논집 37, 중앙어문학회 
김규훈, “성인화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공감적 듣기 교육의 평가 방안 모색”, 화법연구 11, 한국화법학회 
김명광, “잠재어와 어휘부의 상호 관계에 대한 일고찰”, 어문학 98, 한국어문학회 
김명희·이정화, “The Role of 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in the Grammaticalization of Icey in Korean”, 담화와 인지 14-2, 담화·인지언어학회 
김무림, “高句麗 地名 表記의 馬, 買에 대한 解釋”, 국어학 50, 국어학회 
김문기, “매인풀이씨 ‘가다’, ‘오다’의 의미적 특성”, 한글 276, 한글학회 
김문기, “매인풀이씨의 문법화 양상”, 우리말연구 20, 우리말학회 
김민선, “한국어의 목적어 전치와 조사에 따른 정보구조”, 한국어 의미학 23, 한국어 의미학회 
김민영, “TV 뉴스 헤드라인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고찰”,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병홍, “이데올로기 실현을 위한 신문 기사 제목의 언어 전략 -개헌 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20, 우리말학회 
김봉모, “부산 경남 지역 ‘황새’ 지명 연구”, 문창어문논집 44, 문창어문학회 
김선혜, “교사의 ‘칭찬’언어와 ‘격려’언어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20-3, 한국초등교육학회 
김성도, “도시 브랜딩의 기호학적 접근”,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성희, “성인화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토의 능력 신장을 위한 토의 교육 내용 연구”, 화법연구 11, 한국화법학회 
김수연, “Opacity in the Interpretation of Anaphors”, 언어 32-4, 한국언어학회 
김수진, “조사 ‘-마저’의 의미”, 우리말글 40, 우리말글학회 
김수태, “‘-으려나’에 대하여”, 우리말연구 20, 우리말학회 
김연주, “영건의궤류 차자표기의 형태론적 고찰”, 언어과학연구 41, 언어과학회 
김영국, “『鷄林類事』의 어휘항목 산정에 대하여”, 한국어문학연구 49,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영란·김영태·이은주, “이중언어아동의 어휘학습능력 측정에 적용된 역동적 평가에 대한 타당성 고찰”, 언어치료연구 16-3, 한국언어치료학회 
김영욱, “중원(中原) 고구려비(高句麗碑)의 국어학적(國語學的) 연구(硏究)”, 구결연구 18, 구결학회 
김영일, “마(馬), , morin의 관련성”, 한국학논집 34,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김영일, “어형 ‘믈[水]’의 형태변화와 비교”, 어문학 95, 한국어문학회 
김영철, “우리말 담화표지 ‘참’ 고찰”, 국어문학 43, 국어문학회 
김용도, “텍스트 구성 이론과 적용”, 우리말연구 20, 우리말학회 
김용진, “‘쓴소리’의 담화기능”, 담화와 인지 14-1, 담화·인지 언어학회 
김원경, “의미격의 체계와 연산 절차”,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김윤신, “국어 사동, 피동 동형 동사의 어휘 의미 구조”, 언어학 49, 한국언어학회 
김의수, “의미역 위계의 대조언어학적 연구”, 한국언어문학 62, 한국언어문학회 
김의수, “한국어의 부정 극성 용언을 찾아서”, 우리어문연구 29, 우리어문학회 
김일환, “‘-이’와 ‘-게’의 범주와 의미 해석”, 언어 32-3, 한국언어학회 
김재욱,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발화 연구”, 이중언어학 34, 이중언어학회 
김정남, “동일 어미 반복 구문의 통사와 의미 -한국어 문법, 어휘 연계 교육에 대한 제안-”, 이중언어학 34, 이중언어학회 
김정남, “의미 투명성과 관련한 국어의 제 현상에 대하여”, 한국어 의미학 22, 한국어 의미학회 
김정대, “‘-군-’(한군데)의 형태소 정립을 위한 시론”, 우리말글 39, 우리말글학회 
김정란, “성인화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소통 중심의 말하기 학습활동 구조화 방안”, 화법연구 11, 한국화법학회 
김정선·장경희, “유아의 화행 수행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30, 국어교육학회 
김정선·장경희, “질문에 대한 응대 방법을 통한 말하기 능력 평가”, 한국언어문화 34, 한국언어문화학회 
김정숙, “문장 텍스트의 변환을 위한 지도 방법 -「대법원 판결 요지」를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15-2, 국제비교한국학회 
김정숙·이동은·이유경·최은지, “한국어 표준 말하기 시험 측정 도구를 위한 기초 연구 -모의 인터뷰 평가와 학습자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51, 한민족어문학회 
김정태, “후부지명형태소 ‘바위(岩)’의 교체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62, 한국언어문학회 
김종복·양재형, “On the Syntax and Semantics of the Bound Noun Constructions: With a Computational Implementation”, 언어과학연구 43, 언어과학회 
김지현, “한국어 주어의 무조사 현상 연구 -담화, 화용 층위의 정보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8, 우리어문학회 
김지홍, “‘언어와 언어 사용’에 대한 자각”, 국어문학 42, 국어문학회 
김진식, “자연마을 이름의 어원 고찰 -‘조내’, ‘대배미’, ‘돌꼬지’, ‘가미기’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77, 한국국어교육학회 
김진해, “사전에서의 어휘의미 처리와 구축: <표준국어대사전>의 관련어 정보와 어휘관계 기반 사전 기술”,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김충명·남기춘, “한국어 문장이해과정에서의 형태통사 및 의미오류의 출현 위치관련 ERP 성분과 그 영역특성”, 언어과학 14-3, 한국언어과학회 
김태경·이필영, “유창성 요인으로 본 말하기 능력”, 한국언어문화 34, 한국언어문화학회 
김태곤, “國語語彙의 유형별 變遷 연구”, 어문논집 37, 중앙어문학회 
김평원, “성인화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의사소통과정으로서의 말하기 평가 -대규모 성인 말하기 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11, 한국화법학회 
김한샘, “국어 신어 자료의 현황”, 한국어학 34, 한국어학회 
김현강, “라디오 인터뷰의 진행 단계별 특성과 인터뷰어의 발화 행위 연구 -시사 프로그램 인터뷰를 대상으로-”, 어문론총 47, 한국문학언어학회 
김혜정, “갈등대화의 개념과 구조 -고부간 갈등대화를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20, 우리말학회 
김호정, “이석주교수정년기념특집: 내러티브에서의 관점 표현 연구 -‘이제’와 ‘지금’을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6,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김홍범, “‘상징어 사전’에서 관용어 처리 문제 -상징어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관용어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김홍석, “국어사전에 실린 궁중어 연구”, 새국어교육 76, 한국국어교육학회 
김홍자, “어린이 병원에서의 치료를 위한 웃음유발행위”, 언어과학연구 43, 언어과학회 
김홍자, “의사의 성별에 따른 말중단시키기와 담화기능”, 언어과학연구 40, 언어과학회 
김희진, “출사표(出師表)의 의미확장”, 말과글 111,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나라바야시아이, “양태를 나타내는 ‘-게 엿-’의 의미변화에 대해서”, 국어학 49, 국어학회 
나은미, “성인화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의 조건 및 평가에 대한 고찰”, 화법연구 11, 한국화법학회 
나은미, “어휘의 연결 방식과 패턴에 대한 연구”, 이중언어학 34, 이중언어학회 
나은미, “이석주교수정년기념특집: 합성어 구성 성분의 의미 결합 양상 -합성명사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 26,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남경완, “굳은 관형사형의 유형별 처리 방안 연구”, 한국어 의미학 22, 한국어 의미학회 
남길임, “사전텍스트의 화용정보 유형 연구”,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남길임·송재영, “‘(X)+하다’ 활용 형태의 축약 현상 연구”, 한글 278, 한글학회 
노은주, “Linguistic Encoding of Relevance of the Propositional Content to the Addressee: A Korean Sentence-Final Particle e”, 담화와 인지 14-1, 담화·인지 언어학회 
노형남, “성인화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홀론(holon)의 관점에서 프랙탈 벡터(fractal vector)에 근거한 한국어 화법 분석”, 화법연구 11, 한국화법학회 
도원영, “국어사전의 신어 처리”, 한국어학 34, 한국어학회 
도원영·김의수·김숙정, “‘본말/준말’류에 대한 재고 -사전의 어휘 관계 기술을 위하여-”, 한국어학 37, 한국어학회 
리의도, “전국학술대회 발표논문: 한국어 해방론”, 배달말 41, 배달말학회 
모리모토가츠히코, “한일 양국의 가족 속담에 관한 비교 연구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32, 한국언어문화학회 
문호성, “백석 시의 텍스트성”, 텍스트언어학 2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기성, “영어와 한국어 Tough 구문의 기능에 관한 비교 연구”, 언어학 15-1, 대한언어학회 
박기태, “번역에서 추론의 필요성”, 언어학 15-4, 대한언어학회 
박만자, “국어 관용구 연구”, 사림어문연구 17, 사림어문학회 
박병철, “도로명 전부요소의 어휘 연구 -청주시 골목길 명칭을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 22, 한국어 의미학회 
朴秉喆, “새주소 體系 導入을 위한 道路名 附與 事業과 國語 問題”, 어문연구 13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박석준, “담화표지화의 정도성에 대한 한 논의 -‘뭐, 어디, 왜’를 대상으로-”,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박선영·홍기선, “공간 차원 형용사의 대립 관계 연구: ‘깊다/얕다’를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 23, 한국어 의미학회 
박선옥, “이석주교수정년기념특집: 한국어 보조동사 ‘있다’ 연구”, 한성어문학 26,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박선희, “성인화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 담화의 화시적 지시 맥락에 나타나는 ‘그’ 사용 오류 -모어로부터의 과잉투사(overprojection) 현상-”, 화법연구 11, 한국화법학회 
박성일, “한, 중 지시화행 수행 형식에 대한 대조분석”, 선청어문 35,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승윤, “양보와 조건”, 담화와 인지 14-1, 담화·인지 언어학회 
박여성, “구성주의 미디어기호학을 위한 학제적 연구”, 텍스트언어학 2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용식, “사월(沙月)형 마을 이름의 의미”, 배달말 41, 배달말학회 
박용익, “위중한 병명 통보대화”,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은하,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성별차이어의 인식 조사”, 사회언어학 15-2, 한국사회언어학회 
박일섭, “발화의 유형에 관한 연구”, 문창어문논집 44, 문창어문학회 
박재연, “문법 형식의 전경 의미와 배경 의미 -‘-으면서, -느라고, -고서, -자마자’의 의미 기술을 위하여-”, 한국어 의미학 22, 한국어 의미학회 
박재연, “보조용언 구성 ‘-어지-’의 양태 의미에 대하여”, 국어학 50, 국어학회 
박재연, “통사론과 의미론의 접면: 문법 형식의 의미 기술과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한국어학 37, 한국어학회 
박종갑, “전국대회 주제발표: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대하여”, 한민족어문학 51, 한민족어문학회 
박종갑,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다의어 대조 연구”, 어문학 96, 한국어문학회 
박지원,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담화 분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2,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박지윤·박상희·석동일, “학령전기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언어학적 특성”, 언어치료연구 16-2, 한국언어치료학회 
박진호, “보조용언의 전산 처리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 한국어학 35, 한국어학회 
박채진·권명옥, “사회적 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기능적 의사표현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연구 16-1, 한국언어치료학회 
박철우, “국어 분리 구성의 형식과 기능”, 언어학 49, 한국언어학회 
박철우, “통사론과 의미론의 접면: 국어의 태 범주 -통사부와 의미부의 접면 현상-”, 한국어학 37, 한국어학회 
박철주, “신조 의태어의 실태와 문제”, 한국어학 35, 한국어학회 
박철주, “추론의 시상과 함축의 연관성에 대하여”,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박청희, “<박통사>류 문체 연구”,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박형우, “부정문의 중의성과 동의성 양상에 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 35, 청람어문교육학회 
박호관, “‘들춤’ 표지 ‘-은/는’의 유형과 문맥적 의미 기능”, 어문학 96, 한국어문학회 
박호관, “문장 생성의 이중 구조에서 본 조사 ‘-는’의 기본적 의미 기능”, 우리말글 39, 우리말글학회 
박흥길, “신문의 잘못쓰기 실태 분석 -세 신문의 표제어를 주로 하여-”, 새얼어문논집 19, 새얼어문학회 
방성원, “언어 사용 분석을 통해서 본 ‘한류’의 의미 변화 연구 -국내 언론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5, 이중언어학회 
방영심·이정화, “한국어에 나타나는 ‘한(恨)’의 개념화 양상”, 한국어 의미학 22, 한국어 의미학회 
방향옥, “「어제내훈(御製內訓)」의 궁중어(宮中語) 연구(硏究)”, 새국어교육 76, 한국국어교육학회 
배도용, “어휘의미론 연구의 현황과 전망 -어휘의미론 연구사를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21, 우리말학회 
배도용,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올림말의 뜻풀이 모형”, 언어과학 14-2, 한국언어과학회 
배선미, “다국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한국어와 중국어 명사 어휘부 비교 연구”, 언어 32-4, 한국언어학회 
배선미, “한국어 어휘 개념지도 연구 -명사, 동사, 형용사를 중심으로-”, 언어연구 22-2, 한국현대언어학회 
범금희, “서울 토박이말의 {어 가지고} 관련 어형별 실현 양상”, 한민족어문학 51, 한민족어문학회 
변영수, “‘오르다’의 의미 확장 연구”, 겨레어문학 39, 겨레어문학회 
변우영, “말뭉치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화행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8-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변정민, “교수 화법의 상호교섭적 전략 연구”, 새국어교육 77, 한국국어교육학회 
서도원·윤병천, “충남 아산 지역 수화의 조어와 비수지신호 특성 연구”, 언어치료연구 16-3, 한국언어치료학회 
서민정, “명사토의 특수한 현상에 대한 일반론적 해석”, 우리말글 40, 우리말글학회 
서은아, “공익광고에 나타난 언어적 특징 연구”,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서은아, “광고 언어의 사용 양상 연구”, 한글 277, 한글학회 
서정행·시라이시 치에미·윤애선, “의미성분분석을 이용한 한-일 가열요리동사 대역관계”, 언어과학 14-3, 한국언어과학회 
성낙수, “간판과 도로의 이름에 대하여 -서울시 강북구 수유역, 번동 일대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36, 청람어문교육학회 
성희제, “무표지 ∅ 후부지명소에 대하여”, 어문연구 55, 어문연구학회 
성희제, “전래지명어에 나타난 지명접미사 ‘-이’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63, 한국언어문학회 
손근원, “What can slang NPIs tell us about the nature and typology of NPIs”, 생성문법연구 17-3, 한국생성문법학회 
손남익, “1960년대 신문 두자어(頭字語) 연구”, 한국어학 37, 한국어학회 
손남익, “국어 ‘과일류’의 원형성 연구”,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손세모돌, “성인화자의 말하기 평가 방법: 설명 능력 평가 방법”, 화법연구 11, 한국화법학회 
손현정, “불-한 병렬 말뭉치의 문장 단위 정렬 방식에 대한 연구”, 언어연구 24-2,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송경안·송진희,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의 품사”, 언어학 49, 한국언어학회 
송민규, “가상공간 신어의 생성”, 한국어학 34, 한국어학회 
송복승, “국어 보어의 특성과 범위 재론”, 한국언어문학 61, 한국언어문학회 
송재목, “현대한국어 ‘어 있-’과 중세한국어 ‘-어 잇-’, 할하몽골어 ‘-eed baĭ-’에 대한 대조분석”, 이중언어학 33, 이중언어학회 
송정근, “구체명사와 결합하는 ‘하다’의 의미 특성에 대하여”, 한국어 의미학 22, 한국어 의미학회 
송지혜, “‘맵다’의 의미 변화 연구”, 어문학 98, 한국어문학회 
송창선, “현대국어 ‘이다’의 문법적 처리”, 어문학 98, 한국어문학회 
신서인, “結果狀態 意味役에 대한 연구”, 어문연구 13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신성철, “의미상의 유사성으로 인한 한국어 어휘 오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2,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신중진, “‘냉이[제채(薺菜)]’의 어원과 방언분화 분석”, 우리말연구 21, 우리말학회 
신지연, “시(詩) 텍스트의 일곱 가지 텍스트성”,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신향식, “신문 글의 구성과 단락 전개에 관한 연구”, 말과글 113,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신현숙·박건숙, “뉴스 텍스트에 나타난 명사형 어휘 연구 -명사화 어미 {-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신효필, “미크로코스모스 온톨로지로의 한국어 기본동사의 사상”, 언어학 49, 한국언어학회 
신희삼, “합성어 기능에 따른 합성명사의 형성 원리”, 한국어 의미학 22, 한국어 의미학회 
심보경, “강원도 지명 연구의 현황과 과제”, 어문논집 37, 중앙어문학회 
안귀남, “방언지도를 통해본 문경지역 친족호칭어의 분화 양상”, 어문론총 46, 한국문학언어학회 
안인숙, “象徵語의 形態·意味 硏究”, 어문논집 36, 중앙어문학회 
안정오,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 본 표절텍스트”, 텍스트언어학 2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안주호, “現代國語 連結語尾 {-느라(고)}의 特性”, 어문연구 53, 어문연구학회 
안희돈, “경동사 생략과 어휘의미구조”, 현대문법연구 47, 현대문법학회 
양명희, “국어사전의 유의어에 대하여”, 한국어 의미학 22, 한국어 의미학회 
양수경·권순희,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28, 국어교육학회 
양지욱,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22, 한민족문화학회 
양창용, “Another Look at Topic: Marked vs. Unmarked”, 언어연구 22-3, 한국현대언어학회 
여찬영, “초기 『한글』지 수록 광고의 분석적 연구”, 한글 278, 한글학회 
염시열·권병로, “우리 토박이말 달력 용어에 관한 연구”, 국어문학 42, 국어문학회 
염재일, “두 특정성 표지 ‘어떤’과 ‘한’에 대한 고찰”, 언어와 정보 11-2, 한국언어정보학회 
오미정,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존대법 교육 -담화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 22, 한국어 의미학회 
오미정·이혜용, “한국어 외래어 교육과 교재 개발”, 한국어 의미학 23, 한국어 의미학회 
오오카와 다이스케, “육류 관련 어휘의 통시적 고찰”, 한국언어문화 33, 한국언어문화학회 
오장근, “어휘개념구조(LCS) 기반의 중간언어표상(ILR) 방법론 연구”, 언어과학연구 40, 언어과학회 
오장근, “텍스트-기호학적 도시공간 리터러시와 문화브랜딩”, 언어과학연구 43, 언어과학회 
오정란, “어휘부의 내부범주화와 음운론”, 한국어학 36, 한국어학회 
오창명, “『동여비고(東輿備攷)』제주(濟州) 지명(地名) 연구(硏究)”, 한민족어문학 50, 한민족어문학회 
오창명, “제주도 지명 연구(1)”, 영주어문 13, 영주어문학회 
오창명, “제주의 봉수 이름 연구”, 어문학 95, 한국어문학회 
吳充淵, “‘-었-’에 對하여”, 어문연구 13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왕단, “한국어 학습 사전의 형용사의 의미 정보 기술 방법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4-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우창현, “제주방언 보조용언의 문법 범주와 의미 해석”, 어문학 97, 한국어문학회 
위혜경, “간섭효과와 정보구조”, 언어 32-4, 한국언어학회 
위혜경, “초점 현상 분석에 의한 통사구조, 정보 구조, 담화구조의 관련성 탐구”, 생성문법연구 17-2, 한국생성문법학회 
兪長玉, “韓·日 兩國語에서의 使動硏究”, 한일언어문화연구 11, 한·일언어문화연구소 
유재원, “‘-당하다’ 피동 동사에 대한 의미 분류”, 한글 278, 한글학회 
유제호, “판소리 『춘향가』에 있어 전달화법 유형과 서술 효과의 상관관계”, 텍스트언어학 2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유현경, “‘사이’, ‘동안’의 어휘 정보 연구”, 한국어교육 1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유현경, “‘속’과 ‘안’의 의미 연구”, 한글 276, 한글학회 
유현경, “조사 ‘마다’의 의미와 분포”, 국어학 49, 국어학회 
유현경, “조사 ‘에를’의 범주와 의미”, 언어 32-1, 한국언어학회 
유현경·안예리·양수향, “한영 병렬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조사 ‘가’와 ‘는’의 선택 원리 연구”, 언어와 정보 11-1, 한국언어정보학회 
육미란, “시사지에 나타난 ‘은유적 표현’의 분석 -Fauconnier와 Turner의 정신공간 이론을 중심으로-”, 언어연구 22-3, 한국현대언어학회 
윤경주, “Contrastive Semantics of Korean ‘maum’ vs. English ‘heart’ and ‘mind’”, 언어연구 22-3, 한국현대언어학회 
윤은미, “조사 ‘도’ 연구”, 어문론총 46, 한국문학언어학회 
윤재학, “‘다시’와 ‘또’”, 언어와 정보 11-2, 한국언어정보학회 
윤혜준, “한-독 문학번역에서 진행상(progressive aspect) 표현에 관한 문제”, 이중언어학 33, 이중언어학회 
이건환, “한국어 색채어 명명과 체험적 근거”, 국어교육연구 40, 국어교육학회 
이경호, “양상 부사 ‘슬슬’의 의미 분석”, 한국어 의미학 23, 한국어 의미학회 
이경호·남경완, “한국어의 형태론적 중의 어절 사전 구축의 방법과 실제”, 우리어문연구 28, 우리어문학회 
이귀옥·이영주, “The Role of Lexical Aspect in the Acquisition of the Korean Passive -With reference to the Difference between Monolinguals and Bilinguals-”, 언어 32-4, 한국언어학회 
이근열, “<부산지명총람> 지명 해석 오류 연구”, 우리말연구 21, 우리말학회 
이근열, “부산 땅이름의 말밑 연구”, 한국민족문화 29,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이근용, “‘같다’의 통사와 의미”, 어문학논총 26,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이금희, “연결 표현 ‘-는 바람에, -는 통에, -는 김에, -는 탓에’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 18-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기갑, “‘그저’의 담화 기능: 고려말과 강원도 양양 지역어에서”, 담화와 인지 14-3, 담화·인지언어학회 
이기갑, “구술발화와 담화분석”, 방언학 6, 한국방언학회 
이도영,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텍스트 유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텍스트언어학 2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동규, “‘아무+(N)(이)나’와 ‘N+든지’의 효과적인 제시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35, 이중언어학회 
이동석, “고어를 이용한 백석 시의 어휘 몇 가지에 대한 검토”, 우리어문연구 29, 우리어문학회 
이동혁, “사전에서의 어휘의미 처리와 구축: 의미 범주 체계의 구축과 사전에서의 활용”,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이동혁·이종열, “고유명사의 비유적 의미 양상에 대한 연구”, 한국어 의미학 23, 한국어 의미학회 
이병운, “부산 행정구역 지명의 변천사”, 한국민족문화 29,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이석주, “동의(同義) 중첩(重疊) 현상(現象)에 대한 연구(硏究)”, 국어교육 122, 한국어교육학회 
이선영, “국어 신어의 정착에 대한 연구”,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이선영, “消滅語 硏究의 한 가지 方法에 대하여”, 어문연구 135,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선웅, “국어 동격 명사구의 개념과 유형”, 어문학 98, 한국어문학회 
이성만, “텍스트언어학의 현황과 전망 -텍스트기술의 기본차원들-”, 우리말연구 20, 우리말학회 
이성만, “텍스트이해에서 상호텍스트성의 역할”, 언어과학연구 41, 언어과학회 
이성범, “Metapragmatics of Speech and Its Interactions with Pragmatic Inferences”, 담화와 인지 14-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성하, “문법화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우리말연구 21, 우리말학회 
이성하, “Bare Direct Quotation and Speaker`s Stance in Korean”, 언어과학연구 43, 언어과학회 
이수련, “시간 지시사의 인지론적 해석”, 한글 277, 한글학회 
이수련, “영상도식의 특질 연구”, 새얼어문논집 19, 새얼어문학회 
이수재, “관련성이론에서의 간접조응어의 이해와 선행사 결정에 관한 추론의 선택”, 언어연구 22-3, 한국현대언어학회 
이숙, “‘-게’ 결과구문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34, 한국어학회 
이숙, “한국어에 나타나는 이동의 어휘화 형식 -Talmy(1985)의 어휘화 유형론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3, 이중언어학회 
이숙의, “한국어 동사의미망 구축을 위한 상위 개념 분류”, 언어연구 22-1, 한국현대언어학회 
이승복·이희란,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단어정의하기”, 언어치료연구 16-4, 한국언어치료학회 
이양혜, “한국어 다기능 형태소의 교수, 학습 방법 연구”, 이중언어학 35, 이중언어학회 
이영주, “한국어 조건 표현 연결 어미 연구: ‘-면, -거든, -여야’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 26,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이영주, “A Critical Survey of Extrinsic Plurality”, 생성문법연구 17-4, 한국생성문법학회 
이옥분·이상희, “이야기 되말하기 방법이 실어증자의 어휘 산출력과 문장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언어치료연구 16-2, 한국언어치료학회 
이원표, “정치담화에서의 관여(involvement) 전략”, 담화와 인지 14-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유경, “A Contrastive Analysis of Compliment Responses from Cross-Cultural Perspectives”, 언어과학연구 40, 언어과학회 
李兪美·李燦揆, “‘家族’ 單語의 聯想意味 硏究”, 국어학 50, 국어학회 
이은경, “‘-어서’절과 ‘-니까’절의 서술어 유형”, 한국어학 36, 한국어학회 
이은경·석동일, “부모중심 언어중재가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 언어치료연구 16-3, 한국언어치료학회 
이은령·윤애선, “표준국어대사전의 동사 정보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어 어휘의미망의 구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51, 한민족어문학회 
이은석, “Typologies of Events as the Basis of Cross-Linguistic Variation”, 언어과학연구 41, 언어과학회 
이은지, “‘씩’의 범주와 의미”, 어문연구 53, 어문연구학회 
이은희, “오락 프로그램 음성 언어 표현 자막의 유형과 특성”,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재원, “기업 이미지 광고(언어) 대조연구”, 텍스트언어학 2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정복, “북한 국어사전에 나타난 여성 차별어 분석”, 우리말글 40, 우리말글학회 
이정애, “문화간 의사소통을 위한 ‘화’의 의미분석”, 담화와 인지 14-1, 담화·인지 언어학회 
이정택, “‘활용사’의 설정과 하위분류”,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이종열, “개념적 환유 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국어교육연구 40, 국어교육학회 
이종열, “사물 및 공간 개념에 대한 유아의 은유 양상 연구”, 어문학 98, 한국어문학회 
이종철, “신문 광고 언어의 논증적 양상 연구”, 국어교육 124, 한국어교육학회 
이지영, “인터넷 기사 표제 표현 분석”, 국어교육연구 2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이통진, “국면에 따른 다중의문문 도출”, 언어연구 22-1, 한국현대언어학회 
이한규, “한국어 대명사 ‘우리’”, 담화와 인지 14-3, 담화·인지언어학회 
이해윤·전수은, “텍스트 유형별 구조 비교분석”,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향천, “-나, -도, -만”, 언어학 47, 한국언어학회 
이현희·김남경, “한국어 간색의 결합 양상과 특성”, 민족문화논총 37,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이혜경, “A Contrastive Analysis of Acknowledgement Texts in English and Korean Research Articles”, 담화와 인지 14-2, 담화·인지언어학회 
이희두, “담화표지와 움라우트의 불투명성”, 우리어문연구 29, 우리어문학회 
이희두, “중세국어 담화표지 ‘이’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63, 한국언어문학회 
임규홍, “국어 담화분석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우리말연구 20, 우리말학회 
임동훈, “인문학 번역 용어의 현황과 문제: 국어학 번역 술어의 현황과 술어 번역의 기준”, 인문학연구 13, 한림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임지룡, “시점의 역전 현상”, 담화와 인지 14-3, 담화·인지언어학회 
임지룡, “신체화에 기초한 의미 확장의 특성 연구”, 언어과학연구 40, 언어과학회 
임지룡, “인지의미론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우리말연구 21, 우리말학회 
임지룡·임혜원, “연결 도식과 그 은유적 확장”, 한글 276, 한글학회 
임지아, “한국어의 어휘 오류 연구 -중간언어 관점에서-”, 동남어문논집 24, 동남어문학회 
임지원, “유머 담화의 생성 기제와 제약 조건 -TV 광고문에 나타난 유머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8, 우리어문학회 
임채훈, “‘형용사+게’ 부사어의 문장 의미 구성”, 국어학 49, 국어학회 
임채훈, “반복 사건과 문장 의미 구성”, 한국어학 36, 한국어학회 
임혜원, “한국어 연극 은유”, 담화와 인지 14-2, 담화·인지언어학회 
임홍빈, “한국어 무조사 명사구의 통사와 의미”, 국어학 49, 국어학회 
장경현, “속담 속 색채어의 의미 연구: [흑/백] 계열어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57,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장기성, “관용어의 다의성”, 언어과학연구 41, 언어과학회 
장소원, “한국 현대시를 통해 본 상호텍스트성”,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장영숙, “‘놓다’ 구문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장영준·권영국, “Acquisition of Negation in Korean and English: Growth and Markedness”, 언어 32-4, 한국언어학회 
장충덕, “‘맨드라미’의 어휘사”, 새국어교육 75, 한국국어교육학회 
장충덕, “‘엉겅퀴’ 관련 어휘의 통시적 고찰”, 새국어교육 77, 한국국어교육학회 
장효은, “‘-잖-’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26,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전명미·최동주, “신어의 단어 형성법 연구 -2002, 2003, 2004 신어를 대상으로-”, 한민족어문학 50, 한민족어문학회 
전성호, “Levinon의 GCI 이론을 통한 ‘거시기’의 화용론적 분석”, 한국어 의미학 23, 한국어 의미학회 
전영옥, “구어와 문어에 나타난 ‘그리고’ 연구”, 담화와 인지 14-2, 담화·인지언어학회 
전영옥, “구어와 문어의 접속부사 실현 양상 비교 연구”, 텍스트언어학 2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전영옥, “문어와 구어에 나타난 ‘그러나’ 연구”,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전영철, “한국어 복수 표현의 의미론: ‘들’의 통합적 해석”, 언어학 49, 한국언어학회 
전은진·장경희, “오류 분석에 근거한 한국인의 의사소통 능력 평가 기준”,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전정미, “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설득 화행의 표현 양상 연구”, 겨레어문학 38, 겨레어문학회 
전정미, “요청화행에 나타난 공손 전략의 실현 양상”,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정경일, “브랜드네임의 유형별 고찰 -“쌀”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9, 우리어문학회 
정다운, “중국인과 일본인의 한국어 작문 텍스트 대조 분석 -텍스트 구조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33, 이중언어학회 
정달영, “한국어와 중국어의 말에 관한 속담 비교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20, 한민족문화학회 
정대호, “Korean Modal V-(u)l swu/li iss/eps and Polarity Licensing”, 생성문법연구 17-4, 한국생성문법학회 
정동환·정원주, “유아의 어휘력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인 언어 프로그램 -전래동요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정민주, “첫 대면에서의 화제 선택과 대화 전개에 관한 연구 -남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1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정병철, “경험적 상관성에 기반한 동사의 의미 확장 -동사의 의미와 구문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고찰-”, 한국어 의미학 22, 한국어 의미학회 
정병철, “다의 동사 ‘잡다’의 인지적 접근에 의한 사전 처리 연구”,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정병철, “동반 경험 기반의 환유 작용”, 담화와 인지 14-1, 담화·인지 언어학회 
정병철, “은유적 보조동사의 구문과 의미”, 국어교육연구 40, 국어교육학회 
정성미, “‘가깝다’와 유의어인 ‘한자어+ -하다’류의 논항 구조”, 어문논집 36, 중앙어문학회 
정연창, “주어 생략에 대한 소고”, 언어과학 14-2, 한국언어과학회 
정영희, “Tone of Loanwords and Child Language and Universal Grammar: a Case from North Kyungsang Korean”, 언어 32-1, 한국언어학회 
정재도, “‘窟’이 없을 때 ‘굴’에서 살았다”, 말과글 110,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정재도, “‘인사’와 ‘人事’는 다르다”, 말과글 111,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정재도, “우리말이 있었다”, 말과글 113,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정주리, “통사의미론 연구의 현황과 전망”, 우리말연구 21, 우리말학회 
정태구, “국어 존재구문의 의미와 사건구조”, 언어 32-4, 한국언어학회 
정한진·이옥분·서경희, “성인용 동사 이름대기 평가 어휘 목록”, 언어치료연구 16-2, 한국언어치료학회 
정혜승, “초·중·고 학습자의 아이러니 이해 양상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30, 국어교육학회 
정혜인·이남근, “Classification for the Sensibility Adjective Vocabulary Scale by Shape”, 현대문법연구 47, 현대문법학회 
조국현, “언어 교육에 관한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연구 내용 및 성과”, 텍스트언어학 2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조국현, “인터넷 ‘댓글’의 텍스트유형학적 연구”,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조규태, “전국학술대회 발표논문: 배달말이란 무엇인가”, 배달말 41, 배달말학회 
조은숙, “중첩피동의 의미기능과 인지구조”, 어문논집 37, 중앙어문학회 
조창규, “전북 정읍군 태인면 민담 어휘에 대한 고찰 -한국 전통문화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한국언어문학 63, 한국언어문학회 
조항범, “‘도루묵’의 語源”, 국어국문학 145, 국어국문학회 
조현용, “한국인 비언어적 행위의 특징과 한국어교육 연구”, 이중언어학 33, 이중언어학회 
주경희, “교과학적 변환의 필요성과 방법 -의성어의태어를 중심으로-”, 배달말 41, 배달말학회 
주경희, “언어 유희적 기능의 개념 정립의 필요성”, 텍스트언어학 2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차재은, “외래어 표준 발음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어학 35, 한국어학회 
채완, “1950년대 광고 카피에 나타난 국어의 양상”, 사회언어학 15-2, 한국사회언어학회 
채현식, “어휘부의 자기조직화”, 한국언어문학 63, 한국언어문학회 
崔炅鳳, “外來語 使用의 肯定的·否定的 側面과 그 受容 方案”, 어문연구 13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최석재·권오병, “대우법의 일반점수체계 설정 연구 -우리말 구어(口語) 환경에서-”, 우리말연구 21, 우리말학회 
최성호, “복합기능구성: 통사범주의 기능적 변이와 유표화 원리”, 언어학 47, 한국언어학회 
최웅환, “국어의 인칭 범주”, 언어과학연구 40, 언어과학회 
최인철, “A Constraint-based Approach to Korean Inalienable Possession Constructions”, 현대문법연구 47, 현대문법학회 
최재오, “A Longitudinal Study of Code Switching”, 응용언어학 23-1, 한국응용언어학회 
최지훈, “국어 관용구의 영상도식적 은유 연구”, 한국어 의미학 23, 한국어 의미학회 
최진아, “중등 국어 교육의 은유 학습 내용”, 한국어 의미학 22, 한국어 의미학회 
최형강, “‘-ㄹ게-’와 ‘-ㄴ게-’의 융합 양상과 의미 기능”, 한국어학 34, 한국어학회 
최형강, “신문의 어휘와 문자 사용 양상”, 사회언어학 15-2, 한국사회언어학회 
최형강, “접두사 ‘생-, 날-, 맨-’ 결합어의 의미 비교”,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최형강, “접두사 ‘생-, 날-’의 의미 분석”, 어문학 96, 한국어문학회 
최형용, “가치평가에서의 의미 변화에 대하여”, 텍스트언어학 22,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최형용, “동의 충돌에 따른 의미 변화의 한 양상에 대하여”, 국어학 50, 국어학회 
崔洪烈, “訓蒙字會 「疾病」部 字訓의 意味 考察”, 어문연구 13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탐바라 쿠니히로, “한국어 ‘받다’와 일본어 ‘貰う/受ける’에 대한 고찰”, 한국어문학연구 25,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하길종, “만해시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님의 침묵』을 중심으로”, 문법교육 7, 한국문법교육학회 
學術調査報告, “濟州特別自治道 濟州市 厓月邑 鳳城里 現地學術調査報告 -조사경위·마을개황·방언·신앙·민요·설화-”, 백록어문 23, 백록어문학회 
한경임·최소연, “또래 참여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연구 16-1, 한국언어치료학회 
한성일, “광고 텍스트의 중의성 연구”, 한말연구 20, 한말연구학회 
한성일, “이석주교수정년기념특집: 광고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 한성어문학 26,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한송화, “‘-으러’와 ‘-으려고’ 연구”, 어문론총 47, 한국문학언어학회 
한영균, “한국어 어휘 교육과 어휘 통계 정보”, 한국어교육 18-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정한, “사전에서의 어휘의미 처리와 구축: 한국어 어휘의미망과 [원인]의 어휘 목록”, 한국어 의미학 24, 한국어 의미학회 
함희진, “{뜨리-}의 범주와 기원에 관한 연구”, 한국어학 34, 한국어학회 
허상희, “‘괜찮다’의 화용적 기능과 특징”, 우리말연구 20, 우리말학회 
허선익, “설명문 쓰기에서 다른 덩잇글 활용 양상”, 배달말 41, 배달말학회 
허재영, “「화음방언자의해」의 어휘론적 가치”, 한글 276, 한글학회 
홍기선, “한국어의 조사 “가””, 비교한국학 15-2, 국제비교한국학회 
홍사만, “연역적 논증과 귀납적 추론”, 어문론총 46, 한국문학언어학회 
홍사만, “한국어 분류사와 일본어 조수사(助數詞)”, 한일언어문화연구 11, 한·일언어문화연구소 
홍윤혜, “보조사 ‘-(이)라도’의 의미와 분포적 특성 -‘-(이)나’와 ‘-(이)나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8-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홍종선, “한국어 기계 번역에서의 중의성 처리 연구”, 국어학 50, 국어학회 
황경수, “의존명사의 인접형식과 통합성”, 새국어교육 76, 한국국어교육학회 
황미향, “‘그런데’의 의미와 기능 및 읽기 교육에의 적용”, 언어과학연구 41, 언어과학회 
Chang Kook Suh·Seok Mun Pak, “Aspects of Linguistic Elements in Korean Car Names”, 반교어문연구 23, 반교어문학회 
Che Gyong Im, “Move is Occur; the First Step to Eliminate Movement”, 언어학 15-4, 대한언어학회 
Chul-Kyu Kim, “A Corpus Based Analysis of Korean and English Science Popularization Texts in Terms of Reader-Involvement”, 어학연구 43-2, 서울대 언어교육원 
Doo Won Lee, “Janusian Idioms: with Reference to Theme + Null Postposition vs. Theme + Lexical Verb”, 현대문법연구 49, 현대문법학회 
Eun Suk Lee, “Minimalist Limits on Predicate Scrambling”, 언어학 15-3, 대한언어학회 
Hae Kyung Wee, “Contrastive Topic as the Sole Focus”, 언어학 49, 한국언어학회 
Hee Chul Lee, “The Interclausal Syntactic and Semantic Relations of the Periphrastic Causative”, 언어학 15-4, 대한언어학회 
Hee Don Ahn·Sung Eun Cho, “Subject-Object Asymmetries of Morphological Case Realization”, 언어와 정보 11-1, 한국언어정보학회 
Hye Son Park, “Mapping Hypothesis and the Korean DP”, 현대문법연구 48, 현대문법학회 
Hye-Won Choi, “Length and Order: A Corpus Study of Korean Dative-Accusative Construction”, 담화와 인지 14-3, 담화·인지언어학회 
Hyon Sook Choe, “On the Categorial Ambiguity of the Morpheme kes in Korean”, 어학연구 43-2, 서울대 언어교육원 
Jae Hoon Yeon, “Coding Conflict or Semantic Contrast?: The Grammatical Encoding of the Causee”, 언어학 47, 한국언어학회 
Jee Won Hahn, “Function of Apologies in Korean”, 언어연구 24-2,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Jong Bok Kim·Kyung Sup Lim·Jae Hyung Yang, “Structural Ambiguities in the Light Verb Constructions: Lexical Relatedness and Divergence”, 언어학 15-2, 대한언어학회 
Jong Ho Jun·Jee Hyun Lee, “Multiple Stem-final Variants in Korean Native Nouns and Loanwords”, 언어학 47, 한국언어학회 
Kyu-hyun Kim·Kyung-Hee Suh, “Style Shift in Korean Pedagogical Discourse”, 사회언어학 15-2, 한국사회언어학회 
Kyung-Hee Suh, “Discourse Markers Mwe and Way in Korean Conversation”, 사회언어학 15-1, 한국사회언어학회 
Kyung-Joo Yoon, “Korean Ethnopsychology Reflected in the Concept of Ceng ‘affection’”, 담화와 인지 14-3, 담화·인지언어학회 
Maria Polinsky·Philip J. Monahan·Nayoung Kwon, “Object control in Korean: How many constructions?”, 어학연구 43-1, 서울대 언어교육원 
Sang Geun Lee, “A Semantics-Syntax Correlation Analysis of Exp-Subj Psych-verbs”, 언어학 15-4, 대한언어학회 
Sang Geun Lee·Kyung Sik Shin, “On Exp-Subj Psych-verbs: A Lexicalist Approach”, 언어학 15-2, 대한언어학회 
Sung Chool Im, “Motion Events without Motion Component”, 현대문법연구 50, 현대문법학회 
Vovin Alexander, “Korean Loanwords in Jurchen and Manchu”, 알타이학보 17, 한국알타이학회 
Young Joo Lee, “Semantic Interpretation of Quantifiers under Only”, 언어학 49, 한국언어학회 

<기타>

구법회, “잘못 쓰이는 교육 관련 용어”, 한글새소식 416, 한글학회 
권순채, “내 고장의 토박이 땅이름”, 나라사랑 113, 외솔회 
김동소, “화장실과 ‘마렵다’”, 한글새소식 421, 한글학회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4) -수사법에서 본 제목(3)”, 쉼표, 마침표. 16,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5) -수사법에서 본 제목(4)”, 쉼표, 마침표. 17,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6) -수사법에서 본 제목(5)”, 쉼표, 마침표. 18,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7) -수사법에서 본 제목(6)”, 쉼표, 마침표. 19,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8) -수사법에서 본 제목(7)”, 쉼표, 마침표. 20,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9) -수사법에서 본 제목(8)”, 쉼표, 마침표. 21,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10) -수사법에서 본 제목(9)”, 쉼표, 마침표. 22,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11) -수사법에서 본 제목(10)”, 쉼표, 마침표. 23,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12) -수사법에서 본 제목(11)”, 쉼표, 마침표. 24,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13) -수사법에서 본 제목(12)”, 쉼표, 마침표. 25,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14) -수사법에서 본 제목(13)”, 쉼표, 마침표. 27, 국립국어원 
김희진, “고뇌 끝에 피어난 제목(14) -올해의 작품들”, 쉼표, 마침표. 26, 국립국어원 
나채운, “우리말 바로쓰기(1)”, 한글새소식 419, 한글학회 
나채운, “우리말 바로쓰기(2)”, 한글새소식 420, 한글학회 
류영남, “‘소제’는 일본 한자어가 아니다”, 한글새소식 413, 한글학회 
류영남, “고쳐야 할 풀이들(1)”, 한글새소식 418, 한글학회 
류영남, “고쳐야 할 풀이들(2)”, 한글새소식 419, 한글학회 
옥철영, “한국어의 어휘 의미망: 국어 어휘 의미망 구축의 개념과 사전 편찬”, 새국어생활 17-3, 국립국어원 
윤애선, “한국어의 어휘 의미망: 국내외 어휘 의미망의 구축과 활용”, 새국어생활 17-3, 국립국어원 
이경우, “신문 언어의 민주주의”, 새국어생활 17-4, 국립국어원 
이경우, “우리 모두의 신문 언어”, 새국어생활 17-3, 국립국어원 
이기문, “빈대떡과 변씨만두”, 새국어생활 17-2, 국립국어원 
이기문, “승기약탕(勝妓藥湯)”, 새국어생활 17-1, 국립국어원 
이기문, “중세몽고어 차용어에 대하여”, 새국어생활 17-4, 국립국어원 
이기문, “피천, 쇠천, 천, 천량, 밑천”, 새국어생활 17-3, 국립국어원 
이성헌, “한국어의 어휘 의미망: 세종 전자 사전의 어휘 의미 부류 체계”, 새국어생활 17-3, 국립국어원 
정재도, “우리말이 있었다: ‘窟’이 없을 때 ‘굴’에서 살았다”, 한글새소식 415, 한글학회 
정재도, “우리말이 있었다: ‘글字’냐 ‘글짜’냐”, 한글새소식 416, 한글학회 
정재도, “우리말이 있었다: ‘남사당패’가 순우리말이다”, 한글새소식 422, 한글학회 
정재도, “우리말이 있었다: ‘인사’와 ‘人事’는 다르다”, 한글새소식 420, 한글학회 
정재도, “우리말이 있었다: ‘檐牙·簷牙[염아]’는 ‘처마’가 아니다”, 한글새소식 421, 한글학회 
정재도, “우리말이 있었다: 강다리→강달어→강달이”, 한글새소식 424, 한글학회 
정재도, “우리말이 있었다: 물건, 모양, 모습”, 한글새소식 417, 한글학회 
정재도, “우리말이 있었다: 역시, 예사, 으례, 잠깐”, 한글새소식 418, 한글학회 
정재도, “우리말이 있었다: 온돌, 명태, 대구”, 한글새소식 413, 한글학회 
지춘수, “『우리말 큰사전』을 뒤적이면서(2)”, 한글새소식 417, 한글학회 
지춘수, “『우리말 큰사전』을 뒤적이면서(3)”, 한글새소식 418, 한글학회 
지춘수, “『우리말 큰사전』을 뒤적이면서(4)”, 한글새소식 419, 한글학회 
지춘수, “『우리말 큰사전』을 뒤적이면서(5)”, 한글새소식 420, 한글학회 
진태하, “‘모시’와 ‘모란’의 어원고”, 새국어생활 17-1, 국립국어원 
하치근, “나무를 보고 숲도 보는 낱말 익히기(1)”, 한글새소식 413, 한글학회 
하치근, “나무를 보고 숲도 보는 낱말 익히기(2)”, 한글새소식 414, 한글학회 
하치근, “나무를 보고 숲도 보는 낱말 익히기(3)”, 한글새소식 415, 한글학회 
하치근, “나무를 보고 숲도 보는 낱말 익히기(4)”, 한글새소식 416, 한글학회 
하치근, “나무를 보고 숲도 보는 낱말 익히기(5)”, 한글새소식 417, 한글학회 
하치근, “나무를 보고 숲도 보는 낱말 익히기(6)”, 한글새소식 418, 한글학회 
하치근, “나무를 보고 숲도 보는 낱말 익히기(7)”, 한글새소식 419, 한글학회 
하치근, “나무를 보고 숲도 보는 낱말 익히기(8)”, 한글새소식 420, 한글학회 
하치근, “나무를 보고 숲도 보는 낱말 익히기(9)”, 한글새소식 421, 한글학회 
하치근, “나무를 보고 숲도 보는 낱말 익히기(10)”, 한글새소식 422, 한글학회 
하치근, “나무를 보고 숲도 보는 낱말 익히기(11)”, 한글새소식 424, 한글학회 
홍윤표, “‘꼿꼿하다’와 ‘꿋꿋하다’의 어원”, 쉼표, 마침표. 20, 국립국어원 
홍윤표, “‘나이’의 어원”, 쉼표, 마침표. 16, 국립국어원 
홍윤표, “‘물꼬’의 어원”, 쉼표, 마침표. 17, 국립국어원 
홍윤표, “‘밭고랑’, ‘논도랑’과 ‘논두렁’의 어원”, 쉼표, 마침표. 23, 국립국어원 
홍윤표, “‘부랴부랴’의 어원”, 쉼표, 마침표. 24, 국립국어원 
홍윤표, “‘부싯돌’의 어원”, 쉼표, 마침표. 25, 국립국어원 
홍윤표, “‘샅샅이’의 어원”, 쉼표, 마침표. 27, 국립국어원 
홍윤표, “‘설빔’의 어원”, 쉼표, 마침표. 26, 국립국어원 
홍윤표, “‘성냥’의 어원”, 쉼표, 마침표. 18, 국립국어원 
홍윤표, “‘여보’의 어원”, 쉼표, 마침표. 19, 국립국어원 
홍윤표, “부채의 어원”, 쉼표, 마침표. 21, 국립국어원 
홍윤표, “황소의 어원”, 쉼표, 마침표. 22, 국립국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