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기타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논저 목록

  Ⅲ. 국어학 관계 문헌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단행본>

강신항, 『훈민정음 연구(수정증보)』, 성균관대 출판부.
강헌규, 『국어 어원학 통사』, 이회문화사.
김남돈, 『토를 중심으로 본 북한 문법 이론의 발전 과정』, 한국문화사.
김동소, 『중세 한국어개설』, 한국문화사.
김동소, 『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김영욱 외,『한국각필부호구결자료와 일본훈점자료연구』.
남경란, 『국어정보처리법(국어사 연구를 위한)』, 경인문화사.
남경란, 『중세한국어 원시말뭉치를 이용한 한자와 번역어휘 용례의 전산화』,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남경완 외, 『쉽게 풀이한 대한문전』, 월인.
박정규, 『국어 연구의 몇 국면』, 보고사.
백두현·김주원, 『십구사략언해연구』, 역락.
백두현, 『현풍곽씨언간』, 태학사.
석주연, 『노걸대와 박통사의 언어』, 태학사.
송기중, 『역사비교언어학과 국어계통론』, 집문당.
신승용, 『음운 변화의 원인과 과정』, 국어학회.
신창순, 『국어근대표기법의 전개』, 태학사.
윤용선, 『15세기 언해자료와 구결문』, 역락.
이광정 외,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출판사.
이병근 외, 『한반도와 만주의 역사 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승자, 『조선조 운서한자음의 전승양상과 정리규범』, 역락.
전광현, 『국어사와 방언 1(국어사 연구)』, 월인.
전광현, 『국어사와 방언 2(방언 연구)』, 월인.
전광현, 『국어사와 방언 3(이런 글 저런 이야기)』, 월인.
정승혜, 『조선후기 왜학서 연구』, 태학사.
정호완, 『한국어의 발달과 의존명사』, 이회문화사.
최경옥, 『한국개화기 근대외래한자어의 수용연구』, 제이앤씨.
최낙복, 『주시경 문법의 연구(2)』, 역락.
최용기, 『남북한 국어정책 변천사 연구』, 박이정.
최호철 외, 『쉽게 풀이한 대한문전(민연 국어학 연구 총서 1)』, 월인.
한용운, 『언어 단위 변화와 조사화』, 한국문화사.
홍사만, 『국어 어휘의미의 사적변천』, 한국문화사.

<학위논문>

A.하구아수릉, <몽골어의 특수조사 ‘ni’과 한국어의 특수조사 ‘-은/-는’의 비교 연구, 인하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T. Otagontuul, <한국어와 만주어 격어미 비교 연구-청어노걸대를 중심으로->, 상지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권화숙, <<月印釋譜> 券 15와 <法華經諺解>의 比較 硏究>,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두식, <한글 자형의 변천에 관한 연구-15~19세기 활자본 및 목판본을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선화, <내림겹홀소리 `ㅚ', `ㅟ'의 홑홀소리되기 과정>,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연강, <현대 국어 청자 대우법 연구의 사적 고찰>, 경남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연주, <영건의궤(營建儀軌)류의 차자 표기 어휘 연구>, 대구가톨릭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유섭, <국어 어간말 자음군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연구>, 서강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홍석, <麗末鮮初 <楞嚴經> 순독구결의 서법 연구>, 단국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大川大輔, <‘채소’ 관련 어휘의 통시적 고찰>, 충북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봉곤, <월인석보에 나타난 피동구문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상권, <「오륜전비언해」의 어휘 연구>, 경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용식, <이두의 생략 표기에 대한 연구-대명률직해를 중심으로->, 경상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박형우, <한국어 부정문의 변천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국어교육전공 박사 학위 논문.
방영심, <{-이}와 {-게}의 통시적 교체에 대한 고찰>,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손여림, <고려시대 여성묘지명 연구­고려 여성 생활사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오오츠카 타다쿠라, <『交隣須知』에 나타난 한국어 연구>, 서울대 대학원 언어학과 석사 학위 논문.
유준상, <만화글의 기능성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향화, <방송언어 오용 실태 분석과 그 개선 방안>,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현조, <한국어 어미 구조의 문법적 보편성에 관한 연구­형태 분석에 기반한 대조언어학적 관점에서­>, 서울대 대학원 언어학과 언어학전공 석사 학위 논문.
윤향림, <<廣才物譜>의 표기법과 음운현상 연구>, 안동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선영, <<<내훈>>의 표기법과 어휘 연구>, 대구가톨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영경, <중세국어 형용사 구문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이준환, <<三韻聲彙> 한자음 성모체계 고찰>, 성균관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지야, <『한불뎐』의 사전학적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금순, <국어 의존명사화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석사 학위 논문.
이상호, <국어생활사의 관점에서 본 언간의 특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태환, <小倉進平의 우리말 연구>, 경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혜현, <19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경판 방각본 고소설을 대상으로->, 안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장요한,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의 {-삽-}에 대한 연구>, 서강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성윤, <신라인명의 차자표기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창헌, <≪열하긔≫의 국어학적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영화, <현대 한국어와 현대 중국어의 시상에 관한 대조연구>, 상명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은주, <전기 중세국어의 부정법 연구>, 단국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최경옥, <한국 개화기 외래 한자어의 수용 연구>, 한양대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박사 학위 논문.
최송이, <<부모은중경>의 언해본 비교 고찰>, 전남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홍차승, <‘요’의 의미 기능 변화 연구>, 경성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일반논문>

강순애, “초참본 <월인석보> 권15에 관한 연구­그 저경과 구성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25, 서지학회.
강순애, “한국 고문서의 정리현황과 목록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26, 서지학회.
강연임, “<번역노걸대>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한국언어문학 51, 한국언어문학회.
고영근, “북한 어학 논저목록집 3종 비교 ,평가”, 형태론 5-2, 박이정.
고영근, “양주동의 국어학 연구”, 국어국문학 133, 국어국문학회.
고정의, “이두 학습서의 이두와 독음”,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구본관, “안자산의 언어관과 국어 연구”, 어문연구 117, 한국어문교육연구.
구현옥, “국어 성조 기술 방법 비교 연구”, 한글 260, 한글학회.
권인한, “계림유사의 한어음운사적 의의”, 국어학 42, 국어학회.
권인한, “신라 관등 이표기와 한국한자음의 관계”, 진단학보 96, 진단학회.
권재일, “구어 한국어에서 서술문 실현방법의 공시태와 통시태”, 언어학 37, 한국언어학회.
권혁양, “‘’, ‘-’ ‘’, ‘믓-’의 어원에 대하여”, 알타이학보 13, 한국알타이학회.
김동례, “[서평/논평] Harry van der Hulst(2002), Complex Segments in Radical cv Phonology 한국어학의 오늘과 내일-2002”,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 한국어학회, 한국문화사, 한국어학 19 한국어학회.
김동소, “한국어 변천사 연구에서의 본 제국주의 식민 사관의 자취”, 국어국문학 135, 국어국문학회.
김동소, “한국어 음운사 연구에서의 몇 가지 주요 논점”, 문학과언어 25, 문학과언어학회.
김동소·남경란, “≪大方廣佛華嚴經≫ 입겿의 독음 연구”, 어문학 79, 한국어문학회.
김동식, “(논평)‘형태론’ 4권 2호의 기고에 대한 논평”, 형태론 5권 2호, 형태론 편집위원회.
김동식, “(서평)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고영근의 국어학 세계』, 삼경문화사.
김동환, “범립본이 편찬한 <치가절요>에 대한 고찰”, 서지학연구 25, 서지학회.
김무림, “<계림유사>의 모음론”,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 교재 및 이중언어교육 발표논문집, 이중언어학회·국제고려학회·북경외국어대학.
김무림, “『삼국유사』의 국어학적 숙제”, 어문논집 47, 민족어문학회.
김무림, “한자 "내"의 국어 음운사적 고찰”, 국어학 41, 국어학회.
김문웅, “구결 ‘-’의 교체 현상에 대하여-『능엄경 언해』(1462)를 중심으로- ”, 한글 259, 한글학회.
김상윤, “훈몽자회 자석에 나타난 단음절어 일고찰”, 인문연구 35, 중앙대학교.
김영만, “국어 운소(고저, 장단)론의 기초”,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 교재 및 이중언어교육 발표논문집, 이중언어학회·국제고려학회·북경외국어대학.
김영선, “국어의 과도음화 현상과 제약 기반 이론”, 한글 260,한글학회.
김영욱, “11세기 국어 문법 형태 연구-유가사지론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11,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김영욱, “백제 이두에 대하여”,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김영욱, “좌등본 화엄문의요결의 국어학적 연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김영일, “〈역어유해(譯語類解)〉속의 우리말 난해어”, 어문학 80, 한국어문학회.
김유범, “15세기 국어 문법형태소와 문법화”, 어문논집 48, 민족어문학회.
김유범, “중세국어 ‘-ㄴ다마다’에 대하여”, 새얼어문논집 15, 새얼어문학회.
김장환·박재연, “연세대 소장본 <태평광긔> 권지이에 대하여”, 동방학지 121, 연세대 국학연구원.
김정빈, “일본 『묘법연화경석문』에 나타나는 신라 순경사의 반절에 대하여(상)-중국한어사와 일본오음의 비교를 통해서-”,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김정빈, “한국 한자음의 구개음화와 개모 소실에 관한 역사적 연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김주필, “후기 중세국어의 음운현상과 모음체계”, 어문연구 117,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중권, “고려시대 예종의 독서토론고찰”, 서지학연구 25, 서지학회.
김지형, “<훈민정음>에서의 소실문자 ‘ㅿ’의 음가 추정 시론”, 경희어문학 23,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차균, “우리말 성조 방언에서 반편성과 반거성”, 한말연구 13, 한말연구학회.
김치우, “<영남책판기> 소재 간본의 서지사항에 관한 일고찰”, 서지학연구 25. 서지학.
김태곤, “「정속언해」에 나타난 어휘변천 연구”, 영주어문 6, 제주대.
김혜정, “일제 강점기 ‘조선어 교육’의 의도와 성격”, 어문연구 31-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남경란, “《대방광불화엄경소(권35)》 입겿(訣) 연구”, 배달말 32, 배달말학회.
남경란, “국어사자료의 전산화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대구 자료­”, 국어사자료학회 전국발표논문집, 국어사자료학회.
남경란, “여말선초 음독 입겿(訣)의 종합적 고찰(1)”, 민족문화논총 27,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남경란, “여말선초 음독 입겿(訣)의 종합적 고찰(2)-음독 입겿의 문자체계-”, 언어과학연구 27, 언어과학회.
남경란, “중세한국어 연구를 위한 전산 처리 방안”, 민족문화논총 26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남권희, “기록물의 서지기술”, 고문서연구 22, 한국고문서학회.
남풍현, “고대국어의 시대 구분”,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남풍현, “신라승 순경과 경흥의 법화경 주석서에 대하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노기춘, “순천 송광사 개판불사에 관한 연구(2)­임란이후 유간기 불사를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26, 서지학회.
리의도, “한글 낱자에 관한 통시적 고찰”, 한글 259, 한글학회.
민현식, “국어학의 학제간 연구 현황과 과제”, 어문학 79, 한국어문학회.
박부자, “선어말어미 ‘--’ 통합순서와 변화­‘-시-’와의 통합순서를 중심으로­”, 제30회 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국어학회.
박선우, “15세기 국어 서실법 양태부사의 통사의미적 특성(2)- 의문 양태부사를 중심으로-”, 어문학 80, 한국어문학회.
박성종, “15세기 첩정의 분석”, 고문서연구 22, 한국고문서학회.
박성종, “『대명율직해』 이두의 예비적 고찰”, 진단학보 96, 진단학회.
박성종, “장전처신씨선덕이년소지의 복원”, 고문서연구 23, 한국고문서학회.
박재민, “「보현십원가」 난해구 5제-구결을 기반하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박종덕, “16세기 경상도 방언의 모음체계 연구”, 한말연구 12, 한말연구학회.
박종희, “중세국어 공동격 조사 '-와/과'의 교체 현상”, 한글 260, 한글학회.
박준호, “<홍무예제>와 조선 초기 공문서 제도”, 고문서연구 22, 한국고문서학회.
박진호, “주본 『화엄경』 권제36 점토구결의 해독-자토구결과의 대응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박진호, “중세국어의 부사 파생 접미사 ‘-뎌/려/다/라’에 대하여”, 형태론 5-1, 박이정.
박찬식, “유해류역학서 ‘天文’부의 특징 일 고찰”,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박형익 , “<유합>의 표제자 선정과 배열”, 이중언어학 23, 이중언어학회.
박형익, “「유서필지」의 ‘이두휘편’”, 한국어학 20, 한국어학회.
박형익, “「유합」의 표제자 선정과 배열”, 이중언어학 23, 이중언어학회.
박형익, “「형태론」 4권 1호의 기고에 대한 논평”, 형태론 5-1, 박이정.
박형익, “심의린의 「보통학교 조선어 사전」(1925)의 분석”, 한국사전학 2, 한국사전학회.
박형익, “프랑스 언어학의 연구 흐름”, 한국어학 19, 한국어학회.
배현숙, “선조초 지방 책판고”, 서지학연구 25, 서지학회.
서영석, “<용담유사>의 국어학적 고찰”, 신라문화 22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석미영, “중세국어의 의문법 고찰”,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석주연, “<오륜전비언해>의 국어학적 연구”, 진단학보 96, 진단학회.
석총청통·김혜진·오미영, “성점의 기원”,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성광수, “「大明律直解」에 나타난 主語와 主題表現에 대하여”, 한국어학 20,한국어학회.
성광수, “국어학의 새로운 방향”, 어문론총 39, 한국문학언어학회.
소림방규, 윤행순(역), “신라경전에 기입된 각필문자와 부호-경도,대곡대학장 『판비량론』에서의 발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손희하, “‘이무실 저 정사본’ <천자문> 연구”, 한국언어문학 51, 한국언어문학회.
송민, “개화기의 신생한자어 연구(3)”, 어문학 논총 22,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송민, “개화기의 신생한자어 연구(3)”, 어문학논총 22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송재목, “한국어와 몽골어의 활용어미 대조 분석 2-몽골어 동명사어미와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언어학 37, 한국언어학회.
송재목, “한국어와 몽골어의 활용어미 대조 분석”, 한글 262, 한글학회.
송정숙, “조선시대 사본 연구­특성, 종류, 필사지를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26, 서지학회.
수곡진성, 강인선(역), “상중고 사이에 있는 음운사상의 몇 가지 문제”,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시라이와 미호, “‘관계’고­일본어와 한국어 ‘관계’의 의미 변천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47, 민족어문학회.
신승용, “/o/, /u/ 움라우트의 성격과 ‘ㅚ/oy/’, ‘ㅟ/uy/’의 변화-경북방언을 대상으로-”, 어문학 81, 한국어문학회.
신승용, “/k/>/h/ 변화에 대한 고찰”, 국어학 41, 국어학회.
신용권, “≪고금운회거요≫의 입성운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언어학 37, 한국언어학회.
신중진, “개화기 주요 한글 자료를 찾아서”, 인하어문연구 6, 인하어문연구회.
심보경, “일본 지명에 반영된 牛[usi]의 어원에 대하여”, 한겨레어문학 2, 북스힐.
심우준, “<무구정광대타라니경 전입여부고>의 보편­당, 요대 방산본, 신라 <화엄사경>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25, 서지학.
안미경, “일제시대 천자문의 종류와 특징”, 서지학연구 26, 서지학회.
안병희, “해례본의 팔종성에 대하여”, 국어학 41, 국어학회.
안병희, “안곽의 생애와 한글연구”, 어문연구 117, 한국어문교육연구.
안주호,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의 진언표기 연구”, 한국언어문학 51, 한국언어문학회.
안주호, “만연사본 <진업진(1777년)>의 표기법 연구”, 국어국문학 133, 국어국문학회.
안주호, “인용동사 ‘니다’와 ‘다’의 통사적 특성 연구”, 어문학 79, 한국어문학회.
안주호·이태승, “<비밀개간집(秘密開刊集)〉의 체계와 표기에 대한 연구”, 배달말 32, 배달말학회.
안현주, “조선시대에 간행된 언해본 <논어>의 판본에 관한 고찰”, 서지학연구 26, 서지학회.
양영희, “15세기 국어 존대표지의 실현 조건”, 한국어학 19, 한국어학회.
양영희, “<번역박통사>와 <번역노걸대> 바로읽기를 위한 제언”, 우리말글 29, 우리말글학회.
양영희, “중세국어 2인칭 대명사 '그듸'의 존대법상 위치”, 한글 260, 한글학회.
양오진, “<노걸대>의 문화사적 가치에 대한 고찰”,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 교재 및 이중언어교육 발표논문집, 이중언어학회·국제고려학회·북경외국어대학.
양희철, “향찰 "于萬(隱)"과 "于音毛"의 해독”, 배달말 32, 배달말학회.
여찬영, “<자전석요>의 한자 자석 ‘고을일흠’ 연구”, 언어과학연구 25, 언어과학회.
여찬영, “『효경언해』의 번역비평적 연구”, 언어과학연구 27, 언어과학회.
여찬영, “조선조 언해서의 번역비평적 연구”, 배달말 33, 배달말학회.
여찬영, “지석영 《자전석요》의 한자 자석 연구”, 어문학 79, 한국어문학회.
오충연, “현대문법이론의 대상과 방법에 대한 재고-랑그와 언어능력의 개념을 중심으로-”, 어문학 79, 한국어문학회.
옥영정, “광주필서체목활자와 인본 연구”, 서지학연구 25, 서지학회.
위진, “예산문고본 <훈몽자회>에 나타난 사이ㅅ 연구”, 한국언어문학 51, 한국언어문학회.
유부현, “<개보칙판대장경>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25, 서지학회.
유필재, “중세한국어의 성조(악센트)에 대하여”, 인문논총 22, 울산대 인문과학연구소
유필재, “후기중세국어 용언 어간의 성조와 기저형 설정”, 어학연구 39-1, 서울대.
윤행순, “한문독법에 쓰여진 한국의 각필부호구결과 일본의 오코토점의 비교-「유가사지론」의 점토구결과 문자구결을 중심으로-”,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윤향림, “「廣才物譜」의 표기법 연구”, 안동어문학 8, 안동어문학회.
이광정, “석인 정태진 연구(1) -방언과 어원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19, 한국어학회.
이광정, “석진 정태진의 학문세계 (3)­음운, 문법, 언어일반, 우리어문사랑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11, 한국어교육학회.
이광호, “중세국어의 통시적 변화를 통한 현대국어 유의어의 변화 예측”, 우리말글 29, 우리말글학회.
이광호·조정아, “조선시대 농서 어휘 연구”, 우리말연구 13 우리말학회.
이근영, “첩해몽어의 음운론적 연구”, 한말연구 13, 한말연구학회.
이남희, “디지털 시대의 고문서정리 표준화”, 고문서연구 22, 한국고문서학회.
이동석, “중세 국어 ‘/’ 파생형에 대한 형태, 의미적 연구”, 동양학 33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이동석, “비통사적 합성 용언 어간에서 발견되는 모음조화 현상”,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이병근, “‘올가미’의 어휘사”, 국어학 41, 국어학회.
이상혁,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에 대한 인문학적 시론(試論)과 15세기 언어관”,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이숙경, “사역원 몽학서 <첩해신어>에 대한 고찰”,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 교재 및 이중언어교육 발표논문집, 이중언어학회·국제고려학회·북경외국어대학.
이승재, “이체자로 본 고려본 능엄경의 계통”,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이승재, “주본『화엄경』권57의 서지와 각필 부점구결에 대하여”, 한글 262, 한글학회.
이영경, “중세국어 형용사의 동사적 용법에 관하여”, 형태론 5-2, 박이정.
이용, “석독구결에 나타난 부정사의 기능에 대하여”,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이용, “전기 중세국어에 나타난 ‘ -’의 성격-용언에 쓰이는 ‘ -’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31-3, 한국어문교육학회.
이용, “‘-었었-’에 대한 단상”, 형태론 5-1, 박이정.
이은규, “<계림 유사> 차자 표기의 전산 처리와 용자례”, 한국말글학 20, 한국말글학회).
이은규, “<대방광불화엄경소(권35)> 석독 입겿문의 동사 ‘삼-’에 대하여”, 어문학 81, 한국어문학회.
이은규, “<백병구급신방>의 표기와 음운 고찰”, 언어과학연구 27, 언어과학회.
이장희, “6세기 신라 금석문의 인명 접사 연구”, 언어과학연구 26, 언어과학회.
이장희, “「삼운통고」의 저본에 대하여”, 어문학 80, 한국어문학회.
이정일, “《번역박통사(상)》에 나타난 중국어 표기법의 역사적 이해”, 어문연구 40, 어문연구학회.
이준석, “한역 불경 속의 고전범어문법과 고대국어의 수용에 대하여”, 한국어학 20, 한국어학회.
이철수, “長城監務官貼文의 吏讀”,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이태승·안주호, “망월사본 <진언집범례>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19, 한국어학.
이태욱, “<언해 태산집요>에 나타난 17세기 국어 부정법 고찰”, 언어과학연구 24, 언어과학회.
이태욱, “《언해 두창집요》에 나타난 17세기 국어 부정법 고찰”, 어문학 79, 한국어문학회.
이태호·송일기, “초편본 <삼강행실효자도>의 편찬과정 및 판화양식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25, 서지학회.
이해준, “고문서 분류체계 시안”, 고문서연구 22, 한국고문서학회.
이현희, “<Corean Primer>의 문법 의식 연구”,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 교재 및 이중언어교육 발표논문집, 이중언어학회·국제고려학회·북경외국어대학.
이호권, “두시언해 중간본의 판본과 언어에 대한 연구”, 진단학보 95, 진단학회.
임혜원, “<노걸대> 언해류에 나타난 공간 개념 은유 연구”, 한말연구 13, 한말연구학회.
장경준, “『유가사지론』점토석독구결의 "지시선"에 대하여”,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장경준, “점토석독구결 자료의 판독 및 해독 결과 기록 방안­<유가사지론> 권5, 8을 대상으로­”, 제28회 구결학회 전국학술대회 논문집, 구결학회.
장경준, “점토석독구결에서 구결자 ‘’에 대응되는 구결점에 대하여 -『유가사지론』권5, 8을 대상으로-”, 한국어학 19, 한국어학회.
장영준, “[서평/논평] 생성문법과 한국어 기술­라즈닉의 동일절 조건과 ECM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19, 한국어학회.
장윤희, “[제30회 한국고전연구 심포지엄] 『대명율직해』의 서지학적 고찰”, 진단학보 96, 진단학회.
장향실, “중세국어시기 고유어 표기에 쓰인 의 음가에 대하여”, 어문논집 48, 민족어문학회.
전수태, “楞嚴呪 解義(3)”,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전수태, “파니니 문법과 우리말의 규범생성문법”, 한국어학 19, 한국어학회.
정경일, “한국한자음의 상고음적 특성”, 어문논집 47, 민족어문학회.
정경일, “화동정음 동음의 운모 중성”,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정광, “한반도에서 한자의 수용과 차자표기의 변천”,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정구복, “한국 고문서의 특징­명칭문제를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22, 한국고문서학회.
정긍식·조지만, “[제30회 한국고전연구 심포지엄] 조선 전기 <대명율>의 수용과 변용”, 진단학보 96, 진단학회.
정승철, “『국어문법』(주시경)과 English Lessons”, 국어국문학 134, 국어국문학회.
정승철, “주시경(周時經)의 음학(音學)-산제본(刪除本) 『말』을 중심으로-”, 어문학교육 26, 한국어문교육학회.
정승혜, “가난한 선비들의 <四書諺解>”, 문헌과 해석 23, 문헌과해석사.
정승혜, “천령 현씨가의 고문서와 묘지”, 문헌과 해석 22, 문헌과해석사.
정언학, “중세국어‘-어 이셔〉-에셔〉-어셔’의 문법화에 대한 연구”, 어문연구 31-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정용길, “개역한글성경(1961)의 속격조사”, 인문논총 10,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정재영, “백제의 문자 생활”, 구결연구 11, 구결학회.
정진영, “고문서 정리카드와 서술규칙”, 고문서연구 22, 한국고문서학회.
齊藤明美, “<交隣須知>에 대하여”,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과 교재 및 이중언어교육 발표논문집, 이중언어학회·국제고려학회·북경외국어대학.
조규태, “용비어천가 노랫말 교감”, 어문학 80, 한국어문학회.
조규태, “국어의 초성 이응 음에 관한 연구”, 어문학 79, 한국어문학회.
조남호, “『현대신어석의(現代新語釋義)』고(考)”, 어문학교육 26, 한국어문교육학회.
조성문, “최적성이론에 의한 /ᅀ/의 통시적 변화 고찰”, 언어학 11-2, 대한언어학회.
조성문, “하향적 이중모음에 대한 통시적 고찰”, 언어 28-4, 한국언어학회.
조영복, “1930년대 신문 학예면과 모국어 체험”, 어문연구 117,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조항범, “‘갓[妻]’ 계열 어휘의 어원과 의미”, 국어학 42, 국어학회.
조형진, “고활자 인쇄기술의 평가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25, 서지학회.
조희정, “근대 계몽기 어문 교과의 형성에 관한 연구­근대 계몽기 학술 잡지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6 국어교육학회.
진태하, “계림유사 역어부 정해를 위한 연구”, 새국어교육 66, 한국국어교육학회.
차재은, “15세기 우리말의 후음 관련 문제들”, 한국어학 20, 한국어학회.
천소영, “수원·화성 지역의 지명에 대하여”, 『국어학의 새로운 조명』, 역락.
최낙복, “김규식 문법의 통어론 연구”, 한글 261, 한글학회.
최남희, “고구려어 표기 한자음 형성 자질과 그 .어휘연구”, 한글 262, 한글학회.
최남희, “양주동의 「고가연구」 고찰”, 한힌샘 주시경 연구 16, 한글학회.
최명옥, “구미음운이론의 수용과 한국어 음운론”, 관악어문연구 28, 서울대 국문과.
최성호, “통시적 공시성에 기반하는 자연언어 연구방법론­한국어 교착소 ‘잖’의 역사적 발달을 중심으로­”, 인문학지 26, 충북대 인문학연구소.
최영미, “안면지역어 'ㅚ', 'ㅟ'의 음소 설정에 관한 연구”, 한말연구 12, 한말연구학회.
최용기, “한글 띄어쓰기의 변천 연구”, 국문학논집 19, 단국대 국문과.
최윤곤, “간경도감의 실체와 불전 간행 사업”, 인문사회과학논문집 31, 광운대.
최전승, “중세국어 '-난 커니와'에서 공시적 방언형 '-은(는)커녕' 계열까지의 통시적 거리-문법화의 한 가지 양상- ”, 우리말글 27, 우리말글학회.
최중호, “'音'의 이중적 음가에 대하여”, 한말연구 12, 한말연구학회.
최중호, “고려 시대 석독 구결의 ‘-ㄹ이름법’ 연구”, 새얼어문논집 15, 새얼어문학회.
한정한, “[서평/논평] 문법의 의미­언어가 어떻게 개념을 구조화 하는가­”, 한국어학 19, 한국어학회.
허원욱, “16세기 어찌마디의 통어론적 연구”, 한말연구 12, 한말연구학회.
홍사만, “북한어 연구의 어제와 오늘”, 평화연구 28, 경북대 평화문제연구소.
홍사만, “중세·근대국어 어휘의미 연구(9) -의존명사 「」와 「줄」의 의미분석”, 어문론총 38, 한국문학언어학회.
홍사만, “중세·근대국어 의존명사 「줄」의 분포와 의미”, 영남학 3,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홍윤표, “국어학 연구 업적 평가의 제문제”, 국어국문학 134, 국어국문학회.
홍윤표, “근대국어의 생획토­<소학제가집주>의 소개­”, 한국어학 20, 한국어학회.
황선엽, “구결자 "근"의 해독에 대하여”, 구결연구 10, 구결학회.

<기타>

권혁채, “‘국어 순화지’에 대하여”, 한글새소식 368, 한글학회.
박지홍, “우리말 연구의 흐름 (5-2)­양명학의 등장과 다시 일어나는 정음학­”, 한글새소식 365, 한글학회.
이강로, “[서평] 도수희 지은 ≪한국의 지명≫을 읽고”, 한글새소식 373, 한글학회.
이호영, “[서평] 이현복 선생의 ≪한국어 표준 발음 사전≫”, 한글새소식 366, 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