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도 국어학의 주요 일지
국어 정책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형태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통사론 연구 동향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사전 편찬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문자·표기 연구 동향 논저 목록
방언·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논저 목록
기타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논저 목록

  Ⅲ. 국어학 관계 문헌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정책
<단행본>

강희숙, 『국어 정서법의 이해』, 태학사.
국립국어연구원, 『2003년 신어』(책임자 : 박용찬).
국립국어연구원, 『국어 순화 자료집』(담당자 : 최용기).
국립국어연구원, 『국어 순화 정책 연구 보고서』(담당자 : 최용기·민현식·이정복).
국립국어연구원, 『국어교과서의 문장 실태 연구-국정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담당자: 최용기·이병규·김정우·허철구).
국립국어연구원, 『국어학 용어 분류 체계에 대한 연구』(담당자 : 임홍빈).
국립국어연구원, 『국정 연설문의 실태』(담당자 : 김희진·허철구).
국립국어연구원, 『남북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제 2차 남북 국제 학술 회의 논문집-민족 고유어의 통일적 발전과 방언 조사 연구-』(담당자 : 이승재).
국립국어연구원, 『남북 언어 순화 자료 협의를 위한 기초 연구』(담당자 : 이승재).
국립국어연구원, 『북남 대역 사전을 위한 기초 연구』(담당자 : 양명희).
국립국어연구원, 『북한 사전 미등재어 조사 연구』(담당자 : 전수태).
국립국어연구원, 『북한의 우리말 의미 연구 자료집』(담당자 : 전수태).
국립국어연구원, 『신문 문장 분석-사설, 칼럼을 중심으로-』(담당자 : 김세중).
국립국어연구원, 『실용문 실태 연구-인사말, 질의, 응답문, 공지문, 보도 자료-』(담당자 : 양명희·신선경·이은경·남미혜·장소원·양정호).
국립국어연구원, 『어문 규범 준수 실태 조사 Ⅳ』(담당자 : 정희원).
국립국어연구원, 『언론 외래어 순화 자료집』(담당자 : 최용기).
국립국어연구원, 『전면 개정을 대비하여 쉽게 고쳐 쓴 우리 민법』(담당자 : 김문오·홍사만).
국립국어연구원, 『한국 현대 소설의 어휘 조사 연구』(담당자 : 김한샘).
국립국어연구원, 『현대 국어의 준말 목록』(담당자 : 김희진).
김광해,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김중섭, 『국제고등학교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 교육정책과제, 교육인적자원부.
김지형, 『우리말 알고 쓰기』, 도서출판 경진문화사.
문태식, 『우리말 띄어쓰기 길잡이』, 세진사.
문화관광부, 『글꼴 2003』.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책임자 : 임용기).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말뭉치 활용 방안 연구보고서』(책임자 : 전상훈).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문자코드 표준화 연구 연구보고서』(책임자 : 정우봉).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옛문헌한글글꼴발굴·복원연구-19·20세기 문헌을 중심으로-연구보고서』(책임자 : 박병천).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전문용어의 정비 연구보고서』(책임자 : 최기선).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전자사전개발 연구보고서』(책임자 : 홍재성).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 『한민족 언어 정보화 연구보고서』(책임자 : 박형익).
문화관광부·국립국어연구원·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국어정보화 연구인력 양성 사업보고서』(책임자 : 이익환).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2003년도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 학술대회 개최 최종 보고서』(담당자 : 김중섭).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3년도 한국어 국외 보급 사업 교육·연수 분과 1 “예비 교사·현직 교사 교육용 교재 개발” 최종보고서』(담당자 : 조항록).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3년도 한국어 국외 보급 사업 교육·연수 분과 2 한국어 교사 인증제 평가 문항 개발과 인증제 시행 결과 분석 연구 최종보고서』(담당자 : 민현식).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3년도 한국어 국외 보급 사업 교육·연수 분과 3 “한국어 교육 총서 3 『한국어 문법 교육』” 개발 최종보고서』(담당자 : 한재영).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3년도 한국어 국외 보급 사업 교육·연수 분과 4 한국어 전문가 파견 및 한국어 교사 초청 연수 사업 최종 보고서』(담당자 : 고성환).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3년도 한국어 국외 보급 사업 기초 교육 자료 분과 1 “한국어” 중급 1 실물 교재 및 워크북 개발 최종 보고서』(담당자 : 김정숙).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3년도 한국어 국외 보급 사업 기초 교육 자료 분과 2 “한국어” 중급 2 교재 개발 최종보고서』(담당자 : 이해영).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3년도 한국어 국외 보급 사업 보급·지원 분과 2 “한국어 세계화 단위기지 개발 (계속과제 : 3차년도) 최종보고서”』(담당자 : 윤희원).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3년도 한국어 국외 보급 사업 보급·지원 분과 3 2003년도 제4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개최 최종보고서』(담당자 : 김중섭).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세계화 기반 구축을 위한 2003년도 한국어 국외 보급 사업 보급·지원 분과 3 Web Korean 개선 및 다국어화 2단계 작업 (계속 과제 : 3차년도) 최종보고서』(담당자 : 유석훈).
박영준 외, 『한국어가 사라진다면』, 한겨레신문사.
박정규, 『국어 연구의 몇 국면』, 보고사.
박창원 외, 『남북의 언어와 한국어교육』, 태학사.
우리어문학회, 『남북한 어문 규범과 그 통일방안』, 국학자료원.
이성복, 『우리말 바른 표기』, 세창미디어.
이정희,『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연구』, 박이정.
이주행 외, 『경찰대 명사 선집』, 국립경찰대학.
이현복, 『한국어 표준발음사전』, 서울대 출판부.
임창호, 『잘못씌는 말 바로쓰기』, 집문당.
차재은·정명숙·이봉원·장향실·이동석·김정우, 『방송 언어와 국어 연구』, 월인.
최병선, 『한글 정서법의 실제와 원리』, 경진문화사.
최용기, 『남북한 국어정책 변천사 연구』, 박이정.

<학위논문>

김수정,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수현, <외래어 표기법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연희, <한글 단어 처리에서 음운정보의 역할-지연과제를 사용한 1음절 단어 처리를 중심으로->, 부산대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 학위 논문.
김정숙, <한글 맞춤법의 문제와 개선 방향-시대별 변천과정에서 본 받침규정을 중심으로->, 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안태형, <통신 언어 표기의 실태 연구>, 동아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재신, <한국 영화 제목에 나타난 언어 실태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재아, <교단 폭언 실태 조사 연구>,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미선, <남북한의 언어 정책과 띄어쓰기 규범에 대한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옥수,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잘못된 표기와 표현 실태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항록, <한국 정부의 제외 동포 정책 연구-한국어 교육 정책을 중심으로->, 동국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천수정, <남북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표기 및 어휘 비교 연구>, 건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원복, <컴퓨터 통신언어의 실태와 개선 방향>, 원광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일반논문>

강승혜, “한국어 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 교육 14-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권재일, “남북 언어 표준화를 위한 문법론 대조 연구”, KBS 한국어 연구논문 54,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김민수, “[특집:남북한 어문규범과 그 통일방안] 남북의 언어통합과 공용어”, 우리어문연구 20, 우리어문학회.
김슬옹, “학생 한글운동의 회고”, 말과글 97,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김슬옹, “한글과 한국어에 관한 교양책 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57, 전국국어교사모임.
김양진, “[특집:남북한 어문규범과 그 통일방안] 남북한 맞춤법 통일방안-형태 규범(표기법)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0, 우리어문학회.
김양진, “남북한 맞춤법 통일 방안-형태규범(표기법)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0, 우리어문연구회.
김영선, “품사 태그를 위한 형태 분석과 국어 맞춤법”, 우리말연구 13, 우리말학회.
김정우, “국어 교과서의 문장 사용 실태 조사(2)-어미와 조사를 중심으로-”, 교육이론과 실천, 경남대 교육문제연구소.
김정우, “국어 교과서의 외국어 번역투에 대한 종합적 고찰”, 배달말 33, 배달말학회.
김지형,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기본한자의 선정”, 어문연구 118,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지형,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교수법”, 국제어문 27, 국제어문학회.
김혜정, “일제 강점기 ‘조선어 교육’의 의도와 성격”, 어문연구 31-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희진, “신경과학 의료문의 국어학적 고찰”, 신경정신과학 42-2, 신경정신과학회.
김희진, “표준 화법의 요건과 보급 방안”, 새국어생활 13-1, 국립국어연구원.
려증동, “<국어>라는 말은 어불성으로 벌소리이다”, 배달말교육(모국어교육) 24, 배달말교육학회.
리의도, “한글 낱자의 남북 차이에 관한 고찰”, 국제어문 28, 국제어문학회.
민현식, “국어 정책의 선진화 방안”, 박희숙 교수 퇴임기념논총,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민현식, “국어정책 60년의 평가와 반성”, 선청어문 31, 서울대 국어교육과.
민현식, “언어 규범 정책의 방향”, 국어교육연구 12,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박덕유, “국어 어문규정의 인지 실태와 교육의 필요성”, 새국어교육 66, 한국국어교육학회.
박시균·권병로, “남북한 언어에 대한 비교 연구-발음과 어휘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38, 국어문학회.
박홍길, “우리말에 대한 의식과 정책 및 그 여론-광복 후 신문에 비친 양상-, 새얼어문논집 15, 새얼어문학회.
배석주, “국어의 외국어 문자 표기법 표기체계의 비교 연구”, 일어교육 24, 한국일본어교육학회.
서태길, “[특집:남북한 어문규범과 그 통일방안] 남북한 국어사전과 통일방안-<조선말대사전>과 <표준국어대사전>의 체제와 형식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0, 우리어문학회.
신경철, “한글의 효과적인 교육방안”, 상지영서대학 지역개발연구 11, 상지영서대학.
신승용, “표준발음의 실제와 표준발음법 교육의 필요성-중등교육을 중심으로-”, 어문학교육 26, 한국어문교육학회.
양병선, “우리말 한자 인명 로마자표기에 관한 연구”, 언어학 11, 대한언어학회.
이봉원, “[특집:남북한 어문규범과 그 통일방안] 남북 표준 발음의 통일방안”, 우리어문연구 20, 우리어문학회.
이선웅, “띄어쓰기에 관한 몇 가지 문제”, 국어국문학 134, 국어국문학회.
이성영, “실용 국어 능력 배양을 위한 방안”, 어문연구 31-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이정복, “사회언어학에서 본 국어 순화의 문제점”, 사회언어학 11-2, 한국사회언어학회.
이정복, “통신 언어의 표준 화법”, 새국어생활 13-1, 국립국어연구원.
이주행, “남한과 북한의 ‘표준 발음법’의 통일 방안에 대한 고찰”, 언어와 진실, 국학자료원.
이주행, “남한어와 중국 조선족 사회의 언어 비교 연구”, 언어과학연구 25, 언어과학회.
이주행, “신문의 언어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6, 국어교육학회.
이충우, “어휘 교육의 중요성과 교육용 어휘 선정의 필요성”, 삶과 교육(안병초 비안네 수사 고희기념 논문집), 가톨릭문화원.
정경일, “[특집:남북한 어문규범과 그 통일방안] 로마자 표기법의 남북통일방안”, 우리어문연구 20, 우리어문학회.
조규태, “표준어 교육과 지역 언어 교육”, 한글 262, 한글학회.
조영희, “올바른 띄어쓰기 방안-<한글 띄어쓰기 사전> 편찬의 변-”, 새국어교육 66, 한국국어교육학회.
차재은, “언어 규범과 방송 언어의 오류 문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방송 언어와 국어 연구』, 월인.
최기호, “남북한의 국어통일과 정보통신 용어”, 인문과학연구 13, 상명대 인문과학연구소.
최용기, “남북 순화 용어, 통일 방안은 무엇인가?”, 국립국어연구원 학술세미나자료집, 국립국어연구원.
최용기, “국어정책”, 국어학연감, 국립국어연구원.
홍사만, “북한어 연구의 어제와 오늘”, 평화연구 28, 경북대 평화문제연구소.
홍사만, “우리 민법 속에 남아 있는 일본어식 용어(1)-격조사 용법을 중심으로-”, 한일언어문화연구 7, 한일언어문화연구소.

<기타>

구법회, “학교에서 쓰는 말 다듬기”, 한글새소식 371, 한글학회.
권혁채, “‘국어 순화지’에 대하여”, 한글새소식 368, 한글학회.
김문오, “제품 설명문의 순화 (10)”, 새국어소식 58,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문오, “제품 설명문의 순화 (11)”, 새국어소식 59,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문오, “제품 설명문의 순화 (6)”, 새국어소식 54,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문오, “제품 설명문의 순화 (7)”, 새국어소식 55,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문오, “제품 설명문의 순화 (8)”, 새국어소식 56,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문오, “제품 설명문의 순화 (9)”, 새국어소식 57,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김석득, “새 정부에 바라는 것-깊은 뿌리, 깊은 샘의 말글 정책-”, 한글새소식 365, 한글학회.
김승철, “북한의 외래어 현실과 전망”, 한글새소식 373, 한글학회.
김영환, “말글 정책의 올바른 방향-특정 학맥이 뒤흔드는 말글 정책, 국어 연구원을 개편하자-”, 한글새소식 365, 한글학회.
김정섭, “‘한국말 기본법’ 바로 만들기”, 한글새소식 373, 한글학회.
김정섭, “우리말 정책의 방향”, 한글새소식 374, 한글학회.
김정수, “국어 기본법안의 세 가지 문제점”, 한글새소식 369, 한글학회.
문제안, “우리는 겨레의 핏줄 이어 주는 고리-물려줄 우리 말·글, 곱게 다듬어 쓰자-”, 한글새소식 373, 한글학회.
민현식, “국어 정책 60년의 반성과 교훈”, 새국어소식 63,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박붕배, “국·한 혼용 교육을 버리고 한글 전용 교육을 해야 할 까닭-국·한 혼용 교육 여부에 대한 답신-”, 한글새소식 367, 한글학회.
성기지, “말글 규범은 왜 필요한가?”, 한글새소식 376, 한글학회.
양명희, “내가 할게/내가 할걸”, 새국어소식 60,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유동삼, “높임말 갈고 닦기”, 한글새소식 372, 한글학회.
유동삼, “우리말 바르게 쓰기 운동에 힘을 모으자”, 한글새소식 369, 한글학회.
유성호, “바람직한 말글살이를 위하여”, 한글새소식 369, 한글학회.
이건범, “‘다르다’와 ‘틀리다’”, 한글새소식 366, 한글학회.
이대로, “우리 말글을 빛낼 좋은 법을 만들자”, 한글새소식 369, 한글학회.
이상태, “국어 기본법안을 읽고서”, 한글새소식 370, 한글학회.
이설아, “‘돌맹이’와 ‘돌멩이’”, 새국어소식 59,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ㄱ20031000 남기심, “문화 유산으로서의 국어”, 새국어소식 63,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설아, “‘어딜 간 게냐’와 ‘어딜 간 거냐’의 차이”, 새국어소식 56,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설아, “대중가요 노랫말의 국어 오용 사례”, 새국어소식 57,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수열, “국어 기본법 제정에 관해 문화관광부장관께 드리는 의견서”, 한글새소식 369, 한글학회.
이운영, “‘연구 원장’은 없습니다”, 새국어소식 59,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눈 여겨 보다? 눈여겨보다!”, 새국어소식 54,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의 띄어쓰기”, 새국어소식 58,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보조 용언의 띄어쓰기”, 새국어소식 55,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우리말에서 쓰이는 외래어”, 새국어소식 60,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이운영, “지명의 띄어쓰기”, 새국어소식 57,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봉도, “일부 방송 출연자들의 일본말 남용 사례”, 한글새소식 371, 한글학회.
정호성, “‘가지다’와 ‘갖다’”, 새국어소식 62,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예/아니요’로 대답하시오”, 새국어소식 61,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떡볶이/떡볶기”, 새국어소식 65,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벌에 쏘였다/쐬었다”, 새국어소식 63,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살어? 말어?”, 새국어소식 59,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자장면은 붇기 전에 드세요”, 새국어소식 58,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저는 주영이예요”, 새국어소식 54,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호성, “한 살배기 아기”, 새국어소식 64,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정희원, “새 축구 감독 이름은 ‘코엘류’로”, 새국어소식 56,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조상현, “국어 기본법안, 한글 전용법에서 나아진 게 없다”, 한글새소식 369, 한글학회.
조재수, “윤동주의 글쓰기와 글다듬기”, 한글새소식 371, 한글학회.
천민홍, “한글 전용은 국어 정책의 기본이다”, 한글새소식 368, 한글학회.
천영수, “모아쓰기와 풀어쓰기에 대하여”, 한글새소식 366, 한글학회.
최인호, “올곧은 말글법을”, 한글새소식 369, 한글학회.
현남섭, “우리말을 갈고 닦게 하는 틀”, 한글새소식 372, 한글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