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교육
<단행본>
교육부, 『정보통신 언어의 순화 및 정보윤리교육의 학교교육 활용 방안 연구』, 연구 보고서.
교육부, 『초등 국어과 교실 평가 기법 개발 및 현장 적용 방안 연구』, 연구 보고서.
김재봉·염창권·천경록·임성규, 『수준별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교육과학사.
김진우, 『언어습득의 이론과 실상』, 한국문화사.
노금송, 『시사한국어』, 한국문화사.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개발(1차년도) 최종보고서』, 보고서.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교사 교육·연수 프로그램 교과 과정 및 교수 요목 개발 최종보고서』, 보고서.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교원 자격 인증 제도 시행 방안 개발 최종보고서』, 보고서.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말하기 듣기 교과서 교사용 지침서』, 보고서.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문형 사전의 개발(2차년도) 최종보고서』, 보고서.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발음 교육 개발 최종보고서』, 보고서.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초급(말하기·듣기) 교사용 지침서 개발 최종보고서』, 보고서.
문화관광부·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초급(읽기·쓰기) 실물 교재 개발 최종보고서』, 보고서.
박경자·조인정·강혜순, 『e-언어학습­이론과 실제­』, 박영사.
박미경·김정은·이소영, 『숙명 한국어 STUDENT BOOK』, 한학문화사.
박미경·김정은·이소영, 『숙명 한국어 WORK BOOK』, 한학문화사.
박수자, 『읽기 지도의 이해』, 서울대 출판부.
박영목, 『독서교육론』, 박이정.
박영목, 『작문교육론』, 박이정.
박영목·한철우·윤희원, 『국어과 교수 학습론』, 교학사.
박영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월인.
성환갑·이주행·이찬규, 『현대인을 위한 글쓰기의 이론과 활용』, 동인.
소강춘·원동연·주경미, 『정보의 빠른 이해와 창의적 표현을 위한 언어 능력 향상의 길잡이 1~3』, 박이정.
신헌재·길형석·이재승·이경화·김도남·임천택,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수업 방안』, 박이정.
신헌재·이재승,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박이정.
신현숙·배덕희·김미란, 『의미로 분류한 한국어·일본어 학습사전』, 한국문화사.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엮음,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2­회화·시청각·인터넷­』, 태학사.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한국어 활용연습 1~3』, 연세대 출판부.
우리어문학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국학자료원.
우인혜, 『한국어 중급 1(영어판)』, 생각하는 백성.
우인혜, 『한국어 중급 1(일어판)』, 생각하는 백성.
우인혜, 『한국어 중급 1(중국어판)』, 생각하는 백성.
우인혜, 『한국어 중급 2(영어판)』, 생각하는 백성.
우인혜, 『한국어 중급 2(일어판)』, 생각하는 백성.
우인혜, 『한국어 중급 2(중국어판)』, 생각하는 백성.
유성기, 『초등 국어지식 교육론』, 박이정.
유수열, 『판소리와 매체언어의 국어교과학』, 역락.
윤용식·박태상·조남철·장부일·장소원, 『글쓰기의 기초』, 한국방송통신대 출판부.
이경화, 『읽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이대규, 『국어교육론』, 교육과학사.
이재승,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교육과학사.
이주섭, 『말하기·듣기 교육의 이해』, 박이정.
이지호, 『글쓰기와 글쓰기 교육』, 서울대 출판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말이 트이는 한국어 3 Work Book』, 이화여대 출판부.
이화형·유진월, 『글쓰기의 새로운 지평』, 박이정.
임홍빈·한재영·유문선·이석록·김성규, 『국어생활』, 법문사.
임홍빈·한재영·유문선·이석록·김성규, 『국어생활 지도서』, 범문사.
전정재, 『독서의 이해』, 한국방송출판.
정기철, 『논술교육과 토론』, 역락.
정기철, 『인성교육과 국어교육』, 역락.
정상균·김영욱·한형구 외,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천경록, 『국어과 수행평가와 포트폴리오』, 교육과학사.
최무전 외, 『고등학교 창의적 재량활동지도』, 대전교육과학연구원.
최영환·문정미·황현미, 『국어과 수행중심 평가­국어과 평가의 본질 탐색­』, 학문출판(주).
최인자, 『국어교육의 문화론적 지평』, 소명출판.
최인자, 『서사 문화와 문학교육론』, 한국문화사.
최재희, 『국어 교육문법론』, 조선대 출판부.
최현섭, 『초등학교 작문교육을 위한 작문교육이론 체계화 연구­기초이론 정립을 중심으로­』, 연구 보고서.
최현섭·박은주·곽지순·박창균·이지영, 『창의적인 쓰기 수업 어떻게 할까?』, 박이정.
하길종, 『언어 습득과 발달』, 국학자료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말하기·듣기 수업 방법 5』, 박이정.
허재영, 『국어과 교육의 탐색』, 박이정.
홍사만 외, 『표준한국어교본』, 경북대 어학당.

<학위논문>
강명희, <의미 범주화를 통한 어휘 지도 방안 연구­쓰기 활동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성춘, <국어 높임법 사용 실태에 대한 연구­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상지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수진, <한글 맞춤법의 교수·학습 방법>, 부산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영아, <한국어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과 성취도와의 관계­일본 대학 내의 한국어 교육상황에서­>,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용희, <초·중학생의 높임법 의식에 관한 연구>, 공주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윤천, <'이/가'와 '은/는'의 비교 연구­중·고등학교 국어 교육에서의 쓰임을 바탕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진경, <국어 교재로서 영상 텍스트의 활용 방안>,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한별, <중학교에서의 국어 지식 영역의 수준별 교수·학습 방안>,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강현주, <실업계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모형에 관한 연구­실업계 고등학생의 설문 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구민숙,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권순희, <대화 지도를 위한 청자 지향적 관점의 표현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경숙, <인터넷을 활용한 국어 지식 영역 수업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경자, <국어 쓰기 영역 수행 평가와 신뢰도 분석과 개선 방안>,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경지, <중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광석, <소집단별 체계적 마인드 맵 지도가 자기주도적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남현,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한국어 문화 교육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동혁, <신문활용교육(NIE)을 통한 국어 독해력 신장방안에 관한 연구>, 관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민성, <과정 중심적 웹기반 한국어 쓰기 교육>,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민정, <시각언어와 텍스트 구조화가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성태, <개념적 은유의 교수·학습방법>, 부산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소영,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체제 분석>,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양진, <다툼 대화 분석을 통한 말하기 교육 방법 연구>, 인천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용운, <초등학생의 국어 어휘력 신장 지도 방안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인숙, <한글 해득 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인천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자, <재일 한국인 일세의 한국어·일본어 혼용 실태 연구>, 숭실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정자, <필자의 표현 태도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정주, <인터뷰를 통한 국어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정훈, <화법 교육과정의 분석과 평가>, 부산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김주선, <국어교육으로서 방언교육 연구>,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철성, <마인드맵 기법 활용을 통한 국어 사용능력 신장 방안 연구>,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화영, <초등 학생용 국어 사전에 관한 비판적 연구>, 서울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남빅토르, <번역 과제 수행 중심 교수법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노남희, <질문생성 전략을 통한 신문 읽기 지도방안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노재은, <중국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간 표현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민 자, <오류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한국어 지도 방안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문제, <한글 맞춤법 교육 내용 선정>,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영하,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사용 실태에 따른 지도 방안>, 목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정안, <속담의 국어 교육적 의의와 지도방법>, 경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박현정, <남녀 학생간의 국어 과목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 차이 분석­제6차 교육 과정의 중학교 3학년의 경우­>,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배인선, <고등학교 국어 논술 지도 및 평가 실태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배정환, <웹 기반 국어 표준발음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진주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서봉수, <중학교 국어교과서 학습과제 분석­1학년 1학기 읽기 영역 단원 중심으로­>, 부산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성명희, ,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성선월, <한국어의 조건 표현 어미의 교육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성창숙,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외래어 연구>, 진주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시옥순, <청각장애 학생의 문장 오류 분석>, 경남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신진아, <올바른 문장 쓰기를 위한 국어 지식 교육 연구­제7차 교육 과정의 『문법』을 중심으로­>, 성신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싯티니 탐마차이, <한국어 쓰기 지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아딘다, <인도네시아 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양진숙, <중학교 국어문법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품사지도를 중심으로­>, 목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여경선,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오복섭, <매체언어를 통한 국어교육 방법연구>,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우선미, <흥미있는 국어수업을 위한 판소리 활용방안>,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윤도, <국어의 관형절 분석과 지도 방법>,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유인석, <어휘 지도가 국어과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상원, <글쓰기에 나타난 국어 사용상의 오류 분석­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글쓰기 실태를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석묵,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동시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연진, <한국어 학습자의 장독립성-장의존성 인지양식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윤창근, <국어 수업에서 교수 매체 활용 방안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계선, <토의학습 사회자 훈련프로그램 적용이 토의학습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문숙, <교사들의 표준 발음 실태 연구>, 한남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미영,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연구-발화오류자료의 전산코딩을 이용하여->,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상현, <정보통신기술(ITC)활용 국어수업방법의 연구>, 경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세영, <초등학교 국어(읽기)교과서 이야기 단원의 주제분석­6차 교육과정 3, 4, 5, 6학년을 중심으로­>, 중부대 인문사회과학대학원 석사
이승만, <웹 기반 교육의 국어교과 적용­영역별 웹 교수·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영미, <수업 대화의 이탈 현상과 복귀 전략에 관한 기술적 연구>, 인천교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영아, <광고언어의 국어교육적 효용성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영주, <한자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한자어가 국어 어휘에 미친 영향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용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 결과 분석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원섭,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언어영역에 대한 연구>,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월순, <외솔 최현배의 교육사상이 국어교육에 미친 영향>,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윤희, <국어 사용능력 평가 방안 연구>,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은남, <국어 음운교육 연구>,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재욱,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어휘교육방법 연구­어휘정보처리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정선,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국어사 교육 내용 분석>,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종출, <국어과 읽기 지도 방법과 평가 방법 연구­고등학교 국어교과서(하) 읽기 단원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지혜, <중학생의 국어발음 실태 조사 연구­청주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세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창근, <국어 색채어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초등 학교 「읽기」 교과서를 중심으로­>, 대구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이춘근, <문법 교육의 목적과 내용 체계 연구>, 부산대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장만식,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어종별 어휘 빈도수 조사 연구­체언을 중심으로­>, 경기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전미순, <일본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전진호, , 충북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석범,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방법 연구­언어 기능 영역의 통합을 중심으로­>, 인천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인석,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체제에 대한 연구­현행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영재용 국어 교과서 시안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정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고찰­한국어 교육의 변천과 현황에 대하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정혜진, <한국어 비모어 화자 간 대화 연구>, 연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은선, <문제 해결 중심의 쓰기 전략 지도 연구>, 국민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중행, <남북한 학교문법 비교 연구­중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인천교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채윤희, <영어권 화자의 한국어 대우 표현의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명주, <남북한 언어 차이 극복을 위한 국어교육 방안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점순, <국어과 쓰기 교육에 대한 지도 방안 연구­중학교 생활국어를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진영,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현주, <함축적 표현연구­국어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세종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최형윤, <상위인지 활성 훈련에 의한 독해 능력 향상 연구>, 한양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카츠타 사토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하화정,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다의어 교육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상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말 연구>, 경희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허종원, <신문 사설에 나타난 국어 오·남용 사례 연구­어휘적·통사적 오류를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홍서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학 텍스트 분류 방안>, 아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홍효식, ,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잡지>
가와모토 고지, "일본어 교육과 문학 교육",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강내원, "시사 토론 프로그램의 비판적 시청과 미디어교육적 함의",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강병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국어 음성독본(1학년 1학기용)", 초등학교 교육연구 1-3(현장교육자료집), 공주교대 초등교육연구소.
강병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국어 음성독본(2학년 1학기용)", 초등학교 교육연구 1-4(현장교육자료집), 공주교대 초등교육연구소.
강병륜, "호칭어 '아빠/아버지·엄마/어머니'에 대한 연구­초등학교 교과서의 부·모 호칭어 정립을 위하여­", 어문연구 29-2(110),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강석근·이희천, "한국어의 음운현상이 영어 발음 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어 26-3, 한국언어학회.
강종환·안영숙, "실내수업에서의 자질교육의 실시", 중국조선어문 114,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강해복, "초등학교 1학년 「읽기·쓰기」 영역 통합 교육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15, 춘천교대 국어교육학회.
강현화, "다의어의 분석과 교수 방안", 『국어 문법의 탐구 Ⅴ』(남곡 남기심 교수 정년퇴임기념), 태학사.
강현화·김창구, "어휘력 신장을 위한 기본 한자의 조어력 분석",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강혜원, "독서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함께여는 국어교육 48, 전국국어교사모임.
경규란, "홀리스틱 관점을 적용한 국어과 교육의 실제", 국어교육연구 15, 춘천교대 국어교육학회.
고길섶, "청소년들의 언어 어디로", 함께여는 국어교육 47, 전국국어교사모임.
고영근, "개화기 이후의 한글운동과 국어/민족어 교육의 양상",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고후순·김미녀, "유아의 읽기·쓰기를 위한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논총 4, 경성대 인문과학연구소.
곽동훈, "수필 지도의 원리와 방법", 배달말교육 22, 배달말교육학회.
곽재용, "국어과 쓰기 수행평가 도구 개발", 초등교육연구 11, 진주교대 초등교육연구소.
곽재용, "쓰기 평가 단계", 우리말글 22, 우리말글학회.
구자은, "담화분석,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인문논총 20, 울산대 인문과학연구소.
구현정, "대화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말하기 교육",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권미정, "교사와 학습자의 학습 방법 선호도 비교",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권순희, "호주의 자국어 실라버스와 교과서 분석",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기타무라 다다시, "일본의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구성과 제재에 대한 분석­텍스트 이론의 응집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길영재, "초등학교 아동의 공식적인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 함양 방안 연구", 국어교육연구 15, 춘천교대 국어교육학회.
김경숙, "현장교사의 국어 교과서 분석", 함께여는 국어교육 48, 전국국어교사모임.
김경자, "국어 쓰기 영역 수행 평가의 신뢰도 분석과 개선 방안", 수련어문논집 26·27, 수련어문학회.
김경주,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기석, "휴대전화 문자 언어의 실태 분석과 국어 교육적인 방안",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김도남, "다중 텍스트를 활용한 작문 지도 방법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 1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도남,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읽기지도를 위한 전제", 한국어문교육 10, 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김도남,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텍스트 이해 단계 설정 검토",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김도남, "언어와 교과의 내면화", 청람어문교육 23, 청람어문교육학회.
김동일, "읽기 오류 분석에 대한 탐색적 연구",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김명순, "읽기 교수 학습에서 과제의 구안 원리",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김명희, "이해를 위한 교수모형을 적용한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김문웅, "언어 생활의 바른 길", 초등국어교육연구 1, 대구경북초등국어교육학회.
김미옥, "맞춤법 오류에 관한 연구­재미 교포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김병환, "초등학교 독서 교육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연계성 연구", 교육논총 18, 중앙대 교육대학원.
김보옥, "창의력배양을 념두에 둔 수업모식", 중국조선어문 114,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김봉군, "학교 독서 지도의 기본 과제",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김봉순, "구성주의적 읽기 교육의 텍스트언어학적 기반", 텍스트언어학 1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봉순, "국어교육을 위한 텍스트언어학",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김상돈, "말하기 듣기 평가에 대하여", 교육논총 3, 부산외대 교육대학원.
김상욱, "시적 상상력의 유형과 그 문학교육적 함의", 한국초등국어교육 1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상욱, "초등학교 아동문학 제재의 위계화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김석현, "목단강시 조선족 언어문자 교육 사용 상황연구", 중국조선어문 113,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김성도, "하이퍼텍스트의 글쓰기 공간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성곡논총 32상권, 성곡학술문화재단.
김수업, "국어교육과 아인슈타인", 함께여는 국어교육 49, 전국국어교사모임.
김수업, "지역 언어 문화와 국어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김수정, "한국어 교사를 위한 멀티미디어자료 개발에 대한 소고", 국어교육 106,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김슬옹, "글쓰기와 논술 교육에 대한 책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48, 전국국어교사모임.
김슬옹, "독서법과 독서교육에 관한 책 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47, 전국국어교사모임.
김슬옹, "말하기와 듣기에 관한 책 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49, 전국국어교사모임.
김슬옹, "어휘교육을 위한 책읽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50, 전국국어교사모임.
김슬옹, "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김승희, "초등학교 국어과 토론 교육의 방향점 모색", 국어교육연구 13,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김영만, "고급 수준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단원 구성 방안",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영만, "중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13,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김영만,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 방향", 외국어교육연구논집 15, 한국외대 외국어교육연구소.
김영아, "소비자 문화를 통한 학습: 텍스트, 이미지 및 테크놀러지", 이중언어학 19, 이중언어학회.
김옥규, "독서교육의 관점에서 본 정약용의 서간문", 어문연구 29-1(10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옥실·최원련, "글짓기에서의 상상방법 몇가지", 중국조선어문 115,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김용성·이춘자, "한국의 유교 문화와 한국어­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을 위하여­", 교육논총 21, 전북대 교육대학원.
김용재, "대중 매체 문화와 국어 교육", 『새 시대의 우리말 연구』(최창렬 교수 정년 퇴임 논문집), 역락.
김유정, "한국어 쓰기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13, 한국어학회.
김은주, "한국어 교육의 학문적 위상 정립과 학문으로서의 미래 조망",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김일화, "말하기 지도에 대한 약간의 체득", 중국조선어문 116,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김재수·임성규·김재봉·정경미, "즉흥사고를 이용한 글쓰기 전략 개발 연구", 초등교육연구 15-2, 광주교대 초등교육연구소.
김정련, "조선어문실내수업에서 학생들의 말하기능력을 배양한 소감", 중국조선어문 116,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김정우, "시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방법", 선청어문 29, 서울대 국어교육과.
김정은, "일본의 외국어로서의 일본어 교사 인증제도", 이중언어학 18, 이중언어학회.
김정은·이소영,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표준문법", 이중언어학 19, 이중언어학회.
김정자, "글쓰기에 대한 필자의 태도",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김정자, "텔레비전 뉴스의 비판적 시청과 국어교육적 함의",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제열, "한국어 교재의 문법 기술 방법 연구",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김주환, "『우리말 우리글』을 어떻게 활용할까?", 함께여는 국어교육 47, 전국국어교사모임.
김주환, "읽기 교육, 되짚어 보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49, 전국국어교사모임.
김중섭, "기록과 관찰을 통한 한국어 교수법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섭, "기록과 관찰을 통한 한국어 교수법 개선 방안 연구",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섭, "일본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교육방법", 2001년 한국어 교육 심포지엄, 일본한국어교육연구회·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주일한국대사관·한국문화원.
김중섭, "한국어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제1차 워크샵(한국어 교수법의 실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중섭,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법 연구", 한국문화연구 4, 경희대 민속학연구소.
김창원, "국어교육과 대중가요­대중가요 국어교육론의 필요성과 가능성­", 국어교육 104,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김창원, "중핵 텍스트에 대한 다중 접근을 통한 시교육 방법",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김춘화, "수업에서 토론조직의 예술성", 중국조선어문 114,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김충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어휘교육의 실제와 교수방법", 중국조선어문 116,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김풍기, "<연행가>의 교육적 독법­대타적 자아인식의 형성과 문화 상대주의­",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김하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인문학연구 8, 제주대 인문과학연구소.
김 현, "일본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장애음 오류 분석", 관악어문연구 26,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김혜숙, "광고 언어의 국어교육적 수용 방안과 실제­특히 문법 교육에 광고 언어를 적용하기 위하여­", 국어교육 10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김혜영, "내적 형식에 의한 수필 읽기의 가능성",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김혜영, "묘사적 표현에 나타난 대상 발견의 기제 연구",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혜영, "이미지의 작용 방식과 상상력 교육", 국어교육 10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김혜영, "지역문학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김혜정, "비판적 읽기를 위한 텍스트 분석 시론­읽기 연구에 있어서 텍스트 이론의 적용­", 텍스트언어학 1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김혜정, "비판적 읽기의 개념과 성격", 국어교육 10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김 흠, "세기교체의 시각에서 보는 현용초중조선어문교재의 현주소 및 미래지향적인 교재개혁자세", 중국조선어문 112,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나까가와 아끼오, "『장한몽』의 번안 형태에 대한 재검토",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나정순, "매체의 활용과 작문 교육",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남기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회고와 전망",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남기심, "자료 해제­Spoken Korean by Fred Lukoff­",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노마 히데키(野間秀樹), "한국어 모어화자의 일본어 피치악센트 교육을 위하여", 『한일어문학논총』(梅田博之교수 고희기념), 태학사.
노형남, "3차원 가상현실상의 한국어 공동원격 교육 제안", 이중언어학 19, 이중언어학회.
문금현, "구어 중심의 한국어 교재 편찬 방안에 대하여", 국어교육 10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문무영·김태훈, "개편된 북한 국어교과서의 체제와 내용­고등중학교 1~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29-3(11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문영진, "서사 교육의 방향 설정에 관한 일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문흥술, "국어, 문학 교육의 의의와 그 방향", 인문논총 8, 서울여대 인문과학연구소.
민병곤, "논증 이론의 현황과 국어 교육의 과제",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민의화, "조선어문교수에서 창신함량을 높이기 위한 질문설계", 중국조선어문 114,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민현식, "국어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어법 및 어휘의 수준별 교육 방안 연구, - 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교육과정을 대비하여 -", 국어교육 10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민현식, "국제 한국어 교사 자격 인증 제도 연구",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민현식, "국제한국어교사 자격 인증 제도 시행을 위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5, 서울대 국어교육과.
민현식,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어법 및 어휘의 수준별 교육 방안 연구­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교육과정을 대비하여­", 국어교육 10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민현식, "세계관 형성과 독서교육",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박갑수, "가축 어휘의 이미지와 표현을 통한 어휘 교육­한··영어의 비교­",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갑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어문연구 29-2(110),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박경숙, "대학생 한자능력 실태와 한자교육의 필요성", 어문연구 29-3(11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박경현, "언어 폭력 예방을 위한 국어 교육의 방향", 연구논문집 21, 경찰대학.
박기호, "청소년들의 문학 독서 실태",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박동혁, "조선어문 열독교수에서의 인문화교육", 중국조선어문 114,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박동호, "한국어 어휘기술 방법론과 어휘교육",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선희, "한국어 '-더라'의 교수 방안", 이화어문논집 19, 이화어문학회.
박안수·이경진, "창의적 사고·표현력 계발을 위한 국어과 자연체험 수업 사례", 함께여는 국어교육 47, 전국국어교사모임.
박영목, "쓰기교육과 읽기교육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연구의 동향", 텍스트언어학 1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영미, "통신 언어에 담긴 아이들 세상 구경하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48, 전국국어교사모임.
박영민, "작문 이론과 작문 교육의 대응", 한국어문교육 10, 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박영순, "학습자 언어와 한국어교육", 한국어 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인기, "사이버 문학과 문학교육", 문학과 교육 15, 문학과 교육 연구회.
박혜영, "글의 최상위 구조 파악 전략이 설명문 이해 및 회상에 미치는 효과",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방인태, "문학교육에 있어서 문학사 교육의 위상과 역할", 한국초등국어교육 1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방인태, "문화생산 언어(음성)교육의 효과적 방안", 어문연구 29-2(110),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방정자, "재외동포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말하기·듣기·발음 지도­",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배주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사전의 방향", 성심어문논집 23, 성심어문학회.
배현숙, "한국어 교육과정의 현황과 문제점", 우리어문연구 17, 우리어문학회.
백봉자,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본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과제",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백봉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문법­피동/사동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변신원, "문학 속에 드러난 민족 문화의 자취와 외국인에 대한 문학 교육",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서상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과 학습자 말뭉치",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서상규,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와 한국어 교육", 제52회 조선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조선학회.
서울국어교사모임,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어떻게 가르칠까?", 함께여는 국어교육 47, 전국국어교사모임.
서유경, "사이버 공간에서의 문학교육", 문학과 교육 15, 문학과 교육 연구회.
서종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에 대한 시고", 울산어문논집 15, 울산대 인문대학 국어국문학부.
서 혁, "중학교 1학년을 위한 『우리말 우리글』 분석", 함께여는 국어교육 47, 전국국어교사모임.
서혜경, "제7차 교육과정의 '국어 지식' 영역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33, 국어교육학회.
선주원, "패러디를 활용한 허구적 글쓰기 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성낙일, "발음지도에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상명대 인문과학연구 10, 상명대 인문과학연구소.
성숙자, "단계별 문자쓰기 지도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 10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성희제, "외국인의 한국어음운의 발음과 교육 방법 연구", 한밭한글 6, 한글학회 대전지회.
손병국·오정란·조규일·최기용·한지현, "글쓰기 교육과 한문 교육의 앞으로의 방향", 인문사회과학논문집 29, 광운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손호민,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미래 조망",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송영일, "한문 교육 평가 방법과 실제적 적용", 한국어문교육 10, 교원대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송재섭, "TV 교육방송을 활용한 국어과 수업 연구", 국어교육연구 15, 춘천교대 국어교육학회.
신동일, "일반화가능도 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한 말하기 평가도구 타당도 검증 연구", 응용언어학 17-1, 한국응용언어학회.
신동흔, "사이버 세상과 문학적 소통", 문학과 교육 15, 문학과 교육 연구회.
신병식, "교과별 독서지도 프로그램 개발·적용을 통한 고등 사고 기능 신장",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신영란, "고중조선어문교수에서 예습을 잘 조직하여 교수효률을 높였다", 중국조선어문 114,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신현숙·이지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맛­",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신형욱, "문제 유형과 난이도 및 변별력의 상관관계", 외국어교육연구논집 15, 한국외대 외국어교육연구소.
심영택, "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국어 지식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 1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안도현석문진중심소학교, "글짓기지도에서 개성특징을 발전시키기 위한 수업구성탐구 실험보고", 중국조선어문 115,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안주호, "교양국어에서의 대화교육", 국어국문학 128, 국어국문학회.
양경희, "총체적 언어 교육의 재개념화 시론",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양승희, "높임법 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안의 연구", 자하어문논집 16, 상명어문학회.
양태식, "국어 지식 영역의 내용", 초등 국어 교육 11, 초등국어교육연구소.
양태식, "어휘 지도의 관점과 원리", 한국어교육 16, 한국어문교육학회.
엄영준, "의무교육 조선어문 제2차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선방향에 대한 구상", 중국조선어문 113,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엄 훈, "어휘에 대한 한국 아동의 메타언어적 인식 발달 연구", 국어교육 104,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염시열, "한글 문화 배움새로 국어 수업하기",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염은열, "고전문학과 연사적 상상력", 문학과 교육 16, 문학과 교육 연구회.
오대환, "입말 네로티브 안에서의 입말/글말 연속체에 대한 연구",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오순임, "작문 전략 수행과 연습지(worksheets)의 활용이 작문에 미치는 효과 연구", 수련어문논집 26·27, 수련어문학회.
옥태권, "'의문-발견'의 과정을 통한 국어지식 생성 능력 신장", 부산한글 20, 한글학회 부산지회.
원유자, "중등학교에서의 교과 학습과 독서 지도",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원진숙, "교사 화법 교육의 내용과 방법",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원진숙, "구성주의와 작문", 한국초등국어교육 1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원진숙, "국어교육", 국어학 연감 2001, 국립국어연구원.
원진숙, "영어권 교포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원진숙,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교과교육의 발전 방향, 서울교대 초등교육연구소.
원진숙, "초등 국어과 교수 학습 모형 개발 연구­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유덕제, "구성주의 관점의 문학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 1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유병학·권혁준, "국어과 교수-학습의 기본적 설계에 관한 연구­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공주교대논총 38-2, 공주교대 초등교육연구소.
유석훈·이미영,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코딩 자료를 통해 살펴 본 회피 전략",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유성기, "글쓰기 지도의 기초 이론과 방법", 두류국어교육 2, 두류국어교육학회.
유성기,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모형", 말하기 듣기 수업 방법 5,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유성기, "문장쓰기 실태와 지도 방법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1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유수열, "매체 경험의 국어교육적 의의", 선청어문 29, 서울대 국어교육과.
유수열, "서사적 상상력의 범주와 문학교육", 문학과 교육 16, 문학과 교육 연구회.
유순복, "조선어문 강독교수에서 물음설정과 창신사유배양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113,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유영희, "시적 상상력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문학과 교육 16, 문학과 교육 연구회.
유종호, "문학교육에 관한 단상­한국의 경우­",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유현경·강현화, "한국어 학습사전에 있어서의 유의어에 관한 연구",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윤여탁,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의 제문제",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윤옥영, "국어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동기유발 자료 연구", 국어교육연구 15, 춘천교대 국어교육학회.
윤희원, "국어교육학 발전을 위한 연구방법론 탐색을 위하여­국어교육학 연구 방법의 현황과 문제­",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이경엽, "지역문화와 국어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이관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표준 문법의 내용 체계", 우리어문연구 17, 우리어문학회.
이관규, "학교 문법 교육에 있어서 탐구 학습의 효율성과 한계점에 대한 실증적 연구", 국어교육 106,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광국, "대화글 쓰기 지도", 배달말교육 22, 배달말교육학회.
이기동, "한국어 학습사전과 동사 정보",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기명, "언어활동별 학습자 언어의 변이와 학습유형", 대학원 논문집 26, 동아대 대학원.
이기문, "한국 국어교육의 반성",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이기세, "사이버 공간의 문학교육적 적용 방안", 문학과 교육 15, 문학과 교육 연구회.
이도영, "국어과 교육 평가 모형",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이도영, "말하기의 본질과 말하기 교육의 지향점", 제15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연구발표 및 연수회 자료집,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이도영, "신문 언어 사용의 원리와 국어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 1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도영, "언어 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의 방향", 중등국어연구 7, 강원중등국어교육연구회.
이도영, "토의·토론을 통한 문학교육", 문학과 교육 15, 문학과 교육 연구회.
이문규, "국어지식 교육의 성격과 방향", 어문학교육 23, 한국어문교육학회.
이미경, "문학교육에 있어서 문학사 교육의 위상과 역할", 국어교육 104,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병운, "한국어 음운과 표기법 교육", 국어교과교육연구 2, 국어교과교육학회.
이병운, "한국어 음운교육과 문자교육",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2­회화·시청각·인터넷­』,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이삼형·박희찬·정옥년, "독서교육 전문가 역할과 양성",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이상구,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구성주의", 한말연구 9, 한말연구학회.
이성영, "구성주의적 읽기 교육의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 1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성영, "글쓰기 능력의 지표화 방안 연구­'내용 생성' 범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이성영, "작문 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석 방법", 텍스트언어학 11,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성영·김광명·신준식, "초등학교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18, 춘천교대 초등교육연구소.
이순영, "언어 영재의 개념과 언어 영재 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이신성, "「자린고비」 이야기의 의미과 교과서 교재화 방안", 어문학교육 23, 한국어문교육학회.
이연숙, "'국어(national language)'는 가르칠 수 있는 것일까?",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이영애, "의미시각화를 통한 읽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수련어문논집 26·27, 수련어문학회.
이 용, "현행 국어교과서의 언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고찰­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이원직, "국어교육의 현재와 미래", 순천향 교육대학원 논집 5, 순천향대 교육대학원.
이윤옥, "학습자간 질문 생성이 언어적 상호작용과 개념 구조화 수준에 미치는 효과", 교육문제연구 15, 고려대 교육문제연구소.
이은주,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국어 수업하기", 함께여는 국어교육 47, 전국국어교사모임.
이은희, "국어지식교육과 텍스트언어학", 텍스트언어학 1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은희, "쓰기 능력의 지표화 방안 연구",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연구발표회 자료집,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이재기, "주체, 이데올로기, 그리고 문식성 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이재승, "과정 중심의 작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새국어교육 62,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재승, "국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특징과 운영 방향", 초등국어교육연구 1, 대구경북초등국어교육학회.
이재승, "국어과 수준별 수업의 의미와 방법", 새국어교육 61,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정분, "글짓기에서의 창조적사유훈련", 중국조선어문 113,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이정화, "한국어 학습자 사전 개발을 위한 몇 가지 검토", 이화어문논집 19, 이화어문학회.
이종철, "관용적 어휘소의 사용 양상과 지도 방법", 국어교육 104,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종철, "인용 표현의 형태적 사용 양상과 지도 방법",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이종학, "아침 학급회의를 통한 입말훈련과 사유력배양", 중국조선어문 113,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이주섭, "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듣기·말하기 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 1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주섭·임천택, "국어과 멀티미디어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방향",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이지호, "그림동화의 내용 구성 방법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이채연, "인터넷의 매체 언어성과 국어 교재화 탐색", 국어교육 104,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춘근, "문법 교육 내용의 계열화 분석 및 평가",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이춘근, "문법 교육의 내용 체계", 국어교과교육연구 1, 국어교과교육학회.
이춘근, "문장 교육의 필요성", 문창어문논집 38, 문창어문학회.
이충우, "국어 어휘 교육의 위상",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이태영, "한국어 정보 처리를 위한 과목 개발의 필요성", 『새 시대의 우리말 연구』(최창렬 교수 정년 퇴임 논문집), 역락.
이해영, "학습자 중심 수업 구현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선택과 평가",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이해욱, "언어처리모형에 따른 실어증 연구", 외대논총 23, 부산외대.
이화연, "사회 문화적 요소가 언어교육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응용언어학 17-1, 한국응용언어학회.
이희자, "Guide Words를 이용한 어미 조사 한국어 교육 방법론",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이희자, "한국어교재 텍스트의 효율적인 분석 방법론 1­'주제부'의 텍스트 결속 기능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10,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임규홍, "국어지식 교육에 대한 몇 가지 문제", 새국어교육 62, 한국국어교육학회.
임성규, "구성주의와 국어교육", 한국초등국어교육 1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임성규, "표현 영역에서 어휘력 신장 방안 연구­문단 전개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13,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임소영,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목록", 자하어문논집 16, 상명어문학회.
임진옥, "언어훈련에 모를 박고 창조적사유능력을 배양", 중국조선어문 114,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임천택, "국어과 멀티미디어 자료의 특성과 활용 방안", 어문학교육 23, 한국어문교육학회.
임천택, "컴퓨터 작문 교육의 배경과 연구 동향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 1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임칠성, "지역어와 국어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장경은, "문화를 통한 한국어 교육의 실현 방안",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장광군, "종합조선어 교수법", 중국조선어문 112,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장광군, "중국 학생을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안의 초보적 구성",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장광군, "중국 학생의 한국어 청취난에 대한 분석",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장소원, "글쓰기 과정의 이론적 접근­문장 구성의 측면을 중심으로­", 『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이광호 교수 회갑기념논총), 태학사.
장영희, "한자 교육의 실태와 방향",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전병선, "조선에서 한자를 쓰지 않게 된 경위와 한문교육", 중국조선어문 112,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전병철, "논술 작품에서 보이는 오류 연구", 언어학 5, 중원언어학회.
전은주, "말하기 영역의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타당성 고찰", 화법 연구 3, 한국화법학회.
전진원, "말하기 능력 측정 방안 연구", 국어교육연구 33, 국어교육학회.
전태현, "한국에서의 말레이어 교육", 이중언어학 19, 이중언어학회.
정경일,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의 인식과 교육실태", 이중언어학 18, 이중언어학회.
정상균, "한국 고전문학 교육 반성­현행 '고등학교 국어과' 고전문학 부분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정성희,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에 사용된 도해 조직자 분석과 활용 방안", 국어교육연구 13, 광주교대 초등국어교육학회.
정연희, "'-니까'의 의미확장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수법에의 적용", 한국어문학연구 13,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정영숙, "학습자의 성별과 전공분야가 학습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언어와 언어교육 16, 동아대 언어교육원.
정옥년, "읽기에 대한 인식적 신념이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정원돈, "논항 구조와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정재찬, "국어교육 현상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접근­질적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정정순, "국어교육 논의에서의 상상력의 의미망", 문학과 교육 16, 문학과 교육 연구회.
정정순, "설득을 위한 글쓰기의 전략­이규태의 글쓰기를 한 사례로­",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정충권, "<흥보가>의 문학교육적 함의",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정호웅, "황순원 소설의 인물성경 연구",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조명숙,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이중언어학 19, 이중언어학회.
조항록, "한국어 교육 현황과 교육 정책",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조헌국, "중학교 교과서 잘못", 배달말교육 22, 배달말교육학회.
주기덕, "의론문쓰기에서 흔히 나타나는 병집", 중국조선어문 113,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진기호, "'-부터'와 '-에서'의 용법과 교육",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진정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에 대하여", 한국어문학연구 13,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차호일, "국어교육학 연구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 23, 청람어문교육학회.
채영희·채영숙, "표준발음이 수록된 초등학교용 전자사전 모형개발­하이퍼 텍스트 기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사전­", 국어교육 10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천경록, "국어교육 연구에서 양적 연구 분석",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천경록, "읽기 영역의 포트폴리오 평가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1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천경록·전원범·염창권, "읽기 평가 기준의 수준 구분 근거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 1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최가진, "국어 교과서 단원 체제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최규수, "첨삭 지도의 원론적 방식과 효율적인 지도 방법의 제안", 이화어문논집 19, 이화어문학회.
최균선, "중학생글짓기에서 사유공간개척문제", 중국조선어문 115,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최명환, "사고 확장의 원리­글씨 쓰기 원리 탐구를 중심으로­", 공주교대논총 38-1, 공주교대 초등교육연구소.
최미숙, "문학적 상상력 평가", 문학과 교육 16, 문학과 교육 연구회.
최병선, "한국어 작문 능력의 향상 방안 연구­중국어 화자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19, 한국언어문화학회.
최영환, "Three Aspects of Chan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irst International Seminar o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Japan-Korea Semir for Promotion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Naruto University of Education, Japan.
최영환, "국어과 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자료 개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5, 한국교과교육학회.
최영환, "국어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한국교과교육학회 국제 학술대회, 한국교과교육학회·중국연변교육학회.
최용기, "2종 교과용 도서의 글쓰기 사례 분석", 2종 교과용 도서의 질,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최용기, "교과서 문장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교과서 연구 36,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최용기, "제7차 교육과정과 국어 교과서", 2001년 겨울 한말연구학회 전국학술대회, 한말연구학회.
최웅환, "7차 교육과정 '듣기', '말하기' 영역의 위상 및 교육 내용 분석", 국어교육연구 33, 국어교육학회.
최윤정, "만화의 국어교육적 수용 방안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15, 춘천교대 국어교육학회.
최인자, "다문화간 소통으로서의 매체교육", 국어교육 104,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최인자, "문식성 교육의 사회·문화적 접근", 국어교육연구 8,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최인자, "비판적 대중매체 교육과정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13, 국어교육학회.
최인자, "사회적 정체성과 스피치 패턴의 연관을 중심으로 한 T.V. 드라마 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최인철·유훈근, "논설 담화 구조 및 문체에 따라 분류된 TWE 모델 작문의 구문 분석", 응용언어학 17-1, 한국응용언어학회.
최일선, "언어생활영역의 평가방향 모색", 논문집 8, 극동정보대학.
최지현, "매체언어이해론을 위한 근본 논의", 독서연구 6, 한국독서학회.
최현섭, "교과교육학의 발전방향", 중·한 교육발전을 위한 교과교육학의 이론과 실제 제1차 연토회, 한국교과교육학회·중국연변교육학회.
최현섭, "국어교육학의 정립 과정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 1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최현섭, "한국국어교육 현황과 발전방향", Japan-Korea Seminar for Promotion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Naruto University of Education.
최호철, "한국어 교육과 문형 사전", 언어정보연찬회 발표문, 연세대 언어정보개발원.
최호철,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형 사전",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최희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문법교수에서 제기되는 과제", 중국조선어문 114,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최희정, "인형극을 활용한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2학년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15, 춘천교대 국어교육학회.
추연림, "상호 점검 전략을 활용한 토의 수업 방안 연구", 국어교육연구 15, 춘천교대 국어교육학회.
편집부, "현단계 국어교육계의 쟁점 토론", 함께여는 국어교육 48, 전국국어교사모임.
한귀은, "서사적 담화 수행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국어교육 106, 한국국어교육연구회.
한길순, "글짓기지도에서의 독창성배양", 중국조선어문 114,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한명희, "현행 국어교과서의 문학 영역에 대한 비판적 고찰­중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한상미, "한국어 교실에서 나타난 교사의 피드백 유형 연구",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한송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문법 범주", 『국어 문법의 탐구 Ⅴ』(남곡 남기심 교수 정년퇴임기념), 태학사.
한위성, "중·한 번역 교육의 현실과 과제", 선청어문 29, 서울대 국어교육과.
한재영, "한국어 발음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제2차 한국어세계화 국제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한창훈, "고전시가 교육의 가치론적 접근­이이(1536-1584)의 <고산구곡가>를 예로 하여­", 국어교육학연구 12, 국어교육학회.
한형구, "제1회 한일국어교육비교학술대회 보고문",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함미진, "초등학교 어휘 교육의 현실­4~6학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15, 춘천교대 국어교육학회.
허왕욱, "조선시대 한자 교재의 구성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 1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허 용, "부사격조사에 대한 한국어교육학적 접근", 이중언어학 19, 이중언어학회.
허 용, "영국에서의 국제영어교사 양성제도의 실태 및 시사점에 대한 토론문", 제3회 한국어교육 국제학술회의,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허 용, "우리말 발음에 대한 한국어교육적 접근", 교육논총 17,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허 용, "인터넷을 통한 한국어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2­회화·시청각·인터넷­』, 연변과학기술대학 한국학연구소.
허 용,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본 조사의 특성", 한국어문학연구 14,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허 용, "한국어학습에 나타나는 오류분석­조사와 어미를 중심으로­", 2001년 이중언어학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이중언어학회.
허재영, "고교 『독서』 교과서 편재와 개선 방향", 한말연구 8, 한말연구학회.
허재영, "문법화와 띄어쓰기 교육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육한글 14, 한글학회.
현윤호, "과제 수행 중심의 말하기 지도 방안­ 「말이 트이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요지모음집), 미국한국어교사협회·국제한국어교육학회.
황미향, "접속 어미의 기능과 접속문 지도 내용 설정 연구", 국어교육연구 33, 국어교육학회.
황상훈, "사이버 문학과 판타지", 문학과 교육 15, 문학과 교육 연구회.
황선유, "과제형태로 제시되는 문법지도가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18, 중앙대 교육대학원.
황인교, "외국어로서의 한국 문학 교육의 가능태",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황정현, "초등학교 문학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한국초등국어교육 19,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황현옥·강보유, "한국어문법교육에서의 화용론의 접근방법 모색(1)", 중국조선어문 115,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황현옥·강보유, "한국어문법교육에서의 화용론의 접근방법 모색(2)", 중국조선어문 116,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常石希望, "初級韓國語敎育への若干の文法論的考察", 『한일어문학논총』(梅田博之교수 고희기념), 태학사.
李演泳, "韓國人日本語學習者の誤用分析­文脈指示語 「その(그), あの(저)」の誤用を中心に­", 『한일어문학논총』(梅田博之교수 고희기념), 태학사.
川口義一·이윤옥, "語彙指導のための日本語複合動詞の意味硏究­〔動詞連用形ナコム〕を中心として­", 『한일어문학논총』(梅田博之교수 고희기념), 태학사.
Berlie Doherty, "Writing with Children in Mind", 인문연구 40·41, 영남대 인문과학연구소.
Kang Sa-hie, "Teaching Korean Grammar in Context", The Korean Language in America, 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s Korea.
Kim Keum-hyun·Rou Seung-yoan,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Programss in Malaysia", 이중언어학 19, 이중언어학회.
Kyung-yong Kim, "Korean College Students'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and Their Use of Learning Strategies", 현대문법연구 26, 현대문법학회.
Lee, Shinsook·Joh, Jeongsoon, "Sound Substitutions in Korean EFL Learner's Interlanguage", 언어연구 17-2, 한국현대언어학회.
Seong-Chul Shin, "An Error Analysis: Orthographic Errors Produced by Australian KFL Learners",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Sung-ock Shin Sohn, "Book Review: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By Youngsoon Park",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 25·26,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기타>
고창수, "디지털 시대와 글쓰기 문화의 변혁", 고대문화 52, 고려대.
김동현, "사전과 교사", 동양학간보 12,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김홍철, "새 시대 한문교육의 전망과 과제(2)", 한글+한자 문화 18,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박창원, "바른 글쓰기­문장 성분의 순서­", 새국어소식 33,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박창원, "바른 글쓰기­문장의 기본 구조­", 새국어소식 35,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박창원, "바른 글쓰기­바른 글의 기본적인 조건들­", 새국어소식 34,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박창원, "바른 글쓰기­상황과 문장 요소의 생략­", 새국어소식 36,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박창원, "바른 글쓰기­정확한 표현과 성실한 이해­", 새국어소식 32,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
서강화, "'한글애용'이 국어문법 망쳤다", 말과글 89,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손원일, "언어교육은 의미의 기억", 한글+한자 문화 18,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여원구, "『천자문』학습과 필법", 한글+한자 문화 18,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윤완석, "초등 한자교육의 필요성", 어문생활 40, 한국어문회.
이국희, "한국의 미래를 위한 대비 한자교육", 한글+한자 문화 18,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이응백, "한문교육 정책의 방향", 한글+한자 문화 18,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임지룡, "우리말 사랑의 길을 찾아서(1)", 한글새소식 352, 한글학회.
장덕진, "과학적인 원리와 규칙성을 발견하며 노래로 배우는 한글 공부, 알기 쉬운 띄어쓰기", 한글새소식 346, 한글학회.
조준하, "한자와 한문­초등학교에서부터 교육되어야 한다­", 한글+한자 문화 18,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최혜실, "디지털 시대의 독서 교육", 어문생활 41, 한국어문회.
허철구, "바른 글쓰기­간결한 문장과 비문법적인 문장­", 새국어소식 30, 한국어세계화재단·국립국어연구원.